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기사 필기 기출문제 - 오늘의 문제풀이

오늘의 기출문제 모의고사는 건축기사 입니다.

문제풀이닷컴에 입력되어 있는 기출문제 자료들를 활용하여 건축기사 자격증 필기 기출문제를 랜덤(무작위)하게 뽑아내었습니다.

각 문제 하단에  

버튼을 클릭하면 정답 및 해당문제의 출제년도 및 회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타 및 오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알려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채점 및 결과 확인 기능은 블로그에서는 어려우니 홈페이지(https://quz.co.kr/)에서 문제풀이를 이용하시면 확인가능합니다.

 

건축기사 시험과목은 " 건축계획, 건축시공, 건축구조, 건축설비, 건축관계법규 " 총 5 과목으로 되어 있으며 과목당 40점이상,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아래 링크(문제풀이닷컴홈페이지)에서는 건축기사 기출문제 문제풀이를 회차별 또는 랜덤으로 회원가입등이 없이 문제풀이를 맘껏 풀이 해볼수 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건축기사

 

건축계획

1.
한국건축의 가구법과 관련하여 칠량가에 속하지 않는 것은?
 
무위사 극락전
 
지림사 대적광전
 
수덕사 대웅전
 
금산사 대적광전
 
정답 : ③ 수덕사 대웅전 (2018년4회)
2.
공장 건축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공장의 지붕형식 중 톱날지붕은 균일한 조도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평면계획 시 관리부분과 생산공정부분을 구분하고 동선이 혼란되지 않게 한다.
 
기능식 레이아웃은 소종다량생산이나 표준화가 쉬운 경우에 주로 적용된다.
 
공장건축의 형식에서 집중식(Block Type)은 건축비가 저렴하고, 공간효율도 좋다.
 
정답 : ③ 기능식 레이아웃은 소종다량생산이나 표준화가 쉬운 경우에 주로 적용된다. (2019년2회)
3.
연극을 감상하는 경우 배우의 표정이나 동작을 감상할 수 있는 시각 한계는?
 
15m
 
5m
 
10m
 
3m
 
정답 : ① 15m (2018년1회)
4.
종합병원 건축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간호사 대기실은 각 간호단위 또는 층별, 동별로 설치한다.
 
수술실의 바닥마감은 전기도체성 마감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병실의 창문은 환자가 병상에서 외부를 전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외래진료방식은 오픈 시스템이며 대규모의 각종 과를 필요로 한다.
 
정답 : ④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외래진료방식은 오픈 시스템이며 대규모의 각종 과를 필요로 한다. (2019년1회)
5.
종합병원의 건축형식 중 분관식(pavilion typ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일반적으로 3층 이하의 저층건물로 구성된다.
 
재난 시 환자의 피난이 어려우며 공사비가 높다.
 
채광 및 통풍 조건이 좋다.
 
평면 분산식이다.
 
정답 : ② 재난 시 환자의 피난이 어려우며 공사비가 높다. (2020년1회)
6.
한국건축의 평면형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쌍봉사 대웅전은 2칸 장방형 평면이다.
 
퇴 없이 측면이 단 칸인 평면은 평안도 살림집에서 많이 나타난다.
 
다각형 평면으로는 육각과 팔각이 많이 사용되었는데 대개 정자에서 나타난다.
 
중부지방 민가에서는 ㄱ자형 평면이 많은데 이를 곱은자집이라고도 한다.
 
정답 : ① 쌍봉사 대웅전은 2칸 장방형 평면이다.
(2016년4회)
7.
극장의 평면형 중 애리나(arena)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투시도법을 무대공간에 응용함으로써 하나의 구상화와 같은 느낌이 들게 한다.
 
연기자가 한쪽 방향으로만 관객을 대하게 된다.
 
picture frame stage 라고도 불리운다.
 
무대의 배경을 만들지 않으므로 경제적이다.
 
정답 : ④ 무대의 배경을 만들지 않으므로 경제적이다. (2017년1회)
8.
사무소 건축의 코어 형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양단코어형은 코어가 분산되어 있어 피난상 불리하다.
 
편심코어형은 각 층의 바닥면적이 큰 경우 적합하다.
 
외코어형은 설비 덕트나 배관을 코어로부터 사무실 공간으로 연결하는데 제약이 없다.
 
중심코어형은 구조적으로 바람직한 형식으로 유효율이 높은 계획이 가능하다.
 
정답 : ④ 중심코어형은 구조적으로 바람직한 형식으로 유효율이 높은 계획이 가능하다. (2018년2회)
9.
사무소 건물의 엘리베이터 배치 시 고려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대면배치의 경우, 대면거리는 동일 군 관리의 경우 3.5m~4.5m로 한다.
 
교통동선의 중심에 설치하여 보행거리가 짧도록 배치한다.
 
일렬 배치는 6대를 한도로 하고, 엘리베이터 중심간 거리는 10m 이하가 되도록 한다.
 
여러 대의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경우, 그룹별 배치와 군 관리 운전방식으로 한다.
 
정답 : ③ 일렬 배치는 6대를 한도로 하고, 엘리베이터 중심간 거리는 10m 이하가 되도록 한다. (2018년4회)
10.
로마의 판테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직사각형의 입구 공간은 외부와 내부 사이의 전이 공간으로 사용된다.
 
로툰다 내부는 드럼(drum)과 돔(dome)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거대한 돔을 얹은 로툰다와 대형 열주 현관이라는 두 주된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다.
 
드럼 하부는 깊은 니치와 독립한 컴포지트식 기둥들로 정적인 공간을 구현한다.
 
정답 : ④ 드럼 하부는 깊은 니치와 독립한 컴포지트식 기둥들로 정적인 공간을 구현한다.
(2015년1회)
11.
공장건축의 지붕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솟을지붕은 채광, 환기에 적합한 방법이다.
 
