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답 : ① 영업실의 면적은 은행원 1인당 최소 20㎡ 이상 되어야 한다. (2016년4회)
14.
도서관 출납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자유개가식은 이용자가 자유롭게 도서를 꺼낼 수 있으나 열람석으로 가기 전에 관원에게 체크를 받는 형식이다.
②
폐가식은 서고와 열람실이 분리되어 있다.
③
안전개가식은 서가 열람이 가능하여 도서를 직접 뽑을 수 있다.
④
반개가식은 새로 출간된 신간 서적 안내에 채용된다.
정답 : ① 자유개가식은 이용자가 자유롭게 도서를 꺼낼 수 있으나 열람석으로 가기 전에 관원에게 체크를 받는 형식이다. (2019년4회)
15.
자연형 테라스 하우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각 세대마다 전용의 정원을 가질 수 있다.
②
일반적으로 후면에 창을 설치할 수 없으므로 각 세대ㅐ 깊이가 너무 깊지 않도록 한다.
③
하향식이나 상향식 모두 스플릿 레벨이 가능하다.
④
하향식의 경우 각 세대의 규모를 동일하게 할 수 없다.
정답 : ④ 하향식의 경우 각 세대의 규모를 동일하게 할 수 없다. (2017년1회)
16.
다음 중 리조트 호텔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해변호텔(beach hotel)
②
산장호텔(mountain hotel)
③
부두호텔(harbor hotel)
④
클럽 하우스(club house)
정답 : ③ 부두호텔(harbor hotel) (2017년4회)
17.
그리스 신전 건축에 사용된 착시 현상의 보정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기둥의 전체적인 윤곽을 중앙부에서 약간 부풀게 만들었다.
②
모서리 쪽의 기둥 간격을 넓혔다.
③
기둥 같은 수직 부재들은 올라가면서 약간 안쪽으로 기울였다.
④
기단, 아키트레이브, 코니스 등이 이루는 긴 수평선들을 약간 위로 블룩하게 만들었다.
정답 : ② 모서리 쪽의 기둥 간격을 넓혔다. (2015년1회)
18.
백화점 계획에서 매장 부분의 외관을 무창으로 하는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벽면에 상품 전시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②
실내의 조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
③
인접건물의 화재시 백화점으로의 인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④
창으로부터의 역광이 없도록 하여 디스플레이(display)를 유리하게 하기 위해서
정답 : ③ 인접건물의 화재시 백화점으로의 인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2017년2회)
19.
건축계획에서 말하는 미의 특성 중 변화 혹은 다양성을 얻는 방식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대비(Contrast)
②
억양(Accent)
③
균제(Proportion)
④
대칭(Symmetry)
정답 : ④ 대칭(Symmetry) (2018년2회)
20.
도서관의 출납 시스템 유형 중 이용자가 자유롭게 도서를 꺼낼 수 있으나 열람석으로 가기 전에 관원의 검열을 받는 형식은?
①
자유개가식
②
안전개가식
③
폐가식
④
반개가식
정답 : ② 안전개가식 (2020년4회)
건축시공
21.
타일공사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벽체타일이 시공되는 경우 바닥타일은 벽체타일을 붙이기 전에 시공한다.
②
타일을 붙이는 모르타르에 시멘트 가루를 뿌리면 백화가 방지된다.
③
치장줄눈은 24시간이 경과한 뒤 붙임모르타르의 경화정도를 보아 시공한다.
④
모자이크 타일의 줄눈너비의 표준은 5mm 이다.
정답 : ③ 치장줄눈은 24시간이 경과한 뒤 붙임모르타르의 경화정도를 보아 시공한다. (2016년4회)
22.
다음 중 공사 진행의 일반적인 순서로 옳은 것은?
①
공사 착공 준비 → 토공사 → 가설공사→ 구조체공사 → 지정 및 기초공사
②
가설공사 → 공사 착공 준비 → 토공사→ 지정 및 기초공사 → 구조체공사
③
공사 착공 준비 → 지정 및 기초공사→ 토공사 → 가설공사 → 구조체공사
④
공사 착공 준비 → 가설공사 → 토공사→ 지정 및 기초공사 → 구조체공사
정답 : ④ 공사 착공 준비 → 가설공사 → 토공사→ 지정 및 기초공사 → 구조체공사 (2016년2회)
23.
철골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볼트조임에는 임팩트렌치, 토크렌치 등을 사용한다.
②
볼트접합부는 부식하기 쉬우므로 방청도장을 하여 야 한다.
③
용접부 비파괴 검사에는 침투탐상법, 초음파탐상법 등이 있다.
