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풀이닷컴에 입력되어 있는 기출문제 자료들를 활용하여 환경기능사 자격증 필기 기출문제를 랜덤(무작위)하게 뽑아내었습니다.
각 문제 하단에
버튼을 클릭하면 정답 및 해당문제의 출제년도 및 회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타 및 오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알려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채점 및 결과 확인 기능은 블로그에서는 어려우니 홈페이지(https://quz.co.kr/)에서 문제풀이를 이용하시면 확인가능합니다.
환경기능사 시험과목은 " 대기오염방지, 폐수처리, 폐기물처리, 소음진동학 " 총 4 과목으로 되어 있으며 과락없이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아래 링크(문제풀이닷컴홈페이지)에서는 환경기능사 기출문제 문제풀이를 회차별 또는 랜덤으로 회원가입등이 없이 문제풀이를 맘껏 풀이 해볼수 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환경기능사
대기오염방지
1.
후드(hood)는 여러 가지 생산공정에서 발생되는 열이나 대기오염물질을 함유하는 공기를 포획하여 환기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후드의 형식(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포위형 후드
②
배기형 후드
③
포집형 후드
④
수형 후드
정답 : ② 배기형 후드 (2013년5회)
2.
대기의 상층은 안정되어 있고, 하층은 불안정하여 굴뚝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이 아래로 지표면에까지 확산되어 오염을 발생시킬 수 있는 연기의 형태는?
①
fanning 형
②
fumigation 형
③
looping 형
④
trapping 형
정답 : ② fumigation 형 (2013년5회)
3.
0.3g/Sm3 인 HCI의 농도를 ppm으로 환산하면? (단, 표준상태 기준)
①
116.4ppm
②
137.7ppm
③
167.3ppm
④
184.1ppm
정답 : ④ 184.1ppm (2011년5회)
4.
다음 중 산성비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바젤협약은 산성비 방지를 위한 대표적인 국제협약이다.
②
산성비에 의한 피해로는 파르테논 신전과 아크로폴리스 같은 유적의 부식 등이 있다.
③
독일에서 발생한 슈바르츠발트(검은 숲이란 뜻)의 고사현상은 산성비에 의한 대표적인 피해이다.
④
산성비의 원인물질로 H2SO3, HCl, HNO3 등이 있다.
정답 : ① 바젤협약은 산성비 방지를 위한 대표적인 국제협약이다. (2015년5회)
5.
다음 중 물에 대한 용해도가 가장 큰 기체는? (단. 온도는 30℃ 기준이며, 기타 조건은 동일하다)
①
H2
②
CO2
③
HCl
④
SO2
정답 : ③ HCl (2011년1회)
6.
다음에서 설명하는 실내공기 오염물질은?
- 자연 방사능 물질 중 하나이다. - 무색, 무취의 기체로 공기보다 9배 정도 무겁다. - 주요 발생원은 토양, 시멘트, 콘크리트, 대리석 등의 건축자재와 지하수, 동굴 등이다.
①
포름알데히드
②
석면
③
휘발성 유기화합물
④
라돈
정답 : ④ 라돈 (2010년5회)
7.
다음 중 여과집진장치의 탈진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진동형
②
역기류형
③
세정형
④
pluse jet형
정답 : ③ 세정형 (2015년2회)
8.
로스엔젤레스(Los Angeles)형 스모그 발생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방사성 역전형태
②
석유계 연료
③
광화학적 반응
④
23~32℃의 고온
정답 : ① 방사성 역전형태 (2012년1회)
9.
다음 업종 중 불화수소가 주된 배출원에 해당하는 것은?
①
고무가공, 인쇄공업
②
내연기관, 폭약제조
③
인산비료, 알루미늄제조
④
코우크스 연소로, 제철
정답 : ③ 인산비료, 알루미늄제조 (2011년2회)
10.
오존층의 두께를 표시하는 단위는?
①
Dobson
②
Plank
③
Donora
④
Albedo
정답 : ① Dobson (2014년2회)
11.
가스상 물질과 먼지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으면서 압력손실이 큰 집진장치는?
①
세정 집진장치
②
원심력 집진장치
③
여과 집진장치
④
전기 집진장치
정답 : ① 세정 집진장치 (2016년2회)
12.
프로판(C3H8) 44kg을 완전연소 시키기 위해 부피비로 10%의 과잉공기를 사용하였다. 이때 공급한 공기의 양은?
①
112 Sm3
②
587 Sm3
③
123 Sm3
④
1.232 Sm3
정답 : ② 587 Sm3(2014년1회)
13.
중량비로 수소가 15%, 수분이 1% 함유되어 있는 중유의 고위발열량이 13000 kcal/kg이다. 이 중유의 저위발열량은?
①
11368kcal/kg
②
12025kcal/kg
③
11976kcal/kg
④
12184kcal/kg
정답 : ④ 12184kcal/kg (2014년5회)
14.
C8H18을 완전연소 시킬 때 부피 및 무게에 대한 이론 AFR로 옳은 것은?
①
부피 : 35.5 무게 : 13.1
②
부피 : 59.5 무게 : 13.1
③
부피 : 59.5 무게 : 15.1
④
부피 : 35.5 무게 : 15.1
정답 : ③ 부피 : 59.5 무게 : 15.1 (2014년1회)
15.
탄소 18kg이 완전연소 하는데 필요한 이론공기량 (Sm3)은?
①
203
②
208
③
160
④
107
정답 : ③ 160 (2013년2회)
폐수처리
16.
다음 중 크롬함유 폐수처리 시 사용되는 크롬환원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NH2SO4
②
SO2
③
Na2SO3
④
FeSO4
정답 : ① NH2SO4(2012년2회)
17.
다음 중 수중의 알칼리도를 ppm 단위로 나타낼 때 기준이 되는 물질은?
①
CaCO3
②
Ca(OH)2
③
HCI
④
CH3OH
정답 : ① CaCO3(2012년5회)
18.
미생물 성장곡선에서 다음 설명과 같은 특성을 보이는 단계는?
- 살이 있는 미생물들이 조금밖에 없는 양분을 두고 서로 경쟁하고, 신진대사율은 큰 비율로 감소한다. - 미생물은 그들 자신의 원형질을 분해시켜 에너지를 얻는 자산과 과정을 겪게 되어 전체 원형질 무게는 감소된다.
①
대수성장기
②
감소성장기
③
내생호흡기
④
지체기
정답 : ③ 내생호흡기 (2016년2회)
19.
다음중 불소제거를 위한 폐수처리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P/L 공정
②
화학침전
③
살수여상
④
UCT 공정
정답 : ② 화학침전 (2013년1회)
20.
