61.
열반도체 감지기의 구성 부분이 아닌 것은?
①
열전대
②
미터릴레이
③
열반도체 소자
④
수열관
62.
경계전로의 누설전류를 자동적으로 검출하여 이를 누전경보기의 수신부에 송신하는 것은?
63.
자동화재탐지설비의 발신기는 건축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발신기까지 수평거리는 최대 몇 m 이하인가?
①
50m
②
150m
③
100m
④
25m
64.
비상콘센트설비의 전원공급회로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전원회로는 주배전반에서 전용회로로 한다.
②
전원회로의 공급용량은 1.5kVA 이상의 것으로 한다.
③
전원회로는 단상 교류 220V인 것으로 한다.
④
하나의 전용회로에 설치하는 비상콘센트는 10개 이상으로 한다.
정답 : ④ 하나의 전용회로에 설치하는 비상콘센트는 10개 이상으로 한다. (2015년4회)
65.
자동화재속보설비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①
관계인이 24시간 상주하고 있는 경우에는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②
스위치는 바닥으로붜 0.8m 이상 1.5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한다.
③
자동화재탐지설비와 연동되어야 한다.
④
화재 시 자동으로 소방관서에 연락되는 설비여야 한다.
정답 : ① 관계인이 24시간 상주하고 있는 경우에는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2015년2회)
66.
축광표지의 식별도시험에 관련한 기준에서 ( )에 알맞은 것은?
축광유토표지는 200lx 밝기의 광원으로 20분간 조사시킨 상태에서 다시 주위조도를 0 lx로 하여 60분간 발광시킨 후 직선거리 ( )m 떨어진 위치에서 유도표지가 있다는 것이 식별되어야 한다. |
67.
지하층으로서 특정소방대상물의 바닥부분 중 최소 몇 면이 지표면과 동일한 경우에 무선통신 보조섧비의 설치를 제외할 수 있는가?
①
4면 이상
②
3면 이상
③
1면 이상
④
2면 이상
68.
발신기의 구조 및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P형 2급 발신기는 P형 1급 발신기의 구조와 거의 비슷하나 P형 2급 수신기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②
T형 발신기는 수동으로 각 발신기의 공통신호를 수신기에 발신하는 것으로 발신과 동시에 통화가 가능하며 송수화기를 든 경우에는 화재신호를 보낼 수 있어야 한다.
③
M형 발신기는 자동으로 각 발신기의 고유신호를 P형 1급 수신기에 발신하는 거승로 방수형으로 되어 있고 하나의 배선에 의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④
P형 1급 발신기는 P형 1급 수신기에 접속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응답확인램프, 전화장치(전화잭), 스위치, 보호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 : ③ M형 발신기는 자동으로 각 발신기의 고유신호를 P형 1급 수신기에 발신하는 거승로 방수형으로 되어 있고 하나의 배선에 의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2014년4회)
69.
3선식 배선으로 상시 충전되는 유도등의 전기회로에 점멸기를 설치하는 경우 점등되어야 하는 조건으로 틀린 것은?
①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 또는 발신기가 작동되는 때
②
방재업무를 통제하는 곳에서 수동으로 점등하는 때
③
상용전원이 정전되거나 전원선이 단선되는 때
④
옥외소화전설비의 펌프가 작동되는 때
정답 : ④ 옥외소화전설비의 펌프가 작동되는 때 (2014년4회)
70.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경계구역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지하구에 있어서는 경계구역의 길이는 최대 500 m 이하로 한다.
②
하나의 경계구역의 면적은 600 ㎡, 한 변의 길이는 최대 30m 이하로 한다.
③
하나의 경계구역이 2개 이상의 건축물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
④
600 ㎡ 이하의 범위 안에서는 2개의 층을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할 수 있다.
정답 : ③ 하나의 경계구역이 2개 이상의 건축물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 (2015년1회)
71.
누전경보기의 화재안전기준에서 규정한 용어, 설치방법, 전원 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변류기는 옥외 인입선 제1지점의 전원측에 설치한다.