톱날지붕은 북향의 채광창으로 일정한 조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샤렌지붕은 기둥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뾰족지붕은 직사광선을 어느 정도 허용하는 결점이 있다.
 
정답 : ③ 샤렌지붕은 기둥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2018년2회)
12.
미술관의 전시실 순회형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연속순회 형식은 전시 중에 하나의 실을 폐쇄하면 동선이 단절된다는 단점이 있다.
 
갤러리 및 코리더 형식에서는 복도 자체도 전시공간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중앙홀 형식에서 중앙홀이 크면 동선의 혼란은 많으나 장래의 확장에는 유리하다.
 
갤러리 및 코리더 형식은 복도에서 각 전시실에 직접 출입할 수 있으며 필요시에 자유로이 독립적으로 폐쇄할 수가 있다.
 
정답 : ③ 중앙홀 형식에서 중앙홀이 크면 동선의 혼란은 많으나 장래의 확장에는 유리하다. (2021년2회)
13.
은행건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영업실의 면적은 은행원 1인당 최소 20㎡ 이상 되어야 한다.
 
금고실은 고객대기실에서 떨어진 위치에 둔다.
 
일반적으로 주출입문은 안여닫이로 함이 타당하다.
 
은행실은 고객대기실과 영업실로 나누어지며 은행의 주체를 이루는 곳이다.
 
정답 : ① 영업실의 면적은 은행원 1인당 최소 20㎡ 이상 되어야 한다.
(2016년4회)
14.
도서관 출납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자유개가식은 이용자가 자유롭게 도서를 꺼낼 수 있으나 열람석으로 가기 전에 관원에게 체크를 받는 형식이다.
 
폐가식은 서고와 열람실이 분리되어 있다.
 
안전개가식은 서가 열람이 가능하여 도서를 직접 뽑을 수 있다.
 
반개가식은 새로 출간된 신간 서적 안내에 채용된다.
 
정답 : ① 자유개가식은 이용자가 자유롭게 도서를 꺼낼 수 있으나 열람석으로 가기 전에 관원에게 체크를 받는 형식이다. (2019년4회)
15.
자연형 테라스 하우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각 세대마다 전용의 정원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후면에 창을 설치할 수 없으므로 각 세대ㅐ 깊이가 너무 깊지 않도록 한다.
 
하향식이나 상향식 모두 스플릿 레벨이 가능하다.
 
하향식의 경우 각 세대의 규모를 동일하게 할 수 없다.
 
정답 : ④ 하향식의 경우 각 세대의 규모를 동일하게 할 수 없다.
(2017년1회)
16.
다음 중 리조트 호텔에 속하지 않는 것은?
 
해변호텔(beach hotel)
 
산장호텔(mountain hotel)
 
부두호텔(harbor hotel)
 
클럽 하우스(club house)
 
정답 : ③ 부두호텔(harbor hotel) (2017년4회)
17.
그리스 신전 건축에 사용된 착시 현상의 보정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기둥의 전체적인 윤곽을 중앙부에서 약간 부풀게 만들었다.
 
모서리 쪽의 기둥 간격을 넓혔다.
 
기둥 같은 수직 부재들은 올라가면서 약간 안쪽으로 기울였다.
 
기단, 아키트레이브, 코니스 등이 이루는 긴 수평선들을 약간 위로 블룩하게 만들었다.
 
정답 : ② 모서리 쪽의 기둥 간격을 넓혔다.
(2015년1회)
18.
백화점 계획에서 매장 부분의 외관을 무창으로 하는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벽면에 상품 전시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실내의 조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
 
인접건물의 화재시 백화점으로의 인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창으로부터의 역광이 없도록 하여 디스플레이(display)를 유리하게 하기 위해서
 
정답 : ③ 인접건물의 화재시 백화점으로의 인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2017년2회)
19.
건축계획에서 말하는 미의 특성 중 변화 혹은 다양성을 얻는 방식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대비(Contrast)
 
억양(Accent)
 
균제(Proportion)
 
대칭(Symmetry)
 
정답 : ④ 대칭(Symmetry) (2018년2회)
20.
도서관의 출납 시스템 유형 중 이용자가 자유롭게 도서를 꺼낼 수 있으나 열람석으로 가기 전에 관원의 검열을 받는 형식은?
 
자유개가식
 
안전개가식
 
폐가식
 
반개가식
 
정답 : ② 안전개가식 (2020년4회)

건축시공

21.
타일공사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벽체타일이 시공되는 경우 바닥타일은 벽체타일을 붙이기 전에 시공한다.
 
타일을 붙이는 모르타르에 시멘트 가루를 뿌리면 백화가 방지된다.
 
치장줄눈은 24시간이 경과한 뒤 붙임모르타르의 경화정도를 보아 시공한다.
 
모자이크 타일의 줄눈너비의 표준은 5mm 이다.
 
정답 : ③ 치장줄눈은 24시간이 경과한 뒤 붙임모르타르의 경화정도를 보아 시공한다.
(2016년4회)
22.
다음 중 공사 진행의 일반적인 순서로 옳은 것은?
 
공사 착공 준비 → 토공사 → 가설공사→ 구조체공사 → 지정 및 기초공사
 
가설공사 → 공사 착공 준비 → 토공사→ 지정 및 기초공사 → 구조체공사
 
공사 착공 준비 → 지정 및 기초공사→ 토공사 → 가설공사 → 구조체공사
 
공사 착공 준비 → 가설공사 → 토공사→ 지정 및 기초공사 → 구조체공사
 
정답 : ④ 공사 착공 준비 → 가설공사 → 토공사→ 지정 및 기초공사 → 구조체공사 (2016년2회)
23.
철골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볼트조임에는 임팩트렌치, 토크렌치 등을 사용한다.
 
볼트접합부는 부식하기 쉬우므로 방청도장을 하여 야 한다.
 
용접부 비파괴 검사에는 침투탐상법, 초음파탐상법 등이 있다.
 
