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임지기망가를 적용하는데 있어 이론과 현실이 달라 발생하는 문제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플러스(+) 값만 발생되어 현실과 맞지 않는다.
②
수익과 비용인자는 평가시점에 따라 수시로 변 동한다.
③
동일한 작업을 영구히 계속하는 것은 비현실적 이다.
④
임업이율을 정하는 객관적인 근거가 없어 평정 이 자의적으로 되기 쉽다.
정답 : ① 플러스(+) 값만 발생되어 현실과 맞지 않는다.
42.
어느 임업 법인체의 임목벌채권 취득원가가 8000만원이고, 잔존가치는 3000만원이라고 한다. 총벌채 예정량은 10만㎥이고 당기 벌채량은 4천㎥이라고 하면 당기 총 감가상각비는?
①
1,000,000원
②
2,000,000원
③
3,000,000원
④
4,000,000원
43.
수확조정 방법 중 조사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주로 개벌작업에 적용하고 있다.
②
직접 연년생장량을 측정하여 수확예정량을 결정 한다.
③
경영자의 경험에 의하기 때문에 고도의 기술적 숙련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④
자연법칙을 존중하면서 임업의 경제성을 높이고 다량의 목재생산을 지속하려는 방법이다.
44.
임업이율 중 일반 물가등귀율을 내포하고 있는 것은?
①
자본 이자
②
평정 이율
③
장기적 이율
④
명목적 이율
45.
윤척 사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수간 축에 직각으로 측정한다.
②
흉고부(지상 1.2m)를 측정한다.
③
경사진 곳에서는 임목보다 낮은 곳에서 측정한 다.
④
흉고부에 가지가 있으면 가지 위나 아래를 측정 한다.
정답 : ③ 경사진 곳에서는 임목보다 낮은 곳에서 측정한 다.
46.
경영계획구 내에서 수종, 작업종, 벌기령이 유사하여 공통적으로 시업을 조절할 수 있는 임분의 집단은?
47.
전체 산림 면적을 윤벌기 연수와 같은 수의 벌구로 나누어 한 윤벌기를 거치는 동안 매년 한 벌구씩 벌채 수확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방법은?
①
평분법
②
재적배분법
③
법정축적법
④
구윤벌법
48.
자연휴양림의 수림 공간 형성 특성 중 레크레이션 활동 공간으로써 자유도가 가장 높은 구역은?
①
산개림형
②
열개림형
③
소생림형
④
밀생림형
①
법정축적
②
법정벌채량
③
법정임분배치
④
법정임분배치
50.
임분이 성장하여 성숙기에 도달하는 산림경영계획상의 연수는?
51.
산림에서 간벌할 임목을 대모로 굴취하여 도시의 환경 미화목으로 사용함으로써 중간수입을 얻는 임업경영의 형태는?
①
농지임업
②
혼목임업
③
수예적임업
④
비임지임업
52.
잣나무 30년생의 ha당 재적이 120㎥였던 것이 35년생 때 160㎥가 되었다. 이 때 (160-120)÷5=8㎥의 계산식으로 구하는 성장량은?
①
연년성장량
②
정기성장량
③
총평균성장량
④
정기평균성장량
53.
임가소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농업소득도 임가소득에 포함된다.
②
임업외 소득도 임가소득에 포함된다.
③
겸업 또는 부업으로 인한 소득은 임가소득에서 제외된다.
④
임가소득지표로 생산자원의 소유형태가 서로 다 른 임가사이의 임업경영성과를 직접 비교할 수 없다.
정답 : ③ 겸업 또는 부업으로 인한 소득은 임가소득에서 제외된다.
54.
임지기망가의 기본 공식으로 옳은 것은? (단, R=수익에 대한 전가, C=비용에 대한 전가, n=벌기연수, p=이율)
정답 : ③
55.
임업소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임업소득은 조림지 면적이 커짐에 따라 증대된 다.
②
임업조수익 중에서 임업소득이 차지하는 비율을 임업의존도라 한다.
③
임업소득 가계충족율은 임가의 소비경제가 임업 에 의하여 지탱되는 정도를 나타낸다.
④
임업순수익은 임업경영이 순수익의 최대를 목표 로 하는 자본가적 경영이 이루어졌을 때 얻을 수 있는 수익이다.
정답 : ② 임업조수익 중에서 임업소득이 차지하는 비율을 임업의존도라 한다.
56.
형수(form factor)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정형수는 흉고직경을 기준으로 한다.
②
절대형수는 수간 최하부의 직경을 기준으로 한 다.
③
지하고가 높고 수관량이 적은 나무일수록 흉고 형수가 크다.
④
일반적으로 지위가 양호할수록 흉고형수는 작은 경향이있다.
정답 : ① 정형수는 흉고직경을 기준으로 한다.
57.
잣나무의 흉고직경이 36cm, 수고가 25m일 때 덴진(Denzin)식에 의한 재적(㎥)은?
①
0.025
②
0.036
③
1.296
④
2.592
58.
해마다 연말에 간벌수입으로 100만원씩 수입이 있는 임분을 가지고 있을 때, 이 임분의 자본가는? (단, 이율은 4%)
①
9,615,385원
②
1,040,000원
③
2,500,000원
④
25,000,000원
59.
손익분기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원가는 노동비와 재료비로 구분한다.
②
고정비는 생산량 증감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 다.
③
제품의 판매가격은 판매량과 관계없이 항상 일 정하다.
④
제품 한 단위당 변동비는 생산량에 관계없이 항 상 일정하다.
정답 : ① 원가는 노동비와 재료비로 구분한다.
60.
산림휴양림의 공간이용지역 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기계적 솎아베기 금지
②
덩굴제거는 필요한 경우 인력으로 제거
③
작업시기는 방문객이 적은 시기에 실시
④
가급적 목재생산림의 우량대경재에 준하여 관리
정답 : ④ 가급적 목재생산림의 우량대경재에 준하여 관리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