다음 중 활성슬러지공법으로 폐수를 처리하는 경우 침전성이 좋은 슬러지가 최종침전지에서 떠오르는 슬러지부상(sludge rising)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인온전도도 차
②
탈질작용
③
색도 차
④
층류 형성
정답 : ② 탈질작용 (2013년1회)
21.
다음 중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에 의거 페놀류를 측정하기 위한 시료의 보존방법(①)과 최대보존기간(②)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① 현장에서 용존산소 고정 후 어두운 곳 보관, ② 8시간
②
① 즉시 여괴 후 4℃ 보관, ② 48시간
③
① 4℃보관, H3PO4로 pH 4 이하 조정한 후 CuSO4 1g/L 첨가, ② 28일
④
① 20℃ 보관, ② 즉시 측정
정답 : ③ ① 4℃보관, H3PO4로 pH 4 이하 조정한 후 CuSO4 1g/L 첨가, ② 28일 (2012년5회)
22.
다음 그래프는 하천에서 질소화합물의 분해과정이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유기물에 함유된 유기질소는 점차 무기 질소로 변한다.
②
유기 질소가 다량 검출되면 수인성 전염병을 유발하는 각종 세균의 존재 가능성을 의심할 수 있다.
③
질산화 미생물에 이해 최종적으로 질산성 질소로 변한다.
④
질산성 질소가 다량 검출되면 오염물질이 인근에서 배출되었다고 의심할 수 있다.
정답 : ④ 질산성 질소가 다량 검출되면 오염물질이 인근에서 배출되었다고 의심할 수 있다. (2013년1회)
23.
SVI = 150인 경우 반송 슬러지 농도(g/m3)는?
①
8452
②
6667
③
5486
④
4570
정답 : ② 6667 (2016년2회)
24.
유기물질의 질산화 과정에서 아질산이온(NO2-)이 질산이온(NO3-)으로 변할 때 주로 관여하는 것은?
①
니트로박터
②
니트로조모나스
③
카로티노모나스
④
디프테리아
정답 : ① 니트로박터 (2011년2회)
25.
다음 중 다른 살균방법에 비해 염소살균을 더 선호하는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잔류염소의 효과
②
인체에 대한 면역성 증가
③
특정온도에서의 반응성 증가
④
부반응의 억제
정답 : ① 잔류염소의 효과 (2009년1회)
26.
다음 보기 중 물리적 흡착의 특징을 모두 고른 것은?
ㄱ. 흡착과 탈착이 비가역적이다. ㄴ. 온도가 낮을수록 흡착량은 많다. ㄷ. 흡착이 다층(multi-layers)에서 일어난다. ㄹ. 분자량이 클수록 잘 흡착된다.
①
ㄴ, ㄹ
②
ㄱ, ㄴ, ㄷ
③
ㄴ, ㄷ, ㄹ
④
ㄱ, ㄴ
정답 : ③ ㄴ, ㄷ, ㄹ (2011년1회)
27.
응집침전법으로 폐수를 처리하기 전에 응집제와 응집보조 제 투여량을 결정하는 응집실험(jar test)의 일반적인 과 정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
급속교반 → 응집제와 보조제 주입 → 완속교반 → 침전
②
응집제와 보조제 주입 → 급속교반 → 완속교반 → 침전
③
완속교반 → 응집제와 보조제 주입 → 급속교반 → 침전
④
침전 → 환속교반 → 응집제와 보조제 주입 → 급속교반
정답 : ② 응집제와 보조제 주입 → 급속교반 → 완속교반 → 침전 (2012년1회)
28.
A 공장의 BOD 배출량은 400인의 인구당량에 해당 한다. A 공장의 폐수량이 200m3/day 일 때 이 공장 폐수의 BOD(mg/L) 값은? (단, 1인이 하루에 배출하는 BOD는 50g 이다.)
①
100
②
150
③
200
④
250
정답 : ① 100 (2013년2회)
29.
지하수의 수질을 분석하였더니 Ca2+=24㎎/L, Mg2+=14㎎/L의 경과를 얻었다. 이 지하수의 경도는? (단, 원자량은 Ca=40, Mg=24이다.)
①
98.7㎎/L
②
123.4㎎/L
③
104.3㎎/L
④
118.3㎎/L
정답 : ④ 118.3㎎/L (2015년1회)
30.
다음 중 부상법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공기부상
②
진공부상
③
용존공기부상
④
산화부상
정답 : ④ 산화부상 (2013년5회)
31.
동점도(v)의 단위로 옳은 것은?
①
g/m2 · sec
②
cm2/g
③
cm2/sec
④
g/cm · sec
정답 : ③ cm2/sec (2014년2회)
32.
염소주입에 의하여 폐수 중의 질소화합물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물질은 무엇인가?
①
유리잔류질소
②
액체질소
③
트리할로메탄
④
클로라민
정답 : ④ 클로라민 (2009년1회)
33.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에서 “취급 또는 저장하는 동안에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또는 내용물이 손실물이 손실되지 아니하도록 보호하는 용기”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밀폐용기
②
차광용기
③
밀봉용기
④
기밀용기
정답 : ① 밀폐용기 (2015년1회)
34.
234ppm NaCl 용액의 농도는 몇 M 인가? (단, 원자량은 Na:23, Cl:35.5 이며, 용액의 비준은 1.0)
①
0.002
②
0.004
③
0.050
④
0.025
정답 : ② 0.004 (2011년1회)
35.
C2H5NO2 150g 분해에 필요한 이론적 산소요구량(g)은? (단, 최종분해산물은 CO2, H2O, HNO3 이다.)
①
89g
②
224g
③
112g
④
94g
정답 : ② 224g (2013년2회)
폐기물처리
36.
인구 100,000명이 거주하고 있는 도시에 1인 1일당 쓰레기 발생량이 평균 1kg이다. 전재용량 4.5톤 트럭을 이용하여 하루에 수거를 마치려면 최소 몇 대가 필요한가?
①
20대
②
12대
③
23대
④
32대
정답 : ③ 23대 (2011년5회)
37.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닌 폐기물 선별벙법은?
- 예부터 농가에서 탈곡 작업에 이용되어 온 것으로 그 작업이 밀폐된 용기내에서 행해지도록 한 것. - 공기 중 각 구성물질의 낙하속도 및 공기저항의 차에 따라 폐기물을 분별하는 방법 - 종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가벼운 물질과 유리, 금속 등의 무거운 물질을 분리하는데 효과적임
①
손선별
②
스크린 선별
③
자력 선별
④
공기 선별
정답 : ④ 공기 선별 (2012년2회)
38.
다음 중 적환장을 설치할 필요성이 가장 낮은 경우는?