④
철골조는 화재에 의한 강성저하가 심하므로 내화피복을 하여야 한다.
정답 : ② 볼트접합부는 부식하기 쉬우므로 방청도장을 하여 야 한다. (2018년1회)
24.
발주자에 의한 현장관리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클래임 관리
②
현장회의 운영
③
하도급계약
④
착공신고
정답 : ③ 하도급계약 (2016년4회)
25.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혼화재 중 플라이애시의 사용에 따른 이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초기강도의 증진
②
유동성의 개선
③
수밀성의 향상
④
수화열의 감소
정답 : ① 초기강도의 증진 (2017년2회)
26.
건축용 목재의 일반적인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기건상태의 목재의 함수율은 15% 정도이다.
②
목재의 심재는 변재보다 건조에 의한 수축이 적다.
③
섬유포화점 이상에서는 목재의 함수율이 증가함에 따라 강도는 증가한다.
④
섬유포화점 이하에서는 목재의 함수율이 증가함에 따라 강도는 감소한다.
정답 : ③ 섬유포화점 이상에서는 목재의 함수율이 증가함에 따라 강도는 증가한다. (2021년1회)
27.
수량 산출 작업을 함에 있어 효율적인 적산방법이 아닌 것은?
①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적산한다.
②
시공순서대로 적산한다.
③
내부에서 외부로 적산한다.
④
큰 곳에서 작은 곳으로 적산한다.
정답 : ①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적산한다. (2015년4회)
28.
건설사업자원 통합 전산망으로 건설 생산활동 전 과정에서 건설 관련 주체가 전산망을 통해 신속히 교환·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합 정보시스템을 지칭하는 용어는?
①
건설 CALS(Continuous Acquisition &Life Cycle Support)
②
건설 EVMS(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
③
건설 CIC(Computer Integraded Construction)
④
건설 EC(Engineering Construction)
정답 : ① 건설 CALS(Continuous Acquisition &Life Cycle Support) (2020년3회)
29.
특수콘크리트 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하루의 평균기온이 25°C를 초과하는 것이 예상되는 경우 서중콘크리트로 시공한다.
②
하루의 평균기온이 4°C 이하가 예상되는 조건일 때 한중콘크리트로 시공한다.
③
매스콘크리트로 다루어야 할 하단이 구속된 벽조의 경우 두께 0.8m 이상으로 한다.
④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시공은 품질이 얻어지도록 재료, 배합, 비비기 설비 등에 대하여 충분히 고려한다.
정답 : ③ 매스콘크리트로 다루어야 할 하단이 구속된 벽조의 경우 두께 0.8m 이상으로 한다. (2017년2회)
30.
문 윗틀과 문짝에 설치하여 문이 자동적으로 닫혀지게 하며, 개폐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는?
①
피봇 힌지(Pivot hinge)
②
도어 체인(Door chain)
③
도어 체크(Door check)
④
도어 홀더(Door holder)
정답 : ③ 도어 체크(Door check) (2021년1회)
31.
철골공사 용접작업의 용접자세를 표현하는 각 기호의 의미하는 바가 옳은 것은?
①
V : 하향자세
②
H : 수직자세
③
F : 수평자세
④
O : 상향자세
정답 : ④ O : 상향자세 (2017년4회)
32.
도막방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도막두께는 원칙적으로 사용량을 중심으로 관리한다.
②
우레아수지계 도막방수재를 스프레이 시공할 경우 바탕면과 200mm 이하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③
방수재의 겹쳐바르기 폭은 100mm 내외로 한다.
④
방수재의 도포시 치켜올림 부위를 도포한 다음, 평면부위의 순서로 도포한다.
정답 : ② 우레아수지계 도막방수재를 스프레이 시공할 경우 바탕면과 200mm 이하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2016년2회)
33.
철골부재의 공장제작 시 대략적인 작업순서를 옳게 나열한 것은?
①
원척도 → 금매김 → 본뜨기 → 절단 및 가공 → 구멍뚫기 → 가조립 → 본조립 → 검사
②
원척도 → 본뜨기 → 금매김 → 구멍뚫기 → 절단 및 가공 → 가조립 → 본조립 → 검사
③
원척도 → 본뜨기 → 금매김 → 절단 및 가공 → 구멍뚫기 → 가조립 → 본조립 → 검사
④
본뜨기 → 원척도 → 금매김 → 절단 및 가공 → 구멍뚫기 → 가조립 → 본조립 → 검사
정답 : ③ 원척도 → 본뜨기 → 금매김 → 절단 및 가공 → 구멍뚫기 → 가조립 → 본조립 → 검사 (2016년1회)
34.
