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축을 제도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긴 축은 단축하여 그릴 수 있으나 길이는 실제 길이를 기입한다.
②
축은 일반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단면을 표시한다.
③
구석 라운드 가공부는 필요에 따라 확대하여 기입할 수 있다.
④
필요에 따라 부분 단면은 가능하다.
정답확인
정답 : ② 축은 일반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단면을 표시한다. (2016년4회 )
27.
기어제도시 잇봉우리원에 사용하는 선의 종류는?
①
가는 1점 쇄선
②
굵은 실선
③
가는 실선
④
가는 2점 쇄선
28.
투상도 표시방법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회전 투상도 - 대상물의 일부분을 회전해서 실제 모양을 나타낸다.
②
부분 투상도 - 대상물의 구멍, 홀 등과 같이 한 부분의 모양을 도시하는 것으로 충분한 경우에는 그 필요한 부분만을 도시한다.
③
보조 투상도 - 경사부가 있는 물체는 그 경사면의 보이는 부분의 실제모양을 전체 또는 일부분을 나타낸다.
④
부분 확대도 - 특정한 부분의 도형이 작아서 그 부분을 자세하게 나타낼 수 없거나 치수 기입을 할 수 없을 때에는 그 해당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다.
정답확인
정답 : ② 부분 투상도 - 대상물의 구멍, 홀 등과 같이 한 부분의 모양을 도시하는 것으로 충분한 경우에는 그 필요한 부분만을 도시한다.(2015년2회 )
29.
다음 중 입출력 장치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①
입력장치 - 트랙볼, 마우스
②
출력장치 - 프린터, COM
③
출력장치 - 디지타이저, 플로터
④
입력장치 - 키보드, 라이트펜
정답확인
정답 : ③ 출력장치 - 디지타이저, 플로터 (2015년4회 )
30.
CAD시스템에서 도면상 임의의 점을 입력할 때 변하지 않는 원점(0,0)을 기준으로 정한 좌표계는?
①
상대 좌표계
②
상승 좌표계
③
절대 좌표계
④
증분 좌표계
31.
다음 기호가 나타내는 각법은?
①
제 1 각법
②
제 2 각법
③
제 4 각법
④
제 3 각법
32.
다음 중 파이프의 끝 부분을 표시하는 그림기호가 아닌 것은?
정답확인
정답 : ②
(2016년2회 )
33.
″왼 2줄 M50x2 6H″로 표시된 나사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M50x2 : 나사의 호칭지름 및 피치
②
왼 : 나사산의 감는 방향
③
6H : 수나사의 등급
④
2중 : 나사산의 줄 수
정답확인
정답 : ③ 6H : 수나사의 등급(2015년2회 )
34.
한국 산업 표준 중 기계부문에 대한 분류 기호는?
①
KS B
②
KS A
③
KS C
④
KS D
35.
도면 작성 시 가는 2점 쇄선을 사용하는 용도로 틀린 것은?
①
길이가 긴 물체의 생략된 부분의 경계선을 나타낼 때
②
축 제도 시 키 홈 가공에 사용되는 공구의 모양을 나타낼 때
③
인접한 다른 부품을 참고로 나타낼 때
④
가공 전 또는 후의 모양을 나타낼 때
정답확인
정답 : ① 길이가 긴 물체의 생략된 부분의 경계선을 나타낼 때 (2016년1회 )
36.
CAD 시스템에서 점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되는 좌표계가 아닌 것은?
①
극 좌표계
②
직교 좌표계
③
원통 좌표계
④
회전 좌표계
37.
미터 사다리꼴나사 [Tr 40x7 LH]에서 LH 가 뜻하는 것은?
38.
투상도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물품의 형상이나 기능을 가장 명료하게 나타내는 면을 주 투상도가 아닌 보조 투상도로 선정한다.
②
물체의 중요한 면은 가급적 투상면에 평행하거나 수직이 되도록 표시한다.
③
조립도 등 주로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에서는 대상물을 사용하는 상태로 표시한다.
④
가공을 위한 도면은 가공량이 많은 공정을 기준으로 가공할 때 놓여진 상태와 같은 방향으로 표시한다.
정답확인
정답 : ① 물품의 형상이나 기능을 가장 명료하게 나타내는 면을 주 투상도가 아닌 보조 투상도로 선정한다. (2016년4회 )
39.
기어의 잇수는 31개, 피치원지름은 62mm 인 표준 스퍼기어의 모듈은 얼마인가?
40.
단면을 나타내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인접하는 얇은 부분의 단면을 나타낼 때는 0.7mm 이상의 간격을 가진 완전한 검은색으로 도시할 수 있다. 단 이 경우 실제 기하학적 형상을 나타내어야 한다.
②
경우에 따라 단면 범위를 매우 굵은 실선으로 강조할 수있다.
③
단면임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해칭선은 동일 부분의 단면인 경우 같은 방식으로 도시되어야 한다.
④
해칭 부위가 넓은 경우 해칭을 할 범위의 외형 부분에 해칭을 제한할 수 있다.
정답확인
정답 : ① 인접하는 얇은 부분의 단면을 나타낼 때는 0.7mm 이상의 간격을 가진 완전한 검은색으로 도시할 수 있다. 단 이 경우 실제 기하학적 형상을 나타내어야 한다. (2016년1회 )
42.