철골조는 화재에 의한 강성저하가 심하므로 내화피복을 하여야 한다.
 
정답 : ② 볼트접합부는 부식하기 쉬우므로 방청도장을 하여 야 한다. (2018년1회)
24.
발주자에 의한 현장관리로 볼 수 없는 것은?
 
클래임 관리
 
현장회의 운영
 
하도급계약
 
착공신고
 
정답 : ③ 하도급계약 (2016년4회)
25.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혼화재 중 플라이애시의 사용에 따른 이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초기강도의 증진
 
유동성의 개선
 
수밀성의 향상
 
수화열의 감소
 
정답 : ① 초기강도의 증진 (2017년2회)
26.
건축용 목재의 일반적인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기건상태의 목재의 함수율은 15% 정도이다.
 
목재의 심재는 변재보다 건조에 의한 수축이 적다.
 
섬유포화점 이상에서는 목재의 함수율이 증가함에 따라 강도는 증가한다.
 
섬유포화점 이하에서는 목재의 함수율이 증가함에 따라 강도는 감소한다.
 
정답 : ③ 섬유포화점 이상에서는 목재의 함수율이 증가함에 따라 강도는 증가한다. (2021년1회)
27.
수량 산출 작업을 함에 있어 효율적인 적산방법이 아닌 것은?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적산한다.
 
시공순서대로 적산한다.
 
내부에서 외부로 적산한다.
 
큰 곳에서 작은 곳으로 적산한다.
 
정답 : ①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적산한다. (2015년4회)
28.
건설사업자원 통합 전산망으로 건설 생산활동 전 과정에서 건설 관련 주체가 전산망을 통해 신속히 교환·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합 정보시스템을 지칭하는 용어는?
 
건설 CALS(Continuous Acquisition &Life Cycle Support)
 
건설 EVMS(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
 
건설 CIC(Computer Integraded Construction)
 
건설 EC(Engineering Construction)
 
정답 : ① 건설 CALS(Continuous Acquisition &Life Cycle Support) (2020년3회)
29.
특수콘크리트 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하루의 평균기온이 25°C를 초과하는 것이 예상되는 경우 서중콘크리트로 시공한다.
 
하루의 평균기온이 4°C 이하가 예상되는 조건일 때 한중콘크리트로 시공한다.
 
매스콘크리트로 다루어야 할 하단이 구속된 벽조의 경우 두께 0.8m 이상으로 한다.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시공은 품질이 얻어지도록 재료, 배합, 비비기 설비 등에 대하여 충분히 고려한다.
 
정답 : ③ 매스콘크리트로 다루어야 할 하단이 구속된 벽조의 경우 두께 0.8m 이상으로 한다. (2017년2회)
30.
문 윗틀과 문짝에 설치하여 문이 자동적으로 닫혀지게 하며, 개폐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는?
 
피봇 힌지(Pivot hinge)
 
도어 체인(Door chain)
 
도어 체크(Door check)
 
도어 홀더(Door holder)
 
정답 : ③ 도어 체크(Door check) (2021년1회)
31.
철골공사 용접작업의 용접자세를 표현하는 각 기호의 의미하는 바가 옳은 것은?
 
V : 하향자세
 
H : 수직자세
 
F : 수평자세
 
O : 상향자세
 
정답 : ④ O : 상향자세 (2017년4회)
32.
도막방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도막두께는 원칙적으로 사용량을 중심으로 관리한다.
 
우레아수지계 도막방수재를 스프레이 시공할 경우 바탕면과 200mm 이하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방수재의 겹쳐바르기 폭은 100mm 내외로 한다.
 
방수재의 도포시 치켜올림 부위를 도포한 다음, 평면부위의 순서로 도포한다.
 
정답 : ② 우레아수지계 도막방수재를 스프레이 시공할 경우 바탕면과 200mm 이하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2016년2회)
33.
철골부재의 공장제작 시 대략적인 작업순서를 옳게 나열한 것은?
 
원척도 → 금매김 → 본뜨기 → 절단 및 가공 → 구멍뚫기 → 가조립 → 본조립 → 검사
 
원척도 → 본뜨기 → 금매김 → 구멍뚫기 → 절단 및 가공 → 가조립 → 본조립 → 검사
 
원척도 → 본뜨기 → 금매김 → 절단 및 가공 → 구멍뚫기 → 가조립 → 본조립 → 검사
 
본뜨기 → 원척도 → 금매김 → 절단 및 가공 → 구멍뚫기 → 가조립 → 본조립 → 검사
 
정답 : ③ 원척도 → 본뜨기 → 금매김 → 절단 및 가공 → 구멍뚫기 → 가조립 → 본조립 → 검사
(2016년1회)
34.
다음 중 QC 활동의 도구가 아닌 것은?
 
기능계통도
 
특성요인도
 
파레토그램
 
층별
 
정답 : ① 기능계통도 (2016년2회)
35.
건축 석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건식쌓기 공법의 경우 시공이 불량하면 백화현상 등의 원인이 된다.
 
시공 전에 설계도에 따라 돌나누기 상세도, 원척도를 만들고 석재의 치수, 형상, 마감방법 및 철물 등에 의한 고정방법을 정한다.
 
마감면에 오염의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폴리에틸렌 시트 등으로 보양한다.
 
석재 물갈기 마감 공정의 종류는 거친갈기, 물갈기, 본갈기, 정갈기가 있다.
 
정답 : ① 건식쌓기 공법의 경우 시공이 불량하면 백화현상 등의 원인이 된다. (2021년1회)
36.
녹막이 칠에 사용하는 도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아연분말 도료
 
역청질 도료
 
광명단
 
크레오소트유
 
정답 : ④ 크레오소트유 (2021년2회)
37.
계약 방식 중 단가계약 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설계변경에 의한 수량의 증감이 용이하다.
 
실시수량의 확정에 따라서 차후 정산하는 방식이다.
 