다음 중 QC 활동의 도구가 아닌 것은?
①
기능계통도
②
특성요인도
③
파레토그램
④
층별
정답 : ① 기능계통도 (2016년2회)
35.
건축 석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건식쌓기 공법의 경우 시공이 불량하면 백화현상 등의 원인이 된다.
②
시공 전에 설계도에 따라 돌나누기 상세도, 원척도를 만들고 석재의 치수, 형상, 마감방법 및 철물 등에 의한 고정방법을 정한다.
③
마감면에 오염의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폴리에틸렌 시트 등으로 보양한다.
④
석재 물갈기 마감 공정의 종류는 거친갈기, 물갈기, 본갈기, 정갈기가 있다.
정답 : ① 건식쌓기 공법의 경우 시공이 불량하면 백화현상 등의 원인이 된다. (2021년1회)
36.
녹막이 칠에 사용하는 도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아연분말 도료
②
역청질 도료
③
광명단
④
크레오소트유
정답 : ④ 크레오소트유 (2021년2회)
37.
계약 방식 중 단가계약 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설계변경에 의한 수량의 증감이 용이하다.
②
실시수량의 확정에 따라서 차후 정산하는 방식이다.
③
긴급공사 시 또는 수량이 불명확할 때 간단히 계약할 수 있다.
④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복잡한 공사에 적용하는 것이 좋다.
정답 : ④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복잡한 공사에 적용하는 것이 좋다. (2020년1회)
38.
공기단축을 목적으로 공정에 따라 부분적으로 완성된 도면만을 가지고 각 분야별 전문가를 구성하여 패스트(Fast Track)공사를 진행하기에 가장 적합한 조직구조는?
①
기능별 조직(Functional Organization)
②
매트릭스 조직(Matrix Organization)
③
라인스탭 조직(Line-Staff Organization)
④
태스크포스 조직(Task Force Organization)
정답 : ③ 라인스탭 조직(Line-Staff Organization) (2017년4회)
39.
공사장 부지 경계선으로부터 50m 이내에 주거·상가건물이 있는 경우에 공사현장 주위에 가설울타리는 최소 얼마 이상의 높이로 설치하여야 하는가?
①
3 m
②
1.5 m
③
1.8 m
④
2 m
정답 : ① 3 m (2019년2회)
40.
Low-E 유리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①
실외의 물체들이 자연색 그대로 실내로 전달된다.
②
가시광선 투과율은 맑은 유리와 비교할 때 큰 차이가 난다.
③
근적외선 영역의 열선 투과율은 현저히 낮다.
④
색유리를 사용했을 때보다 실내는 훨씬 밝아진다.
정답 : ② 가시광선 투과율은 맑은 유리와 비교할 때 큰 차이가 난다. (2015년2회)
건축구조
41.
그림과 같은 모살용접의 유효용접길이는? (단, 유효용접길이는 1면에 대해서만 산정)
①
114mm
②
107mm
③
10mm
④
94mm
정답 : ④ 94mm (2020년3회)
42.
그림과 같은 래티스보에서 V-=3kN일 때 웨브재의 축방향력은?
①
1.5kN
②
kN
③
2.0kN
④
3.0kN
정답 : ② kN (2016년1회)
43.
그림과 같은 구조에서 B단에 발생하는 모멘트는?
①
250 kN·m
②
125 kN·m
③
188 kN·m
④
300 kN·m
정답 : ② 125 kN·m (2019년4회)
44.
그림과 같은 구조에서 기둥에 압축력만 발생하게 하려면 A점에서 내민 부재길이 x의 값은?
①
2m
②
1.5m
③
3m
④
1m
정답 : ② 1.5m (2017년2회)
45.
온통기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연약지반에 주로 사용된다.
②
지하수가 높은 지반에서도 유효한 기초방식이다.
③
부동침하에 대하여 유리하다.
④
독립기초에 비하여 구조해석 및 설계가 매우 단순하다.
정답 : ④ 독립기초에 비하여 구조해석 및 설계가 매우 단순하다. (2020년4회)
46.
그림과 같이 양단이 회전단인 부재의 좌굴축에 대한 세장비는?
①
103.77
②
94.64
③
84.28
④
76.21
정답 : ④ 76.21 (2021년1회)
47.