①
처분장이 원거리에 있어 도중에 불법 투기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
②
폐기물 수비에 대형 컨테이너를 많이 사용하는 경우
③
공기수송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④
처분장이 멀리 떨어져 있어 소형차량에 의한 수송이 비경제적일 경우
정답 : ② 폐기물 수비에 대형 컨테이너를 많이 사용하는 경우 (2013년1회)
39.
폐기물을 분쇄하여 세립화 및 균일화하는 것을 파쇄라 한다. 파쇄의 장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폐기물 입자의 표면적이 증가되어 미생물 작용이 촉진되어 매립 시 조기안정화를 꾀할 수 있다.
②
조대 쓰레기에 의한 소각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③
조성을 균일하게 하여 정상 연소시 연소효율을 향상시킨다.
④
부피가 커져 운반비는 증가하나 고밀도 매립을 할 수 있으며, 토양으로의 산화 및 환원작용이 빨라진다.
정답 : ④ 부피가 커져 운반비는 증가하나 고밀도 매립을 할 수 있으며, 토양으로의 산화 및 환원작용이 빨라진다. (2013년5회)
40.
폐기물 수거노선을 결정할 때 고려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쓰레기 발생량이 가장 많은 곳을 하루 중 가장 나중에 수거한다.
②
가능한 한 시계방향으로 수거노선을 정한다.
③
수거인원 및 차량형식이 같은 기존 시스템의 조건들을 서로 관련시킨다.
④
출발점은 차고지와 가깝게 한다.
정답 : ① 쓰레기 발생량이 가장 많은 곳을 하루 중 가장 나중에 수거한다. (2016년4회)
41.
다음 중 적환장의 위치로 적당하지 않은 곳은?
①
공중의 반대가 적고 환경적 영향이 최소인 곳
②
건설과 운용이 가장 경제적인 곳
③
쉽게 간선도로에 연결될 수 있고 2차 보조 수송수단에의 연결이 쉬운 곳
④
수거해야 할 쓰레기 발생지역의 무게중심으로부터 먼 곳
정답 : ④ 수거해야 할 쓰레기 발생지역의 무게중심으로부터 먼 곳 (2010년2회)
42.
소각로에서 적용하는 공기비(m)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연소가스량과 실제공기량의 비
②
실제공기량과 이론산소량의 비
③
실제공기량과 이론공기량의 비
④
연소가스량과 이론공기량의 비
정답 : ③ 실제공기량과 이론공기량의 비 (2014년1회)
43.
소각에 비하여 열분해 공정의 특징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①
무산소 분위기 중에서 고온으로 가열한다.
②
열분해 생성물의 질과 양의 안정적 확보가 용이하다.
③
액체 및 기체상태의 연료를 생산하는 공정이다.
④
NOx 발생량이 적다.
정답 : ② 열분해 생성물의 질과 양의 안정적 확보가 용이하다. (2014년2회)
44.
매립지에서 매립 후 경과기간에 따라 매립가스 (Landfill gas) 생성과정을 4단계로 구분할 때, 각 단계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제1단계에서는 친산소성 단계로서 폐기물 내에 수분이 많은 경우에는 반응이 가속화 되어 용존산소가 쉽게 고갈되어 2단계 반응에 빨리 도달한다.
②
4단계에서는 매립가스 내 메탄과 이산화탄소의 함량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③
제3단계에서는 매립지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약 55℃ 정도까지 올라간다.
④
제2단계에서는 산소가 고갈되어 혐기성 조건이 형성되며 질소가스가 발생하기 시작하여, 아울러 메탄가스도 생성되기 시작하는 단계이다.
정답 : ④ 제2단계에서는 산소가 고갈되어 혐기성 조건이 형성되며 질소가스가 발생하기 시작하여, 아울러 메탄가스도 생성되기 시작하는 단계이다. (2014년5회)
45.
폐기물 소각시설의 후연소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연기내의 가연성분의 완전산화를 위해 후연소실은 충분한 양의 잉여 공기가 공급되어야 한다.
②
깨끗하고 가연성인 액상 폐기물은 바로 후연소실로 주입될 수 있다.
③
주연소실에서 생성된 휘발성 기체는 후연소실로 플러들어 연소된다.
④
후연소실 내의 온도는 주연소실의 온도보다 보통 낮게 유지한다.
정답 : ④ 후연소실 내의 온도는 주연소실의 온도보다 보통 낮게 유지한다. (2014년1회)
46.
쓰레기 소각능력이 100kg/m2·hr 이고, 소각할 쓰레기의양이 5100kg/day 이다. 하루 8시간 소각로를 운전한다면 화격자의 면적(m2)은?
①
5.69
②
6.38
③
9.38
④
10.90
정답 : ② 6.38 (2009년1회)
47.
폐기물공정시험기준(방법)에 따라 폐기물 중의 카드뮴을 원자흡광광도계로 분석할 때 측정파장은?
①
583.3nm
②
880nm
③
228.8nm
④
123.3nm
정답 : ③ 228.8nm (2012년2회)
48.
기계적인 탈수방법에 관한 다음 각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원심분리 탈수에는 basket형, disk nozzle형, solid bowl형 등이 있다.
②
필터프레스는 여과천으로 덮여있는 판 사이로 슬러지를 공급시켜 가동한다.
③
진공 탈수에는 rotary drum형, belt형, solid bowl형 등이 있다.
④
원심분리 탈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슬러지의 고형물의 비중이 물보다 작아야 하며, 정기적 보수는 거의 불필요하다.
정답 : ④ 원심분리 탈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슬러지의 고형물의 비중이 물보다 작아야 하며, 정기적 보수는 거의 불필요하다. (2010년1회)
49.
다음 중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 특성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초기 시설투자비가 낮고, 운영 시 소요 에너지도 낮은 편이다.
②
퇴비제품의 품질 표준화가 어렵고, 부지가 많이 필요한 편이다.
③
생산된 퇴비는 비료가치가 높으며, 퇴비완성 시 부피감 소율이 70% 이상으로 큰 편이다.
④
다른 폐기물 처리기술에 비해 고도의 기술수준이 요구 되지 않는다.
정답 : ③ 생산된 퇴비는 비료가치가 높으며, 퇴비완성 시 부피감 소율이 70% 이상으로 큰 편이다. (2010년2회)
50.
연료의 연소에 필요한 이론공기량을 Ao, 공급된 실제공기량을 A라 할 때 공기비를 나타낸 식은?
①
(A-Ao) / Ao
②
A / Ao
③
(A-Ao) / A
④
Ao / A
정답 : ② A / Ao (2016년1회)
51.