긴급공사 시 또는 수량이 불명확할 때 간단히 계약할 수 있다.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복잡한 공사에 적용하는 것이 좋다.
 
정답 : ④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복잡한 공사에 적용하는 것이 좋다. (2020년1회)
38.
공기단축을 목적으로 공정에 따라 부분적으로 완성된 도면만을 가지고 각 분야별 전문가를 구성하여 패스트(Fast Track)공사를 진행하기에 가장 적합한 조직구조는?
 
기능별 조직(Functional Organization)
 
매트릭스 조직(Matrix Organization)
 
라인스탭 조직(Line-Staff Organization)
 
태스크포스 조직(Task Force Organization)
 
정답 : ③ 라인스탭 조직(Line-Staff Organization) (2017년4회)
39.
공사장 부지 경계선으로부터 50m 이내에 주거·상가건물이 있는 경우에 공사현장 주위에 가설울타리는 최소 얼마 이상의 높이로 설치하여야 하는가?
 
3 m
 
1.5 m
 
1.8 m
 
2 m
 
정답 : ① 3 m (2019년2회)
40.
Low-E 유리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실외의 물체들이 자연색 그대로 실내로 전달된다.
 
가시광선 투과율은 맑은 유리와 비교할 때 큰 차이가 난다.
 
근적외선 영역의 열선 투과율은 현저히 낮다.
 
색유리를 사용했을 때보다 실내는 훨씬 밝아진다.
 
정답 : ② 가시광선 투과율은 맑은 유리와 비교할 때 큰 차이가 난다.
(2015년2회)

건축구조

41.
그림과 같은 모살용접의 유효용접길이는? (단, 유효용접길이는 1면에 대해서만 산정)
 
114mm
 
107mm
 
10mm
 
94mm
 
정답 : ④ 94mm (2020년3회)
42.
그림과 같은 래티스보에서 V-=3kN일 때 웨브재의 축방향력은?
 
1.5kN
 
kN
 
2.0kN
 
3.0kN
 
정답 : ② kN (2016년1회)
43.
그림과 같은 구조에서 B단에 발생하는 모멘트는?
 
250 kN·m
 
125 kN·m
 
188 kN·m
 
300 kN·m
 
정답 : ② 125 kN·m (2019년4회)
44.
그림과 같은 구조에서 기둥에 압축력만 발생하게 하려면 A점에서 내민 부재길이 x의 값은?
 
2m
 
1.5m
 
3m
 
1m
 
정답 : ② 1.5m (2017년2회)
45.
온통기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연약지반에 주로 사용된다.
 
지하수가 높은 지반에서도 유효한 기초방식이다.
 
부동침하에 대하여 유리하다.
 
독립기초에 비하여 구조해석 및 설계가 매우 단순하다.
 
정답 : ④ 독립기초에 비하여 구조해석 및 설계가 매우 단순하다. (2020년4회)
46.
그림과 같이 양단이 회전단인 부재의 좌굴축에 대한 세장비는?
 
103.77
 
94.64
 
84.28
 
76.21
 
정답 : ④ 76.21 (2021년1회)
47.
강도설계법에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설계시 고려해야 하는 하중조합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D는 고정하중, F는 유체압 및 유기내용물하중, L은 활하중, W는 풍하중, E는 지진하중, S는 적설하중)
 
U=1.2D+1.0E+1.0L+0.2S
 
U=1.4D+1.3L+1.6S
 
U=1.2D+1.3W+1.0L+0.5S
 
U=1.4(D+F)
 
정답 : ② U=1.4D+1.3L+1.6S (2016년2회)
48.
f=400MPa 이형철근을 사용한 경우 필요한 철근 인장정착길이가 1000mm이었다. 철근의 강도를 fy=500MPa로 변경하고, 소요철근보다 1.25배 많게 철근을 배근하였을 경우 변경된 철근의 인장정착길이는 얼마인가?     
 
1500mm
 
 1000mm     
 
1200mm
 
750mm
 
정답 : ②  1000mm      (2017년2회)
49.
도심축에 대한 빗줄(사선)친 부분의 단면계수 값은?
 
21,000 mm3
 
19,000 mm3
 
 22,500 mm3
 
20,500 mm3     
 
정답 : ③  22,500 mm3 (2021년2회)
50.
철골조 주각부분에 사용하는 보강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클립앵글
 
데크플레이트
 
윙플레이트
 
사이드앵글
 
정답 : ② 데크플레이트 (2018년4회)
51.
직경 2.2cm, 길이 50cm의 강봉에 축방향 인장력을 작용시켰더니 길이는 0.04cm 늘어났고 직경은 0.0006cm 줄었다. 이 재료의 포아송수는?
 
2.93
 
0.34
 
0.015
 
66.67
 
정답 : ① 2.93 (2015년1회)
52.
인장이형철근 및 압축이형철근의 정착길이(ld)에 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KDS 기준)     
 
계산에 의하여 산정한 압축이형철근의 정착길이는 항상 200mm 이상이어야 한다.     
 
 계산에 의하여 산정한 인장이형철근의 정착길이는 항상 200mm 이상이어야 한다.     
 
단부에 표준갈고리가 있는 인장이형철근의 정착길이는 항상 8db이상, 또한 150mm 이상이어야 한다.
 
인장 또는 압축을 받는 하나의 다발철근 내에 있는 개개 철근의 정착길이 ld는 다발철근이 아닌 경우의 각 철근의 정착길이보다 3개의 철근으로 구성된 다발철근에 대해서는 20%를 증가시켜야 한다.     
 
정답 : ②  계산에 의하여 산정한 인장이형철근의 정착길이는 항상 200mm 이상이어야 한다.      (2021년2회)
53.
그림과 같은 ㄷ형강(Channel)에서 전단중심(剪斷中心)의 대략적인 위치는?
 