강도설계법에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설계시 고려해야 하는 하중조합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D는 고정하중, F는 유체압 및 유기내용물하중, L은 활하중, W는 풍하중, E는 지진하중, S는 적설하중)
①
U=1.2D+1.0E+1.0L+0.2S
②
U=1.4D+1.3L+1.6S
③
U=1.2D+1.3W+1.0L+0.5S
④
U=1.4(D+F)
정답 : ② U=1.4D+1.3L+1.6S (2016년2회)
48.
f=400MPa 이형철근을 사용한 경우 필요한 철근 인장정착길이가 1000mm이었다. 철근의 강도를 fy=500MPa로 변경하고, 소요철근보다 1.25배 많게 철근을 배근하였을 경우 변경된 철근의 인장정착길이는 얼마인가?
①
1500mm
②
1000mm
③
1200mm
④
750mm
정답 : ② 1000mm (2017년2회)
49.
도심축에 대한 빗줄(사선)친 부분의 단면계수 값은?
①
21,000 mm3
②
19,000 mm3
③
22,500 mm3
④
20,500 mm3
정답 : ③ 22,500 mm3(2021년2회)
50.
철골조 주각부분에 사용하는 보강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클립앵글
②
데크플레이트
③
윙플레이트
④
사이드앵글
정답 : ② 데크플레이트 (2018년4회)
51.
직경 2.2cm, 길이 50cm의 강봉에 축방향 인장력을 작용시켰더니 길이는 0.04cm 늘어났고 직경은 0.0006cm 줄었다. 이 재료의 포아송수는?
①
2.93
②
0.34
③
0.015
④
66.67
정답 : ① 2.93 (2015년1회)
52.
인장이형철근 및 압축이형철근의 정착길이(ld)에 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KDS 기준)
①
계산에 의하여 산정한 압축이형철근의 정착길이는 항상 200mm 이상이어야 한다.
②
계산에 의하여 산정한 인장이형철근의 정착길이는 항상 200mm 이상이어야 한다.
③
단부에 표준갈고리가 있는 인장이형철근의 정착길이는 항상 8db이상, 또한 150mm 이상이어야 한다.
④
인장 또는 압축을 받는 하나의 다발철근 내에 있는 개개 철근의 정착길이 ld는 다발철근이 아닌 경우의 각 철근의 정착길이보다 3개의 철근으로 구성된 다발철근에 대해서는 20%를 증가시켜야 한다.
정답 : ② 계산에 의하여 산정한 인장이형철근의 정착길이는 항상 200mm 이상이어야 한다. (2021년2회)
53.
그림과 같은 ㄷ형강(Channel)에서 전단중심(剪斷中心)의 대략적인 위치는?
①
B점
②
A점
③
C점
④
D점
정답 : ② A점 (2019년2회)
54.
다음 그림과 같은 슬래브에서 직접설계법에 의한 설계모멘트를 결정하고자 한다. 화살표방향 패널 중 빗금 친 부분의 정적 모멘트 Mo를 구하면? (단, 등분포 고정하중 wD=7.18kPa, 등분포활하중 wL=2.39kPa이 작용하고 있으며 기둥의 단면은 300×300mm이다.)
①
506.2kN·m
②
806.2kN·m
③
706.2kN·m
④
406.2kN·m
정답 : ③ 706.2kN·m (2015년4회)
55.
철골조의 소성설계와 관계없는 항목은?
①
하중계수
②
안전률
③
붕괴기구
④
소상흰지
정답 : ② 안전률 (2015년1회)
56.
과도한 처짐에 의해 손상되지 쉬운 비구조요소를 지지 또는 부착하지 않은 바닥구조의 활하중 L에 의한 순간처짐의 한계는?
①
l/360
②
l/180
③
l/240
④
l/480
정답 : ① l/360 (2018년4회)
57.
주철근으로 사용된 D22 철근 180°표준갈고리의 구부림 최소 내면 반지름으로 옳은 것은?
①
2db
②
2.5db
③
db
④
3db
정답 : ④ 3db(2021년4회)
58.
다음 그림과 같은 부재의 최대 휨응력은 약 얼마인가? (단, 부재의 자중은 무시한다.)
①
3.6MPa
②
1.2MPa
③
4.5MPa
④
2.2MPa
정답 : ③ 4.5MPa (2016년2회)
59.
그림과 같은 하중을 받는 단순보에서 단면에 생기는 최대 휨응력도는? (단, 목재는 결함이 없는 균질한 단면이다.)
①
10MPa
②
8MPa
③
12MPa
④
15MPa
정답 : ② 8MPa (2019년1회)
60.