수분 함유량 10%인 쓰레기를 건조시켜 수분 함유량을 5%로 하기 위해 쓰레기 1톤당 증발시켜야 하는 수분의 양은? (단, 쓰레기 비준은 1.0)
①
10.0 kg
②
52.6kg
③
100kg
④
41.4 kg
정답 : ② 52.6kg (2009년5회)
52.
도시에서 생활쓰레기를 수거할 때 고려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쓰레기가 적게 발생하는 지점은 하루 중 가장 먼저 수거하도록 한다.
②
U자형 회전을 피하여 수거한다.
③
처음 수거지역은 차고지에서 가깝게 설정한다.
④
교통이 혼잡한 지역은 출 · 퇴근 시간을 피하여 수거한다.
정답 : ① 쓰레기가 적게 발생하는 지점은 하루 중 가장 먼저 수거하도록 한다. (2011년5회)
53.
폐기물 파쇄에 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전단식 파쇄기는 유리나 목질류 등을 파쇄하는데 이용되며, 해머밀은 대표적인 전단식 파쇄기에 해당한다.
②
충격식 파쇄기는 연성이 있는 물질에는 부적합한 편이다.
③
전단식 파쇄기는 고정칼이나 왕복칼 또는 회전칼을 이용하여 폐기물을 절단한다.
④
충격식 파쇄기는 대량 처리가 가능하다.
정답 : ① 전단식 파쇄기는 유리나 목질류 등을 파쇄하는데 이용되며, 해머밀은 대표적인 전단식 파쇄기에 해당한다. (2009년2회)
54.
쓰레기 발생량과 성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일반적으로 도시의 규모가 커질수록 쓰레기 발생량이 증가한다.
②
쓰레기 관련 법규는 쓰레기 발생량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③
대체로 생활수준이 증가하면 쓰레기 발생량도 증가하며 다양화된다.
④
수집빈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쓰레기통이 클수록 발생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정답 : ④ 수집빈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쓰레기통이 클수록 발생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2014년1회)
55.
퇴비화의 단점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생산된 퇴비는 비료가치가 낮다.
②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므로 퇴비 제품의 품질표준화가 어렵다.
③
생산품인 퇴비는 토양의 이화학 성질을 개선시키는 토양개선제로 사용할 수 없다.
④
퇴비가 완성되어도 부피가 크게 감소되지는 않는다.(50% 이하)
정답 : ③ 생산품인 퇴비는 토양의 이화학 성질을 개선시키는 토양개선제로 사용할 수 없다. (2014년2회)
소음진동학
56.
소음계의 성능기준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측정가능 소음도 범위는 35~130dB 이상이어야 한다.
②
지시계기의 눈금오차는 0.5dB 이내이어야 한다.
③
측정가능 주파수 범위는 31.5Hz~8kHz 이상이어야 한다.
④
레벨레인지 변환기의 전환오차는 5dB 이내이어야 한다.
정답 : ④ 레벨레인지 변환기의 전환오차는 5dB 이내이어야 한다. (2016년4회)
57.
마스킹 효과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두음의 주파수가 거의 같을 때는 Doppler 현상에 의해 마스킹 효과가 커진다.
②
두 음의 주파수가 비슷할 때는 마스킹 효과가 대단히 커진다.
③
음파의 간섭에 의해 일어난다.
④
저음이 고음을 잘 마스킹한다.
정답 : ① 두음의 주파수가 거의 같을 때는 Doppler 현상에 의해 마스킹 효과가 커진다. (2012년2회)
58.
투과손실이 32dB인 벽체의 투과율은?
①
3.2 × 10-3
②
6.3 × 10-4
③
3.2 × 10-4
④
6.3 × 10-3
정답 : ② 6.3 × 10-4(2015년5회)
59.
다음은 진동과 관련한 용어설명이다. ( ㉠ ) 안에 알맞은 것은?
(㉠)은(는) 1~90Hz범위의 주파수 대역별 진동가속레벨에 주파수 대역별 인체의 진동감각특성(수직 또는 수평감각)을 보정한 후의 값들을 dB합산한 것이다
①
변위진폭
②
진동레벨
③
진동수
④
등감각곡선
정답 : ② 진동레벨 (2013년1회)
60.
방음대책을 음원대책과 전파경로대책으로 구분할 때 다음 중 음원대책이 아닌 것은?
①
공명방지
②
소음기 설치
③
방음벽 설치
④
방진 및 방사율 저감
정답 : ③ 방음벽 설치 (2011년5회)
환경기능사 기출문제를 비롯하여 더 많은 국가기술자격증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는 문제풀이닷컴 홈페이지(https://quz.co.kr/)에서 이용가능합니다.
문제풀이닷컴에 입력되어 있는 기출문제 자료들를 활용하여 소방설비기사[전기] 자격증 필기 기출문제를 랜덤(무작위)하게 뽑아내었습니다.
각 문제 하단에
버튼을 클릭하면 정답 및 해당문제의 출제년도 및 회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타 및 오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알려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채점 및 결과 확인 기능은 블로그에서는 어려우니 홈페이지(https://quz.co.kr/)에서 문제풀이를 이용하시면 확인가능합니다.
소방설비기사[전기] 시험과목은 " 소방원론, 소방전기일반, 소방관계법규,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 " 총 4 과목으로 되어 있으며 과목당 40점이상,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아래 링크(문제풀이닷컴홈페이지)에서는 소방설비기사[전기] 기출문제 문제풀이를 회차별 또는 랜덤으로 회원가입등이 없이 문제풀이를 맘껏 풀이 해볼수 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소방설비기사[전기]
소방원론
1.
포소화약제의 적응성이 있는 것은?
①
가솔린 화재
②
인화알루미늄 화재
③
알킬리튬 화재
④
칼륨 화재
정답 : ① 가솔린 화재 (2018년2회)
2.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실내의 온도가 21℃에서 650℃가 되었다면 공기의 팽창은 처음의 약 몇 배가 되는가? (단, 대기압은 공기가 유동하여 화재 전후가 같다고 가정한다.)
①
4.27
②
5.69
③
6.01
④
3.14
정답 : ④ 3.14 (2016년4회)
3.
마그네슘의 화재에 주수하였을 때 물과 마그네슘의 반응으로 인하여 생성되는 가스는?
①
산소
②
이산화탄소
③
일산화탄소
④
수소
정답 : ④ 수소 (2015년4회)
4.
A급, B급, C급의 어떤 화재에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일명 ABC 소화약제라고도 부르는 제3종 분말 소화 약제의 분자식은?
①
NaHCO3
②
KHCO3
③
Na2CO3
④
NH4H2PO4
정답 : ④ NH4H2PO4(2014년4회)
5.
화재의 일반적 특성으로 틀린 것은?