이론적으로 정확한 치수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기호로 옳은 것은?
정답확인
정답 : ③
(2015년5회 )
43.
끼워 맞춤에서 축 기준식 헐거운 끼워 맞춤을 나타낸 것은?
①
h6/P9
②
H6/F8
③
H7/g6
④
h6/F7
44.
도면의 양식 중에서 반드시 마련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①
윤곽선
②
표제란
③
비교 눈금
④
중심 마크
45.
CAD시스템에서 원점이 아닌 주어진 시작점을 기준으로 하여 그 점과 거리로 좌표를 나타내는 방식은?
①
절대좌표방식
②
극좌표방식
③
직교좌표방식
④
상대좌표방식
46.
다음 중 가는 2점 쇄선의 용도로 틀린 것은?
①
공구, 지그 등의 위치
②
가공 전 또는 가공 후의 모양
③
인접 부분 참고 표시
④
회전 단면도를 도형 내에 그릴 때의 외형선
정답확인
정답 : ④ 회전 단면도를 도형 내에 그릴 때의 외형선 (2015년4회 )
47.
나사면에 증기, 기름 또는 외부로부터의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너트는?
①
나비 너트
②
캡 너트
③
둥근 너트
④
사각 너트
48.
최대 허용치수가 구멍 50.025mm, 축 49.975mm이며 최소 허용치수가 구멍 50.000mm, 축 49.950mm일 때 끼워 맞춤의 종류는?
①
상용 끼워맞춤
②
억지 끼워맞춤
③
헐거운 끼워맞춤
④
중간 끼워맞춤
정답확인
정답 : ③ 헐거운 끼워맞춤 (2016년1회 )
49.
스프링 도시의 일반 사항이 아닌 것은?
①
그림 안에 기입하기 힘든 사항은 일괄하여 요목표에 기입한다.
②
코일 스프링은 일반적으로 무 하중 상태에서 그린다.
③
단서가 없는 코일 스프링이나 벌류트 스프링은 모두 왼쪽으로 감은 것을 나타낸다.
④
하중이 걸린 상태에서 그린 경우에는 치수를 기입할 때, 그 때의 하중을 기입한다.
정답확인
정답 : ③ 단서가 없는 코일 스프링이나 벌류트 스프링은 모두 왼쪽으로 감은 것을 나타낸다. (2015년4회 )
50.
스프링의 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코일 스프링에서 특별한 단서가 없으면 오른쪽으로 감은 스프링을 의미한다.
②
코일 스프링에서 양끝을 제외한 동일 모양 부분의 일부를 생략할 때는 생략하는 부분의 선지름의 중심선을 가는 1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③
코일 스프링은 일반적으로 하중이 걸리지 않은 상태로 그린다.
④
스프링의 종류와 모양만을 간략도로 나타내는 경우에는 스프링 재료의 중심선만을 가는실선으로 그린다.
정답확인
정답 : ④ 스프링의 종류와 모양만을 간략도로 나타내는 경우에는 스프링 재료의 중심선만을 가는실선으로 그린다. (2016년1회 )
51.
구멍의 최소 치수가 축의 최대 치수보다 큰 경우로 항상 틈새가 생기는 상태를 말하며, 미끄럼 운동이나 회전운동이 필요한 부품에 적용하는 끼워 맞춤은?
①
중간 끼워 맞춤
②
억지 끼워 맞춤
③
조립 끼워 맞춤
④
헐거운 끼워 맞춤
정답확인
정답 : ④ 헐거운 끼워 맞춤 (2015년5회 )
53.
구의 반지름을 나타내는 치수 보조 기호는?
54.
다음과 같이 제3각법으로 그린 정투상도를 등각투상도로 바르게 표현한 것은?
정답확인
정답 : ②
(2016년1회 )
55.
그림에서 기하공차 기호로 기입할 수 없는 것은?
정답확인
정답 : ①
(2016년4회 )
56.
제 3각법으로 그린 3면도 투상도 중 틀린 것은?
정답확인
정답 : ②
(2015년4회 )
57.
아래와 같은 구멍과 축의 끼워 맞춤에서 최대 죔새는?
①
0.001
②
0.021
③
0.035
④
0.014
58.
Ø35h6에서 위치수 허용차가 0일 때, 최대 허용 한계 치수 값은? (단, 공차는 0.016이다.)
①
Ø35.084
②
Ø35.016
③
Ø35.000
④
Ø34.084
59.
나사 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나사의 끝면에서 본 그림에서 나사의 골 밑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 원주의 3/4에 가까운 원의 일부로 나타낸다.
②
측면에서 본 그림 및 단면도에서 나사산의 봉우리는 굵은실선으로 골 밑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
③
나사부의 길이 경계는 보이는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다.
④
숨겨진 나사를 표시할 때는 나사산의 봉우리는 굵은 파선, 골 밑은 가는 파선으로 그린다.
정답확인
정답 : ④ 숨겨진 나사를 표시할 때는 나사산의 봉우리는 굵은 파선, 골 밑은 가는 파선으로 그린다. (2016년1회 )
60.
베어링의 호칭이 ″6026″ 일 때 안지름은 몇 mm 인가?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