강도설계법을 근거로 그림과 같은 단극직사각형 보의 최소 철근량을 구하면?(단, fck=21MPa, fy=400MPa)
①
643mm2
②
588mm2
③
462mm2
④
354mm2
정답 : ③ 462mm2(2015년4회)
건축설비
61.
간접가열식 급탕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저압보일러를 써도 되는 경우가 많다.
②
급탕용 보일러는 난방용 보일러와 겸용할 수 있다.
③
직접가열식에 비해 소규모 급탕설비에 적합하다.
④
직접가열식에 비해 보일러 내면에 스케일이 발생할 염려가 적다.
정답 : ③ 직접가열식에 비해 소규모 급탕설비에 적합하다. (2017년2회)
62.
응축기용의 냉각수를 재사용하기 위하여 대기와 접촉시켜서 물을 냉각하는 장치는?
①
역류방지밸브를 설치한다.
②
플렉시블 조인트를 설치하거나 스위블 이음으로 배관한다.
③
대기압식 또는 가압식 진공브레이커를 설치한다.
④
토수구 공간을 둔다.
정답 : ③ 대기압식 또는 가압식 진공브레이커를 설치한다. (2015년1회)
63.
다음의 저압 옥내배선방법 중 노출되고 습기가 많은 장소에 시설이 가능한 것은? (단, 400[V] 미만인 경우)
①
금속몰드 배선
②
금속관 배선
③
금속덕트 배선
④
플로어덕트 배선
정답 : ② 금속관 배선 (2019년2회)
64.
트랩의 구비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봉수부에 이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금속제 이음을 사용하지 않을 것
②
오수에 포함된 오물 등이 부착 또는 침전하기 어려운 구조일 것
③
봉수부의 소제구는 나사식 플러그 및 적절한 가스켓을 이용한 구조일 것
④
봉수깊이는 50mm 이상 100mm 이하일 것
정답 : ① 봉수부에 이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금속제 이음을 사용하지 않을 것 (2019년2회)
65.
공기조화방식 중 단일덕트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각 실이나 존의 부하변동에 즉시 대응할 수 있다.
②
2중덕트방식에 비해 덕트 스페이스를 적게 차지한다.
③
전공기방식의 특성이 있다.
④
냉·온풍의 혼합손실이 없다.
정답 : ① 각 실이나 존의 부하변동에 즉시 대응할 수 있다. (2015년4회)
66.
에스컬레이터의 좌우에 설치되어 있으며, 스텝을 주행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은?
①
스커트가드
②
가이드레일
③
스텝체인
④
핸드레일
정답 : ③ 스텝체인 (2017년1회)
67.
어떤 사무실의 취득 현열량이 15000W일 때 실내온도를 26℃로 유지하기 위하여 16℃의 외기를 도입할 경우, 실내에 공급하는 송풍량은 얼마로 해야 하는가? (단, 공기의 정압비열은 1.01kJ/㎏·K, 밀도는 1.2㎏/m3이다.)
①
2455m3/h
②
6455m3/h
③
8455m3/h
④
4455m3/h
정답 : ④ 4455m3/h (2018년4회)
68.
다음과 같은 공식을 통해 산출되는 값으로 전기설비가 오ㅓ느 정도 유효하게 사용되는가를 나타내는 것은?
①
부등률
②
수용률
③
부하율
④
보상률
정답 : ③ 부하율 (2015년2회)
69.
다음 중 운행속도가 가장 높은 엘리베이터 방식은?
①
직류 기어레스
②
직류 기어드
③
교류 2단
④
교류 1단
정답 : ① 직류 기어레스 (2015년2회)
70.
승객 스스로 운전하는 전자동 엘리베이터로 카버튼이나 승강장의 호출신호로 기동, 정지를 이루는 엘리베이터 조작방식은?
①
승합 전자동식
②
카 스위치 방식
③
레코드 컨트롤 방식
④
시그널 컨트롤 방식
정답 : ① 승합 전자동식 (2015년4회)
71.
흡수식 냉동기의 주요 구성부분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압축기
②
응축기
③
증발기
④
재생기
정답 : ① 압축기 (2021년2회)
72.
공기조화계획에서 내부존의 조닝 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부하 특성별 조닝
②
온·습도 설정별 조닝
③
방위별 조닝
④
용도에 따른 시간별 조닝
정답 : ③ 방위별 조닝 (2015년1회)
73.
급수방식 중 펌프직송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전력 차단 시 급수가 불가능하다.
②
건축적으로 건물의 외관 디자인이 용이해지고 구조적 부담이 경감된다.
③
적정한 수압과 수량확보를 위해서는 정교한 제어장치 및 내구성 있는 제품의 선정이 필요하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