①
확대성
②
우발성
③
정형성
④
불안정성
정답 : ③ 정형성 (2019년2회)
6.
물 소화약제를 어떠한 상태로 주수할 경우 전기화재의 진압에서도 소화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가?
①
물에 의한 적상주수
②
물에 의한 봉상주수
③
어떤 상태의 주수에 의해서도 효과가 없다.
④
물에 의한 무상주수
정답 : ④ 물에 의한 무상주수 (2019년2회)
7.
물과 반응하여 가연성 기체를 발생하지 않는 것은?
①
칼륨
②
산화칼슘
③
인화아연
④
탄화알루미늄
정답 : ② 산화칼슘 (2020년4회)
8.
B급 화재 시 사용할 수 없는 소화방법은?
①
단백포로 소화한다.
②
봉상 주수로 소화한다.
③
CO2 소화약제로 소화한다.
④
3종 분말약제로 소화한다.
정답 : ② 봉상 주수로 소화한다. (2017년1회)
9.
분진폭발의 위험성이 가장 낮은 것은?
①
팽창질석
②
유황
③
소맥분
④
알루미늄분
정답 : ① 팽창질석 (2018년1회)
10.
다음 중 열전도율이 가장 작은 것은?
①
철재
②
알루미늄
③
은
④
암면(광물섬유)
정답 : ④ 암면(광물섬유) (2017년2회)
11.
위험물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유황은 자연발화를 일으킬 가능성이 없다.
②
황린은 자연발화를 막기 위해 통상 물 속에 저장한다.
③
유기금속화합물인 사에틸납은 물로 소화할 수 없다.
④
칼륨, 나트륨은 등유 속에 보관한다.
정답 : ③ 유기금속화합물인 사에틸납은 물로 소화할 수 없다. (2016년2회)
12.
공기 중의 산소의 농도는 약 몇 vol% 인가?
①
13
②
21
③
10
④
17
정답 : ② 21 (2020년4회)
13.
건물화재의 표준시간-온도곡선에서 화재발생 후 1시간이 경과할 경우 내부 온도는 약 몇 ℃ 정도 되는가?
①
625
②
925
③
840
④
225
정답 : ② 925 (2017년2회)
14.
목재건축물의 화재 진행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①
무염착화-발염착화-발화-최성기
②
무염착화-최성기-발염착화-발화
③
발염착화-발화-최성기-무염착화
④
발염착화-최성기-무염착화-발화
정답 : ① 무염착화-발염착화-발화-최성기 (2020년4회)
15.
탄산가스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산소와 반응하지 않는다.
②
산소와 반응시 흡열반응을 일으킨다.
③
산화하지 않으나 산소와는 반응한다.
④
산소와 반응하여 불연성 물질을 발생시킨다.
정답 : ① 산소와 반응하지 않는다. (2014년1회)
16.
건축물의 화재를 확산시키는 요인이라 볼 수 없는 것은?
①
접염(接炎)
②
복사열(輻射熱)
③
비화(飛火)
④
자연발화(自然發火)
정답 : ④ 자연발화(自然發火) (2019년2회)
17.
불활성가스 청정소화약제인 IG-541의 성분이 아닌 것은?
①
헬륨
②
이산화탄소
③
아르곤
④
질소
정답 : ① 헬륨 (2015년1회)
18.
다음 중 조연성 가스에 해당하는 것은?
①
산소
②
부탄
③
일산화탄소
④
수소
정답 : ① 산소 (2014년2회)
19.
공기 중의 산소의 농도는 약 몇 vol% 인가?
①
10
②
21
③
17
④
13
정답 : ② 21 (2016년1회)
20.
증발잠열을 이용하여 가연물의 온도를 떨어뜨려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방법은?
①
제거소화
②
질식소화
③
냉각소화
④
억제소화
정답 : ③ 냉각소화 (2016년2회)
소방전기일반
21.
전기기기에서 생기는 손실 중 권선의 저항에 의하여 생기는 손실은?
①
동손
②
포유부하손
③
히스테리시스손
④
철손
정답 : ① 동손 (2019년2회)
22.
변압기의 철심구조를 여러 겹으로 성층시켜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①
와전류로 인한 전력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②
변압비를 크게 하기 위해
③
전력공급 능력을 높이기 위해
④
변압기의 중량을 적게 하기 위해
정답 : ① 와전류로 인한 전력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2016년4회)
23.
역률 80%, 유효전력 80㎾일 때, 무효전력 [kVar]은?
①
64
②
60
③
10
④
16
정답 : ② 60 (2019년1회)
24.
다음 회로에서 출력전압은 몇 V인가? (단, A=5V, B=0V인 경우이다.)
①
5
②
10
③
15
④
0
정답 : ④ 0 (2020년2회)
25.
인덕턴스가 1H인 코일과 정전용량이 0.2μF인 콘덴서를 직렬로 접속할 때 이 회로의 공진주파수는 약 몇 Hz인가?
①
89
②
178
③
267
④
356
정답 : ④ 356 (2019년2회)
26.
PD(비례 미분) 제어 동작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①
잔류편차 제거
②
불연속 제어
③
간헐현상 제거
④
응답 속응성 개선
정답 : ④ 응답 속응성 개선 (2017년1회)
27.
다음 중 강자성체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코발트
②
철
③
니켈
④
알루미늄
정답 : ④ 알루미늄 (2020년3회)
28.
그림과 같은 유접점 회로의 논리식은?
①
A+BㆍC
②
B+AㆍC
③
AㆍB+C
④
AㆍB+BㆍC
정답 : ① A+BㆍC (2020년2회)
29.
그림과 같은 블록선도에서 C는?
①
②
③
④
정답 : ② (2014년4회)
30.
자동제어계를 제어목적에 의해 분류한 경우, 틀린 것은?
①
프로그램제어 : 목표치가 프로그램대로 변하는 제어
②
추종제어 : 목표치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제어
③
서보제어 : 선박의 방향제어계인 서보제어는 정치제어와 같은 성질
④
정치제어 : 제어량을 주어진 일정목표로 유지시키기 위한 제어
정답 : ③ 서보제어 : 선박의 방향제어계인 서보제어는 정치제어와 같은 성질 (2019년1회)
31.
PNPN 4층 구조로 되어 있는 사이리스터 소자가 아닌 것은?
①
GTO
②
Diode
③
TRIAC
④
SCR
정답 : ② Diode (2016년1회)
32.
반도체에 빛을 쬐이면 전자가 방출되는 현상은?
①
펠티어효과
②
압전기효과
③
광전효과
④
홀효과
정답 : ③ 광전효과 (2018년4회)
33.
다음 중 직류전동기의 제동법이 아닌 것은?