B점
 
A점
 
C점
 
D점
 
정답 : ② A점 (2019년2회)
54.
다음 그림과 같은 슬래브에서 직접설계법에 의한 설계모멘트를 결정하고자 한다. 화살표방향 패널 중 빗금 친 부분의 정적 모멘트 Mo를 구하면? (단, 등분포 고정하중 wD=7.18kPa, 등분포활하중 wL=2.39kPa이 작용하고 있으며 기둥의 단면은 300×300mm이다.)
          
 
506.2kN·m     
 
806.2kN·m
 
706.2kN·m
 
406.2kN·m
 
정답 : ③ 706.2kN·m (2015년4회)
55.
철골조의 소성설계와 관계없는 항목은?
 
하중계수
 
안전률
 
붕괴기구
 
소상흰지
 
정답 : ② 안전률 (2015년1회)
56.
과도한 처짐에 의해 손상되지 쉬운 비구조요소를 지지 또는 부착하지 않은 바닥구조의 활하중 L에 의한 순간처짐의 한계는?
 
l/360
 
l/180
 
l/240
 
l/480
 
정답 : ① l/360 (2018년4회)
57.
주철근으로 사용된 D22 철근 180°표준갈고리의 구부림 최소 내면 반지름으로 옳은 것은?     
 
2db     
 
2.5db
 
db
 
 3db
 
정답 : ④  3db (2021년4회)
58.
다음 그림과 같은 부재의 최대 휨응력은 약 얼마인가? (단, 부재의 자중은 무시한다.)
 
3.6MPa
 
1.2MPa
 
4.5MPa
 
2.2MPa
 
정답 : ③ 4.5MPa (2016년2회)
59.
그림과 같은 하중을 받는 단순보에서 단면에 생기는 최대 휨응력도는? (단, 목재는 결함이 없는 균질한 단면이다.)
 
10MPa
 
8MPa
 
12MPa
 
15MPa
 
정답 : ② 8MPa (2019년1회)
60.
강도설계법을 근거로 그림과 같은 단극직사각형 보의 최소 철근량을 구하면?(단, fck=21MPa, fy=400MPa)
 
643mm2
 
588mm2
 
462mm2     
 
354mm2
 
정답 : ③ 462mm2      (2015년4회)

건축설비

61.
간접가열식 급탕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저압보일러를 써도 되는 경우가 많다.
 
급탕용 보일러는 난방용 보일러와 겸용할 수 있다.
 
직접가열식에 비해 소규모 급탕설비에 적합하다.
 
직접가열식에 비해 보일러 내면에 스케일이 발생할 염려가 적다.
 
정답 : ③ 직접가열식에 비해 소규모 급탕설비에 적합하다. (2017년2회)
62.
응축기용의 냉각수를 재사용하기 위하여 대기와 접촉시켜서 물을 냉각하는 장치는?
 
역류방지밸브를 설치한다.
 
플렉시블 조인트를 설치하거나 스위블 이음으로 배관한다.
 
대기압식 또는 가압식 진공브레이커를 설치한다.
 
토수구 공간을 둔다.
 
정답 : ③ 대기압식 또는 가압식 진공브레이커를 설치한다.
(2015년1회)
63.
다음의 저압 옥내배선방법 중 노출되고 습기가 많은 장소에 시설이 가능한 것은? (단, 400[V] 미만인 경우)
 
금속몰드 배선
 
금속관 배선
 
금속덕트 배선
 
플로어덕트 배선
 
정답 : ② 금속관 배선 (2019년2회)
64.
트랩의 구비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봉수부에 이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금속제 이음을 사용하지 않을 것
 
오수에 포함된 오물 등이 부착 또는 침전하기 어려운 구조일 것
 
봉수부의 소제구는 나사식 플러그 및 적절한 가스켓을 이용한 구조일 것
 
봉수깊이는 50mm 이상 100mm 이하일 것
 
정답 : ① 봉수부에 이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금속제 이음을 사용하지 않을 것 (2019년2회)
65.
공기조화방식 중 단일덕트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각 실이나 존의 부하변동에 즉시 대응할 수 있다.
 
2중덕트방식에 비해 덕트 스페이스를 적게 차지한다.
 
전공기방식의 특성이 있다.
 
냉·온풍의 혼합손실이 없다.
 
정답 : ① 각 실이나 존의 부하변동에 즉시 대응할 수 있다. (2015년4회)
66.
에스컬레이터의 좌우에 설치되어 있으며, 스텝을 주행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은?
 
스커트가드
 
가이드레일
 
스텝체인
 
핸드레일
 
정답 : ③ 스텝체인 (2017년1회)
67.
어떤 사무실의 취득 현열량이 15000W일 때 실내온도를 26℃로 유지하기 위하여 16℃의 외기를 도입할 경우, 실내에 공급하는 송풍량은 얼마로 해야 하는가? (단, 공기의 정압비열은 1.01kJ/㎏·K, 밀도는 1.2㎏/m3이다.)     
 
2455m3/h
 
6455m3/h
 
8455m3/h
 
 4455m3/h     
 
정답 : ④  4455m3/h      (2018년4회)
68.
다음과 같은 공식을 통해 산출되는 값으로 전기설비가 오ㅓ느 정도 유효하게 사용되는가를 나타내는 것은?
 
부등률
 
수용률
 
부하율
 
보상률
 
정답 : ③ 부하율 (2015년2회)
69.
다음 중 운행속도가 가장 높은 엘리베이터 방식은?
 
직류 기어레스
 
직류 기어드
 
교류 2단
 
교류 1단
 
정답 : ① 직류 기어레스
(2015년2회)
70.
승객 스스로 운전하는 전자동 엘리베이터로 카버튼이나 승강장의 호출신호로 기동, 정지를 이루는 엘리베이터 조작방식은?
 
