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휴대용비상조명등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영화상영관에는 보행거리 50m 이내 마다 3개 이상 설치
②
지하역사에는 보행거리 25m 이내 마다 3개 이상 설치
③
숙박시설 또는 다중이용업소에는 객실 또는 영업장 안의 구획된 실마다 잘 보이는 곳에 1개 이상 설치
④
대규모점포에는 보행거리 30m 이내 마다 2개 이상 설치
정답 : ④ 대규모점포에는 보행거리 30m 이내 마다 2개 이상 설치 (2015년4회)
62.
누전경보기에서 옥내형과 옥외형의 차이점은?
①
방수구조
②
변류기의 절연저항
③
정전압회로
④
증폭기의 설치장소
63.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경계구역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하나의 경계구역이 2개 이상의 건축물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
②
지하구에 있어서는 경계구역의 길이는 최대 500 m 이하로 한다.
③
하나의 경계구역의 면적은 600 ㎡, 한 변의 길이는 최대 30m 이하로 한다.
④
600 ㎡ 이하의 범위 안에서는 2개의 층을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할 수 있다.
정답 : ① 하나의 경계구역이 2개 이상의 건축물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 (2015년1회)
64.
자동화재속보설비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①
자동화재탐지설비와 연동되어야 한다.
②
관계인이 24시간 상주하고 있는 경우에는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③
화재 시 자동으로 소방관서에 연락되는 설비여야 한다.
④
스위치는 바닥으로붜 0.8m 이상 1.5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한다.
정답 : ② 관계인이 24시간 상주하고 있는 경우에는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2015년2회)
65.
비상콘센트설비에 자가발전설비를 비상전원으로 설치할 때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①
상용전원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때에는 자동으로 비상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할 것
②
비상전원을 실내에 설치하는 때에는 그 실내에 비상조명등을 설치할 것
③
비상콘센트설비를 유효하게 10분 이상 작동실킬 수 있는 용량으로 할 것
④
점검이 편리하고 화재 및 침수 등의 재해로인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할 것
정답 : ③ 비상콘센트설비를 유효하게 10분 이상 작동실킬 수 있는 용량으로 할 것 (2015년2회)
66.
화재안전기준에서 정하고 있는 연기감지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장소는?
①
천장의 높이가 15m 이상 20 m 미만의 장소
②
엘리베이터 권상기실
③
길이가 15m인 복도
④
에스컬레이터 경사로
정답 : ③ 길이가 15m인 복도 (2016년1회)
67.
연면적 15000 ㎡, 지하3층 지상 20층인 소방대상물의 1층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비상방송설비에서 경보를 발하여야 하는 층은?
①
지상 1층
②
지하 전층, 지상 1층, 지상 2층
③
지상 1층, 지상 2층
④
지하 전층, 지상 1층
정답 : ② 지하 전층, 지상 1층, 지상 2층 (2015년1회)
68.
누전경보기의 화재안전기준에서 변류기의 설치위치 기준으로 옳은 것은?
①
제3종 접지선측의 점검이 쉬운 위치에 설치
②
옥외 인입선의 제1지점의 부하측에 설치
③
제1종 접지선측의 점검이 쉬운 위치에 설치
④
인입구에 근접한 옥외에 설치
정답 : ② 옥외 인입선의 제1지점의 부하측에 설치 (2015년2회)
69.
아파트의 4층 이상 10층 이하에 적응성이 있는 피난기구는?
(단, 아파트는 주택법 시행령 제48조의 규정에 해당하는 공동주택이다.)
①
간이완강기
②
공기안전매트
③
미끄럼대
④
피난용트랩
70.
누전경보기의 전원은 분전반으로부터 전용회로로 하고 각 극에는 최대 몇 A 이하의 과전류 차단기를 설치해야 하는가?
71.
누전경보기 수신부의 설치로 적당한 곳은?
①
습도가 높은 장소
②
옥내에 점검이 편리한 건조한 장소
③
부식성의 증기 등이 다량 체류하는 장소
④
온도의 변화가 급격한 장소
정답 : ② 옥내에 점검이 편리한 건조한 장소 (2014년4회)
72.
유도등의 전기회로에 점멸기를 설치할 수 있는 장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단, 유도등은 3선식 배선에 따라 상시 충전되는 구조이다.)
①
공연장으로서 어두워야 할 필요가 있는 장소
②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주로 사용하는 장소
③
외부광에 따라 피난구 또는 피난방향을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장소
④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의 장소
정답 : ④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의 장소
(2016년4회)
73.
광전식 분리형감지기의 설치기준 중 틀린 것은?
①
감지기의 광축의길이는 공칭감시거리 범위 이내 일 것
②
광축의 높이는 천장 등(천장의 실내에 면한 부분 또는 상층의 바닥하부면) 높이의 80% 이상일 것
③
광축은 나란한 벽으로부터 0.5m 이상 이격하여 설치할 것
④
감지기의 송광부와 수광부는 설치된 뒷벽으로부터 1m 이내 위치에 설치할 것
정답 : ③ 광축은 나란한 벽으로부터 0.5m 이상 이격하여 설치할 것
(2016년4회)
74.
비상콘세트설비의 전원부와 외함사이의 절연저항은 전원부와 외함사이를 500V 절연저항계로 측정할 때 몇 MΩ 이상이어야 하는가?
75.
차동식감지기에 리크구멍을 이용하는 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비화재보를 방지하기 위하여
②
급격한 전류변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③
감지기의 감도를 예민하게 하기 위해서
④
완만한 온도 상승을 감지하기 위해서
정답 : ① 비화재보를 방지하기 위하여 (2015년1회)
76.
무선통신보조설비의 누설동축케이블 및 공중전은 고압의 전로로부터 몇 m 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해야 하는가?
77.
무선통신보조설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누설동축케이블의 끝부분에는 무반사 종단저항을 부착한다.
②
증폭기에는 비상전원이 부착된 것으로 하고 비상전원의 용량은 30분 이상이다.
③
누설동축케이블 또는 동축케이블의 임피던스는 100 Ω 의 것으로 한다.
④
소화활동설비이다.
정답 : ③ 누설동축케이블 또는 동축케이블의 임피던스는 100 Ω 의 것으로 한다. (2016년1회)
78.
누전경보기의 수신부 설치 장소로서 틀린 것은?
①
부식성의 증기 · 가스 등이 체류하지 않는 장소
②
고주파 발생회로 등에 따른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
③
습도가 높은 장소
④
온도의 변화가 급격한 장소
정답 : ① 부식성의 증기 · 가스 등이 체류하지 않는 장소 (2016년1회)
79.
감도조정장치를 갖는 누전경보기에 있어서 감도조정장치의 조정범위는 최대치가 몇 A 이어야 하는가?
80.
무창층의 도매시장에 설치하는 비상조명등용 비상전원은 당해 비상조명등을 몇 분 이상 유효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하여야 하는가?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