①
발전제동
②
회생제동
③
역전제동
④
정상제동
정답 : ④ 정상제동 (2020년2회)
34.
단상 유도전동기의 Slip은 5.5[%], 회전자의 속도가 1700rpm인 경우 동기속도(NS)는?
①
9350rpm
②
1799rpm
③
3090rpm
④
1750rpm
정답 : ② 1799rpm (2018년1회)
35.
내부저항이 200Ω이며 직류 120mA인 전류계를 6A까지 측정할 수 있는 전류계로 사용하고자 한다. 어떻게 하면 되겠는가?
①
12Ω의 저항을 전류계와 병렬로 연결한다.
②
약 6.24Ω의 저항을 전류계와 직렬로 연결한다.
③
24Ω의 저항을 전류계와 직렬로 연결한다.
④
약 4.08Ω의 저항을 전류계와 병렬로 연결한다.
정답 : ④ 약 4.08Ω의 저항을 전류계와 병렬로 연결한다. (2019년4회)
36.
반파 정류 정현파의 최대값이 1일 때, 실효값과 평균값은?
①
②
③
④
정답 : ② (2015년2회)
37.
두 개의 입력신호 중 한 개의 입력만이 1일 때 출력신호가 1이 되는 논리게이트는?
①
NAND
②
AND
③
EXCLUSIVE NOR
④
EXCLUSIVE OR
정답 : ④ EXCLUSIVE OR (2020년4회)
38.
조작량(manipulated variable)은 제어요소에서 무엇에 인가되는 양인가?
①
조작대상
②
입력대상
③
제어대상
④
측정대상
정답 : ③ 제어대상 (2015년4회)
39.
단상교류회로에 연결되어 있는 부하의 역률을 측정하는 경우 필요한 계측기의 구성은?
①
전압계, 전력계, 회전계
②
전류계, 전압계, 주파수계
③
상순계, 전력계, 전류계
④
전압계, 전류계, 전력계
정답 : ④ 전압계, 전류계, 전력계 (2015년1회)
40.
2차 제어시스템에서 무제동으로 무한 진동이 일어나는 감쇠율(damping ratio) δ는?
①
δ >1
②
δ = 0
③
δ = 1
④
0 <δ <1
정답 : ② δ = 0 (2021년1회)
소방관계법규
41.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화재안전기준을 달리 적용하여야 하는 특수한 용도 또는 구조를 가진 특정 소방 대상물인 원자력 발전소에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 소방시설은?
①
물분무등소화설비
②
스프링쿨러설비
③
상수도소화용수설비
④
연결살수설비
정답 : ④ 연결살수설비 (2018년1회)
42.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건축허가 등의 동의대상물의 범위로 틀린 것은?
①
방송용 송⋅수신탑
②
연면적이 400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③
항공기 격납고
④
지하층 또는 무창층이 있는 건축물로서 바닥면적이 50제곱미터 이상인 층이 있는 것
정답 : ④ 지하층 또는 무창층이 있는 건축물로서 바닥면적이 50제곱미터 이상인 층이 있는 것 (2021년2회)
43.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주택의 소유자가 소방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는 대상이 아닌 것은?
①
연립주택
②
다세대주택
③
아파트
④
다가구주택
정답 : ③ 아파트 (2020년4회)
44.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취급하는 위험물의 최대수량이 지정수량의 10배 이하인 경우 공지의 너비 기준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4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①
2m 이상
②
2m 이하
③
3m 이하
④
3m 이상
정답 : ④ 3m 이상 (2021년2회)
45.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일반 공사감리기간으로 포함시켜 산정할 수 있는 항목은?
①
전선관의 매립을 하는 공사기간
②
소화약제 저장용기 설치기간
③
고정금속구를 설치하는 기간
④
공기유입구의 설치기간
정답 : ① 전선관의 매립을 하는 공사기간 (2017년4회)
46.
소방기본법상 명령권자가 소방본부장, 소방서장 또는 소방대장에게 있는 사항은?
①
수사기관이 방화 또는 실화의 혐의가 있어서 이미 피의자를 체포하였거나 증거 물을 압수하였을 때에 화재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수사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그 피의자 또는 압수된 증거물에 대한 조사를 할 수 있다.
②
화재, 재난ㆍ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소방대를 현장에 신속하게 출동시켜 화재진압과 인명구조, 구급 등 소방에 필요한 활동을 하게하여야 한다.
③
화재, 재난ㆍ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이 발생한 현장에서 소방활동을 위하여 필요할 때에는 그 관할구역에 사는 사람 또는 그 현장에 있는 사람으로 하여금 사람을 구출하는 일 또는 불을 끄거나 불이 번지지 아니하도록 하는 일을 하게 할 수 있다.
④
소방 활동을 할 때에 긴급한 경우에는 이웃한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소방 업무의 응원을 요청할 수 있다.
정답 : ③ 화재, 재난ㆍ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이 발생한 현장에서 소방활동을 위하여 필요할 때에는 그 관할구역에 사는 사람 또는 그 현장에 있는 사람으로 하여금 사람을 구출하는 일 또는 불을 끄거나 불이 번지지 아니하도록 하는 일을 하게 할 수 있다. (2019년1회)
47.
소방기본법령상 소방용수시설별 설치기준 중 틀린 것은?
①
저수조는 지면으로부터의 낙차가 4.5m 이하일 것
②
저수조 흡수관의 투입구가 사각형의 경우에는 한 변의 길이가 60㎝ 이상, 원형의 경우에는 지름이 60㎝ 이상일 것
③
급수탑 계폐밸브는 지상에서 1.5m 이상 1.7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도록 할 것
④
소화전은 상수도와 연결하여 지하식 또는 지상식의 구조로 하고, 소방용호스와 연결하는 소화전의 연결금속구의 구경은 100mm 로 할 것
정답 : ④ 소화전은 상수도와 연결하여 지하식 또는 지상식의 구조로 하고, 소방용호스와 연결하는 소화전의 연결금속구의 구경은 100mm 로 할 것 (2018년2회)
48.
소방기본법상 관계인의 소방활동을 위반하여 정당한 사유 없이 소방대가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사람을 구출하는 조치 또는 불을 끄거나 불이 번지지 아니하도록 하는 조치를 하지 아니한 자에 대한 벌칙 기준으로 옳은 것은?
①
400만원 이하의 벌금
②
100만원 이하의 벌금
③
300만원 이하의 벌금
④
2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② 100만원 이하의 벌금 (2017년2회)
49.
2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자 선임 기준으로 틀린 것은?