승합 전자동식
 
카 스위치 방식
 
레코드 컨트롤 방식
 
시그널 컨트롤 방식
 
정답 : ① 승합 전자동식 (2015년4회)
71.
흡수식 냉동기의 주요 구성부분에 속하지 않는 것은?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재생기
 
정답 : ① 압축기 (2021년2회)
72.
공기조화계획에서 내부존의 조닝 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부하 특성별 조닝
 
온·습도 설정별 조닝
 
방위별 조닝
 
용도에 따른 시간별 조닝
 
정답 : ③ 방위별 조닝
(2015년1회)
73.
급수방식 중 펌프직송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전력 차단 시 급수가 불가능하다.
 
건축적으로 건물의 외관 디자인이 용이해지고 구조적 부담이 경감된다.
 
적정한 수압과 수량확보를 위해서는 정교한 제어장치 및 내구성 있는 제품의 선정이 필요하다.
 
고가수조방식에 비해 수질오염 가능성이 크다.
 
정답 : ④ 고가수조방식에 비해 수질오염 가능성이 크다. (2018년2회)
74.
다음과 같은 조건에 있는 실의 틈새바람에 의한 현열 부하량은?
[조건]
- 실의 체적 : 400
- 환기회수 : 0.5회/h
- 실내공기 건구온도 : 20℃
- 외기 건구온도 : 0℃
- 공기의 밀도 : 1.2 kg/m3
- 공기의 비열 : 1.01 k/kg·K
 
1124W     
 
 1347W
 
986W
 
1542W
 
정답 : ②  1347W (2017년2회)
75.
수량 20㎥/h 를 양수하는데 필요한 펌프의 구경은?
(단, 양수펌프 내 유속은 2m/s로 한다.)
 
60mm
 
40mm
 
50mm
 
30mm
 
정답 : ① 60mm (2017년1회)
76.
급탕배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역구배나 공기 정체가 일어나기 쉬운 배관 등 온수의 순환을 방해하는 것을 피한다.
 
배관재로 동관을 사용하는 경우 관내유속을 느리게 하면 부식되기 쉬우므로 2.5m/s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의 신축을 고려하여 건물의 벽관통 부분의 배관에는 슬리브를 사용한다.
 
관의 신축을 고려하여 굽힘 부분에는 스위블이음 등으로 접합한다.
 
정답 : ② 배관재로 동관을 사용하는 경우 관내유속을 느리게 하면 부식되기 쉬우므로 2.5m/s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17년4회)
77.
덕트의 분기부에 설치하여 풍량조절용으로 사용되는 댐퍼는?
 
스플릿 댐퍼
 
버터플라이 댐퍼
 
대향익형 댐퍼
 
평행익형 댐퍼
 
정답 : ① 스플릿 댐퍼 (2016년2회)
78.
광원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소조면의 조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cosθ(입사각)에 비례한다.
 
광원의 광도에 비례한다.
 
측정점의 반사율에 반비례한다.
 
정답 : ④ 측정점의 반사율에 반비례한다. (2021년1회)
79.
베느루이(Bernoulli)의 정리를 가장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유체가 갖고 있는 운동에너지, 중력에 의한 위치에너지 및 압력에너지의 총합은 흐름 내 어디에서나 일정하다.
 
유체가 갖고 있는 운동에너지, 중력에 의한 위치에너지의 총합은 흐름 내 어디에서나 압력 에너지와 같다.
 
유체가 갖고 있는 운도에너지는 흐름 내 어디에서나 일정하다.
 
유체가 갖고 있는 운동에너지와 중력에 의한 위치에너지의 총합은 흐름 내 어디에서나 일정하다.
 
정답 : ① 유체가 갖고 있는 운동에너지, 중력에 의한 위치에너지 및 압력에너지의 총합은 흐름 내 어디에서나 일정하다.
(2016년4회)
80.
다음 중 급탕설비에서 온수 순환 펌프로 주로 이용되는 것은?
 
원심식 펌프
 
회전식 펌프
 
왕복식 펌프
 
사류 펌프
 
정답 : ① 원심식 펌프 (2021년1회)

건축관계법규

81.
준주거지역에서 건축할 수 없는 건축물은?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전시장
 
공동주택 중 아파트
 
위락시설
 
종교시설
 
정답 : ③ 위락시설 (2016년2회)
82.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제1종 일반주거지역 안에서 건축할 수 있는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노유자시설
 
아파트
 
교육연구시설 중 고등학교
 
단독주택
 
정답 : ② 아파트 (2021년4회)
83.
건축법령상 일반주거지역, 준주거지역, 사업지역 또는 준공업지역의 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하기 위하여 대지에 공개 공지 또는 공개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단, 건축조례로 정하는 건축물 제외)
 
의료시설로서 해당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0㎡ 이상인 건축물
 
종교시설로서 해당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0㎡ 이상인 건축물
 
업무시설로서 해당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0㎡ 이상인 건축물
 
숙박시설로서 해당 용도로 쓴느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0㎡ 이상인 건축물
 
정답 : ① 의료시설로서 해당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0㎡ 이상인 건축물
(2016년1회)
84.
학교시설·공용시설·항만 또는 공항의 보호, 업무기능의 효율화, 항공기의 안전운항 등을 위하여 필요한 용도지구는?     
 
보존지구     
 
개발진흥지구
 
시설보호지구
 
고도지구
 
정답 : ③ 시설보호지구 (2016년2회)
85.
다음 중 부설주차장 설치대상 시설물의 종류와 설치기준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위락시설-시설면적 150m2당 1대
 
숙박시설-시설면적 200m2당 1대
 
문화 및 집회시설 중 관람장-정원 100명당 1대
 
골프장-1홀당 10대
 
정답 : ① 위락시설-시설면적 150m2당 1대 (2019년1회)
86.
건축법령상 고층건축물의 정의로 옳은 것은?
 