②
누전경보기는 변류기와 수신부로 구성되어 있다.
③
누전경보기 전원은 분전반으로부터 전용으로 하고, 각 극에 개폐기 및 15A 이하의 과전류차단기를 설치한다.
④
경계전로의 정격전류가 60A 를 초과하는 전로에 있어서는 1급 누전경보기를 설치한다.
정답 : ① 변류기는 옥외 인입선 제1지점의 전원측에 설치한다. (2016년1회)
72.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를 설명한 것이다.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중계기란 감지기·발신기 또는 전기적접점 등의 작동에 따른 신호를 받아 이를 수신기의 제어반에 전송하는 장치를 말한다.
②
감지기란 화재 시 발생하는 열, 연기, 불꽃 또는 연소생성물을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수신기에 발신하는 장치를 말한다.
③
시각경보장치란 자동화재탐지설비에서 발하는 화재신호를 시각경보기에 전단하여 시각장애인에게 경보를 하는 것을 말한다.
④
경계구역이란 소방대상물 중 화재신호를 발신하고 그 신호를 수신 및 유효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역을 말한다.
정답 : ③ 시각경보장치란 자동화재탐지설비에서 발하는 화재신호를 시각경보기에 전단하여 시각장애인에게 경보를 하는 것을 말한다. (2014년4회)
73.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수신기 설치기준에 관한 사항 중, 최소 몇 층 이상의 특정소방대상물에는 발신기와 전화통화가 가능한 수신기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74.
누전경보기의 수신부 설치 장소로서 틀린 것은?
①
부식성의 증기 · 가스 등이 체류하지 않는 장소
②
습도가 높은 장소
③
온도의 변화가 급격한 장소
④
고주파 발생회로 등에 따른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
정답 : ① 부식성의 증기 · 가스 등이 체류하지 않는 장소 (2016년1회)
75.
피난통로가 되는 계단이나 경사로에 설치하는 통로유도등으로 바닥면 및 디딤 바닥면을 비추어 주는 유도등은?
①
복도통로유도등
②
피난통로유도등
③
계단통로유도등
④
바닥통로유도등
76.
축광유도표지의 표지면의 휘도는 주위조도 01x에서 몇 분간 발광 후 몇 mcd/㎡ 이상이어야 하는가?
①
60분, 7mcd/㎡
②
60분, 20mcd/㎡
③
30분, 7mcd/㎡
④
30분, 20mcd/㎡
정답 : ① 60분, 7mcd/㎡ (2015년2회)
77.
누전경보기의 화재안전기준에서 변류기의 설치위치 기준으로 옳은 것은?
①
인입구에 근접한 옥외에 설치
②
제3종 접지선측의 점검이 쉬운 위치에 설치
③
제1종 접지선측의 점검이 쉬운 위치에 설치
④
옥외 인입선의 제1지점의 부하측에 설치
정답 : ④ 옥외 인입선의 제1지점의 부하측에 설치 (2015년2회)
78.
자동화재속보설비 속보기의 구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수동통화용 송수화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②
부식에 의한 기계적 기능에 영향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부분은 기계식내식가공을 하거나 방청가공을 하여야 한다.
③
작동 시 그 작동시간과 작동회수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를 하여야 한다.
④
접지전극에 직류전류를 통하는 회로방식을 사용하여야 한다.
정답 : ④ 접지전극에 직류전류를 통하는 회로방식을 사용하여야 한다.
(2016년4회)
79.
절연저항시험에 관한 기준에서 ( )에 알맞은 것은?
누전경보기 수신부의 절연된 충전부와 회함간 및 차단기구의 개폐부 절연저항은 직류 500V 의 절연저항계로 측정하여 최소 ( )MΩ 이상이어야 한다. |
80.
비상방송설비에 사용되는 확성기는 각층마다 설치하되 그 층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확성기까지의 수평거리는 최대 몇 m 이하인가?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