①
소방공무원으로 3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지
②
전기공사산업기사 자격을 가진 자
③
의용소방대원으로 2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자
④
위험물산업기사 자격을 가진 자
정답 : ③ 의용소방대원으로 2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자 (2017년4회)
50.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은 근무자 및 거주자에 대한 소방훈련과 교육은 연 몇 회 이상 실시하여야 하는가?
①
연 2회 이상
②
연 3회 이상
③
연 4회 이상
④
연 1회 이상
정답 : ④ 연 1회 이상 (2014년4회)
51.
소방자동차의 출동을 방해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얼마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가?
①
5천만원
②
1천5백만원
③
3천만원
④
2천만원
정답 : ③ 3천만원 (2015년2회)
52.
소방방재청장은 방염대상물품의 방염성능검사 업무를 어디에 위탁 할 수 있는가?
①
한국소방공사협회
②
소방산업공제조합
③
한국소방안전협회
④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정답 : ④ 한국소방산업기술원 (2014년1회)
53.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시⋅도지사가 소방시설 등의 자체점검을 하지 아니한 관리업자에게 영업정지를 명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국민에게 심한 불편을 줄 때에는 영업정지 처분을 갈음하여 과징금 처분을 한다. 과징금의 기준은?
①
1,000만원 이하
②
5,000만원 이하
③
2,000만원 이하
④
3,000만원 이하
정답 : ④ 3,000만원 이하 (2021년2회)
54.
위험물운송자 자격을 취득하지 아니한 자가 위험물 이동탱크저장소 운전 시의 벌칙으로 옳은 것은?
①
200만원 이하의 벌금
②
50만원 이하의 벌금
③
300만원 이하의 벌금
④
1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③ 300만원 이하의 벌금 (2014년1회)
55.
화재위험도가 낮은 특정소방대상물 중 소방대가 조직되어 24시간 근무하고 있는 청사 및 차고에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 소방시설이 아닌 것은?
①
비상방송설비
②
자동화재탐지설비
③
연결송수관설비
④
피난기구
정답 : ② 자동화재탐지설비 (2017년2회)
56.
다음 중 스프링클러설비를 의무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기준으로 틀린 것은?
①
지하가로 연면적이 1000 ㎡ 이상인 것
②
판매시설로 수용인원이 300인 이상인 것
③
숙박시설로 11층 이상인 것
④
복합건축물로 연면적 5000 ㎡ 이상인 것
정답 : ② 판매시설로 수용인원이 300인 이상인 것 (2015년2회)
57.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 규정하는 제3류 위험물의 품명에 속하는 것은?
①
나트륨
②
무기과산화물
③
염소산염류
④
유기과산화물
정답 : ① 나트륨 (2015년1회)
58.
소방기본법령상 소방안전교육사의 배 치 대상별 배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①
소방본부 : 2명 이상 배치
②
소방청 : 2명 이상 배치
③
한국소방안전협회(본회) : 1명 이상 배치
④
소방서 : 1명 이상 배치
정답 : ③ 한국소방안전협회(본회) : 1명 이상 배치 (2020년4회)
59.
소방특별조사 결과 화재예방을 위하여 필요한 때 관계인에게 소방대상물의 개수·이전·제거, 사용의 금지 또는 제한 등의 필요한 조치를 명할 수 있는 사람이 아닌 것은?
①
시·도지사
②
국민안전처장관
③
소방본부장
④
소방서장
정답 : ① 시·도지사 (2015년1회)
60.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청문을 실시하여 처분해야 하는 것은?
①
탱크시험자의 영업정지 처분
②
제조소등 설치허가의 취소
③
과징금 부과 처분
④
제조소등 영업정지 처분
정답 : ② 제조소등 설치허가의 취소 (2019년2회)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
61.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길이 500m 이상의 터널
②
위락시설, 숙박시설, 의료시설로서 연면적 500m2 이상인 것
③
지하구
④
근린생활 시설 중 목욕장, 문화집회 및 운동시설, 통신 촬영시설로 연면적 600m2 이상인 것
정답 : ③ 지하구 (2014년1회)
62.
비상콘센트의 플러그접속기는 접지형 및 극 플러그 접속기를 사용해야 하는가?
①
1극
②
2극
③
4극
④
3극
정답 : ② 2극 (2015년1회)
63.
누전경보기의 전원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①
전원을 분기할 때에는 다른 차단기에 따라 전원이 차단되지 아니하도록 할 것
②
각 극에 개폐가 또는 15A 이하의 배선용차단기를 설치 할 것
③
전원은 분전반으로부터 전용회로로 할 것
④
전원의 개폐기에는 누전경보기용임을 표시한 표지를 할 것
정답 : ② 각 극에 개폐가 또는 15A 이하의 배선용차단기를 설치 할 것 (2014년1회)
64.
부착 높이에 따른 감지기의 종류로서 옳지 않는 것은?
①
4m 미만 : 차동식 스포트형
②
8m 이상 15m 미만 : 열복합형
③
4m 이상 8m 미만 : 보상식 스포트형
④
15m 이상 20m 미만 : 연기복합형
정답 : ② 8m 이상 15m 미만 : 열복합형 (2014년2회)
65.
비상방송설비 음향장치의 설치기준 중 옳은 것은?
①
층수가 5층 이상으로서 연면적이 3000m2를 초과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지하층에서 발화한 때에는 직상층에만 경보를 발할 것
②
음향장치는 정격전압의 60% 전압에서 음향을 발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③
음향장치는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작동과 연동하여 작동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④
확성기는 각층마다 설치하되, 그 층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확성기까지의 수평거리가 15m 이하가 되도록 하고, 해당층의 각 부분에 유효하게 경보를 발할 수 있도록 설치할 것
정답 : ③ 음향장치는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작동과 연동하여 작동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2018년1회)
66.
누전경보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라 누전경보기에 차단기구를 설치하는 경우 차단기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개폐부는 수동으로 개폐되어야 하며 자동적으로 복귀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②
개폐부는 원활하고 확실하게 작동하여야 한다.
③
개폐부는 KS C 8321(배선용차단기)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④
개폐부는 정지점이 명확하여야 한다.
정답 : ③ 개폐부는 KS C 8321(배선용차단기)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2020년4회)
67.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에 따른 발신기의 시설기준에 대한 내용이다. 다음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발신기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등은 함의 상부에 설치하되, 그 불빛은 부착면으로부터 (㉠)˚이상의 범위 안에서 부탁지점으로부터 (㉡)m 이내의 어느 곳에서도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적색등으로 하여야 한다.
①
㉠ 25, ㉡ 15
②
㉠ 10, ㉡ 10
③
㉠ 25, ㉡ 20
④
㉠ 15, ㉡ 10
정답 : ④ ㉠ 15, ㉡ 10 (2021년2회)
68.