층수가 5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150m 이상인 건축물
 
층수가 5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200m 이상인 건축물
 
층수가 3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90m 이상인 건축물
 
층수가 3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120m 이상인 건축물
 
정답 : ④ 층수가 3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120m 이상인 건축물
(2017년1회)
87.
피난용승강기의 설치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승강장의 출입구 부근의 잘 보이는 곳에 해당 승강기가 피난용승강기임을 알리는 표지를 설치할 것
 
예비전원으로 작동하는 조명설비를 설치할 것     
 
각 층으로부터 피난층까지 이르는 승강로를 단일구조로 연결하여 설치할 것     
 
 승강장의 바닥면적은 승강기 1대당 5m2 이상으로 할 것     
 
정답 : ④  승강장의 바닥면적은 승강기 1대당 5m2 이상으로 할 것      (2019년2회)
88.
다음 중 허가 대상 건축물이라 하더라도 건축신고를 하면 건축허가를 받는 것으로 보는 경우에 속하지 않는 것은?     
 
2층 건축물로서 바닥면적의 합계 80m2 를 증축하는 건축물
 
 건축물의 높이를 4m 증축하는 건축물     
 
연면적이 150m2이고 2층인 건물의 대수선     
 
연면적의 합계가 80m2인 건축물의 건축     
 
정답 : ②  건축물의 높이를 4m 증축하는 건축물      (2018년4회)
89.
다음과 같은 직사각형 대지의 대지면적은?
 
300m2     
 
280m2
 
340m2
 
320m2
 
정답 : ① 300m2      (2015년4회)
90.
건축물의 출입구에 설치하는 회전문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회전문의 회전속도는 분당회전수가 10회를 넘지 아니하도록 할 것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로부터 2미터 이상의 거리를 둘 것
 
출입에 지장이 없도록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조로 할 것
 
틈 사이를 고무와 고무펠트의 조합체 등을 사용하여 신체나 물건 등에 손상이 없도록 할 것
 
정답 : ① 회전문의 회전속도는 분당회전수가 10회를 넘지 아니하도록 할 것 (2021년4회)
91.
부설주차장의 설치대상 시설물 종류와 설치기준의 연결이 옳은 것은?     
 
 숙박시설 – 시설면적 200m2당 1대
 
판매시설 – 시설면적 100m2당 1대     
 
위락시설 – 시설면적 150m2당 1대     
 
종교시설 – 시설면적 200m2당 1대     
 
정답 : ①  숙박시설 – 시설면적 200m2당 1대 (2020년3회)
92.
공동주택과 오피스텔의 난방설비를 개별난방방식으로 하는 경우 설치기준과 거리가 먼 것은?     
 
보일러실의 윗부분에는 그 면적이 0.5m2 이상인 환기창을 설치할 것     
 
기름보일러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기름저장소를 보일러실 외의 다른 곳에 설치할 것
 
 보일러를 설치하는 곳과 거실 사이의 경계벽은 출입구를 포함하여 방화구조의 벽으로 구획할 것     
 
보일러의 연도는 내화구조로서 공동연도로 설치할 것     
 
정답 : ③  보일러를 설치하는 곳과 거실 사이의 경계벽은 출입구를 포함하여 방화구조의 벽으로 구획할 것      (2021년2회)
93.
위락시설의 시설면적이 1000m2일 때 주차장법령에 따라 설치해야 하는 부설주차장의 설치 기준은?     
 
13대     
 
20대
 
15대
 
 10대
 
정답 : ④  10대 (2020년4회)
94.
제2종 일반주거지역 안에서 건축할 수 있는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아파트
 
노유자시설
 
종교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 중 관람장
 
정답 : ④ 문화 및 집회시설 중 관람장 (2020년4회)
95.
다음은 바닥면적의 산정과 관련된 기준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벽·기둥의 구획이 없는 건축물은 그 지붕 끝부분으로부터 수평거리 ( )를 후퇴한 선으로 둘러싸인 수평 투영면적으로 한다.
 
2m
 
1.5m
 
0.5m
 
1m
 
정답 : ④ 1m (2015년1회)
96.
다중이용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단, 층수가 10층이며, 해당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0m2인 건축물의 경우)     
 
판매시설
 
종교시설     
 
업무시설
 
숙박시설 중 관광숙박시설
 
정답 : ③ 업무시설 (2018년2회)
97.
다음 중 바닥면적에 산입되는 것은?
 
공동주택의 지상층에 설치한 기계실
 
공동주택의 필로티 부분
 
다세대주택의 편복도
 
층고가 1.5m인 다락방
 
정답 : ③ 다세대주택의 편복도 (2016년2회)
98.
건축법령상 다중이용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층수가 16층인 판매시설
 
종합병원으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0㎡인 건축물
 
종교시설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0㎡인 건축물
 
층수가 20층인 관광숙박시설
 
정답 : ② 종합병원으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0㎡인 건축물
(2017년1회)
99.
손궤의 우려가 있는 토지에 대지를 조성하는 경우 설치하는 옹벽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옹벽의 높이가 2m 이상인 경우에는 이를 콘크리트 구조로 하는 것이 원칙이다.     
 
옹벽에는 3m2마다 하나 이상의 배수구멍을 설치 하여야 한다.     
 
옹벽의 윗가장자리로부터 안쪽으로 2m 이내에 묻는 배수관은 주철관, 강관 또는 흡관으로 하고, 이음부분은 물이 새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옹벽의 외벽면에 설치하는 배수를 위한 시설은 밖으로 튀어 나오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정답 : ④ 옹벽의 외벽면에 설치하는 배수를 위한 시설은 밖으로 튀어 나오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015년4회)
100.
건축법령상 제2종 근린생활시설에 속하는 것은?
 
일반음식점
 
한의원
 
도서관
 
미술관
 
정답 : ① 일반음식점 (2016년4회)

 

 

건축기사 기출문제를 비롯하여 더 많은 국가기술자격증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는 문제풀이닷컴 홈페이지(https://quz.co.kr/)에서 이용가능합니다.