비상방송설비에서 연면적은 3000m2을 초과하는 특정소방대상물로 몇 층 이상인 경우 우선경보방식을적용할 수 있는가?
①
5층
②
2층
③
3층
④
4층
정답 : ① 5층 (2014년1회)
69.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에 따라 지하층·무장층 등으로서 환기가 잘되지 아니하거나 실내 면적이 40m2 미만인 장소에 설치하여야 하는 적응성이 있는 감지기가 아닌 것은?
①
광전식분리형감지기
②
불꽃감지기
③
정온식스포트형감지기
④
아날로그방식의 감지기
정답 : ③ 정온식스포트형감지기 (2020년3회)
70.
비상조명등의 설치제외 기준 중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
거실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출입구에 이르는 보행거리가 ( )m 이내인 부분
①
2
②
25
③
15
④
5
정답 : ③ 15 (2017년4회)
71.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에 따른 감지기의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①
정온식감지기는 주방·보일러실 등으로서 다량의 화기를 취급하는 장소에 설치하되 공칭작동온도가 최고주의온도보다 20°C 이상 높은 것으로 설치할 것
②
보상식스포트형 감지기는 정온점이 감지기 주위의 평상시 최고온도보다 10°C 이상 높은 것으로 설치할 것
③
감지기(차동분포형의 것을 제외한다.)는 실내로의 공기유입구로부터 1.5m 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할 것
④
스포트형감지기는 45° 이상 경사되지 아니하도록 부착할 것
정답 : ② 보상식스포트형 감지기는 정온점이 감지기 주위의 평상시 최고온도보다 10°C 이상 높은 것으로 설치할 것 (2019년4회)
72.
비상경보설비를 설치하여야 할 특정소방 대상물의 기준 중 옳은 것은? (단, 지하구, 모래·석재 등 불연재료 창고 및 위험물 저장·처리 시설 중 가스시설은 제외한다.)
①
지하층 또는 무창층의 바닥면적이 150m2 (공연장의 경우 100m2) 이상인 것
②
지하가 중 터널로서 길이가 1000m 이상인 것
③
30명 이상의 근로자가 작업하는 옥내 작업장
④
연면적 500m2(지하가 중 터널 또는 사람이 거주하지 않거나 벽이 없는 축사 등 동·식물 관련시설은 제외) 이상인 것
정답 : ① 지하층 또는 무창층의 바닥면적이 150m2 (공연장의 경우 100m2) 이상인 것 (2017년4회)
73.
누전경보기 수신부의 설치로 적당한 곳은?
①
부식성의 증기 등이 다량 체류하는 장소
②
습도가 높은 장소
③
온도의 변화가 급격한 장소
④
옥내에 점검이 편리한 건조한 장소
정답 : ④ 옥내에 점검이 편리한 건조한 장소 (2014년4회)
74.
비상콘센트설비 전원회로의 설치기준 중 틀린 것은?
①
전원회로는 각층에 2 이상이 되도록 설치할 것. 다만, 설치하여야 할 층의 비상콘센트가 1개인 때에는 하나의 회로로 할 수 있다.
②
비상콘센트용의 풀박스 등은 방청도장을 한 것으로서, 두께 1.6mm 이상의 철판으로 하여야 한다.
③
전원회로는 3상교류 380V 이상인 것으로서, 그 전원공급용량은 3kVA 이상인 것으로 하여야 한다.
④
하나의 전용회로에 설치라는 비상콘센트는 10개 이하로 할 것. 이 경우 전선의 용량은 각 비상콘센트(비상콘센트가 3개 이상인 경우에는 3개)의 공급용량을 합한 용량 이상의 것으로 하여야 한다.
정답 : ③ 전원회로는 3상교류 380V 이상인 것으로서, 그 전원공급용량은 3kVA 이상인 것으로 하여야 한다. (2018년2회)
75.
누전경보기의 화재안전기준에서 변류기의 설치위치 기준으로 옳은 것은?
①
제3종 접지선측의 점검이 쉬운 위치에 설치
②
옥외 인입선의 제1지점의 부하측에 설치
③
제1종 접지선측의 점검이 쉬운 위치에 설치
④
인입구에 근접한 옥외에 설치
정답 : ② 옥외 인입선의 제1지점의 부하측에 설치 (2015년2회)
76.
누전경보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라 감도조정장치를 갖는 누전경보기에 있어서 감도조정장치의 조정범위는 최대치가 몇 A이어야 하는가?
①
1.0
②
1.5
③
0.2
④
2.0
정답 : ① 1.0 (2021년2회)
77.
피난기구 설치 개수의 기준 중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
층마다 설치하되, 숙박시설·노유자시설 및 의료시설로 사용되는 층에 있어서는 그 층의 바닥면적 (㉠)m2마다, 위락시설·판매시설로 사용되는 층 또는 복합용도의 층에 있어서는 그 층의 바닥면적 (㉡)m2마다, 계단실형 아파트에 있어서는 각 세대마다, 그 밖의 용도의 층에 있어서는 그 층의 바닥면적 (㉢)m2마다 1개 이상 설치할 것
①
㉠ 300, ㉡ 500, ㉢ 1000
②
㉠ 500, ㉡ 800, ㉢ 1000
③
㉠ 300, ㉡ 500, ㉢ 1500
④
㉠ 500, ㉡ 800, ㉢ 1500
정답 : ② ㉠ 500, ㉡ 800, ㉢ 1000 (2018년1회)
78.
무선통신보조설비의 누설동축케이블 또는 동축케이블의 임피던스는 몇 Ω으로 하여야 하는가?
①
5Ω
②
100Ω
③
10Ω
④
50Ω
정답 : ④ 50Ω (2014년2회)
79.
비상방송설비에 사용되는 확성기는 각층마다 설치하되 그 층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확성기까지의 수평거리는 최대 몇 m 이하인가?
①
30
②
25
③
15
④
20
정답 : ② 25 (2015년2회)
80.
비상조명등 비상점등 회로의 보호를 위한 기준 중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
비상조명등은 비상점등을 위하여 회로로 정격전류의 (ㄱ)배 이상의 전류가 흐르거나 램프가 없는 경우에는 (ㄴ) 초 이내에 예비전원으로부터 비상전원 공급을 차단해야 한다.
①
ㄱ 2, ㄴ 1
②
ㄱ 3, ㄴ 1
③
ㄱ 2.1, ㄴ 5
④
ㄱ1.2, ㄴ 3
정답 : ④ ㄱ1.2, ㄴ 3 (2016년4회)
소방설비기사[전기] 기출문제를 비롯하여 더 많은 국가기술자격증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는 문제풀이닷컴 홈페이지(https://quz.co.kr/)에서 이용가능합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