Posted by 문제풀이닷컴

댓글을 달아 주세요

건축기사 필기 기출문제- 오늘의 문제풀이

오늘의 기출문제 모의고사는 건축기사 입니다.

문제풀이닷컴에 입력되어 있는 기출문제 자료들를 활용하여 건축기사 자격증 필기 기출문제를 랜덤(무작위)하게 뽑아내었습니다.

각 문제 하단에  

버튼을 클릭하면 정답 및 해당문제의 출제년도 및 회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타 및 오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알려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채점 및 결과 확인 기능은 블로그에서는 어려우니 홈페이지(https://quz.co.kr/)에서 문제풀이를 이용하시면 확인가능합니다.

 

건축기사 시험과목은 " 건축계획, 건축시공, 건축구조, 건축설비, 건축관계법규 " 총 5 과목으로 되어 있으며 과목당 40점이상,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아래 링크(문제풀이닷컴홈페이지)에서는 건축기사 기출문제 문제풀이를 회차별 또는 랜덤으로 회원가입등이 없이 문제풀이를 맘껏 풀이 해볼수 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건축기사

 

건축계획

1.
사무소 건축의 실단위 계획 중 개실 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공사비가 저렴하다.
 
방길이에 변화를 줄 수 있다.
 
독립성과 쾌적감이 높다.
 
방깊이에 변화를 줄 수 없다.
 
정답 : ① 공사비가 저렴하다. (2020년4회)
2.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그리스 건축의 오더는?
- 주두는 에키누스와 아바쿠스로 구성된다.
- 육중하고 엄정한 모습을 지니는 남성적인 오더이다.
 
컴포지트 오더
 
이오니아 오더
 
코린트 오더
 
 도리스 오더     
 
정답 : ④  도리스 오더      (2018년4회)
3.
페리(C. A. Perry)의 근린주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경계 : 4면의 간선도로에 의해 구획
 
오픈 스페이스 : 주민의 일상생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소공원과 위락공간체계
 
지구 내 가로체계 : 내부 가로망은 단지 내의 교통량을 원활히 처리하고 통과 교통을 방지
 
공공시설용지 : 지구 전체에 분산하여 배치
 
정답 : ④ 공공시설용지 : 지구 전체에 분산하여 배치 (2021년2회)
4.
다음 중 다포식(多包式) 건축으로 가장 오래된 것은?
 
불국사 극락전
 
심원사 보광전
 
창경궁 명정전
 
전등사 대웅전
 
정답 : ② 심원사 보광전 (2021년1회)
5.
사무소 건축의 실단위 계획 중 개방식 배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개방식 배치에 있어 불리한 점은 소음으로, 소음 경감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독립성과 쾌적감의 이점이 있다.
 
조명은 자연체광만으로 이루어지며 별도의 인공조명은 필요없다.
 
방길이에는 변화를 줄 수 있으나 방깊이에는 변화를 줄 수 없다.
 
정답 : ① 개방식 배치에 있어 불리한 점은 소음으로, 소음 경감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2016년1회)
6.
다음의 주요 사례에서 전시공간의 융통성을 가장 많이 부여하고 있는 것은?
 
과천 현대 미술관
 
파리 루브르 박물관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
 
파리 퐁피두 센터
 
정답 : ④ 파리 퐁피두 센터 (2017년2회)
7.
공장건축의 레이아웃에 과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제품중심의 레이아웃은 생산에 필요한 모든 공정, 기계기구를 제품의 흐름에 따라 배치한다.
 
이동식 레이아웃 방식은 사람이나 기계가 이동하여 작업하는 방식으로 제품이 크고, 수량이 적을 때 사용된다.
 
레이아웃은 공장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공장의 배치계획, 평면계획은 이얷에 부합되는 건축계획이 되어야 한다.
 
장래 공장 규모의 변화에 대응한 융통성이 있어야 한다.
 
정답 : ② 이동식 레이아웃 방식은 사람이나 기계가 이동하여 작업하는 방식으로 제품이 크고, 수량이 적을 때 사용된다.
(2015년2회)
8.
아파트의 평면형식 중 계단실 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엘리베이터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세대가 많으므로 엘리베이터의 효율이 높다.
 
동행을 위한 공용 면적이 크므로 건물의 이용도가 낮다.
 
대지에 관한 이용률이 가장 높은 유형이다.
 
각 세대가 양쪽으로 개구부를 계획할 수 있는 관계로 통풍이 양호하다.
 
정답 : ④ 각 세대가 양쪽으로 개구부를 계획할 수 있는 관계로 통풍이 양호하다. (2017년2회)
9.
건축물과 양식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성 소피아 성당 - 비잔틴 양식
 
피사의 사탑 - 바로크 양식
 
노트르담 성당 - 고딕 양식
 
샤르트르 성당 - 고딕 양식
 
정답 : ② 피사의 사탑 - 바로크 양식
(2016년4회)
10.
다음 중 사무소 건축의 기준층 층고 결정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공조시스템의 유형
 
사용목적
 
채광률
 
계단의 형태
 
정답 : ④ 계단의 형태 (2018년4회)
11.
백화점의 에스컬레이터 배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직렬식 배치는 점유면적이 크나 승객의 시야가 좋다.
 
병렬 연속식 배치는 연속적으로 승강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교차식 배치는 점유면적이 작다.
 
병렬식 배치는 백화점 매장 내부에 대한 시계가 양호하다.
 
정답 : ② 병렬 연속식 배치는 연속적으로 승강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2019년1회)
12.
고딕양식의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샤르트르 성당
 
아미앵 성당
 
성 베드로 성당
 
노트르담 성당
 
정답 : ③ 성 베드로 성당 (2021년2회)
13.
학교운영방식 중 종합교실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교실의 순수율이 높다.
 
교실의 이용율이 높다.
 
초등학교 저학년에 적합한 형식이다.
 
학생의 이동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정답 : ① 교실의 순수율이 높다.
(2016년4회)
14.
래드번(Radburn) 계획의 5가지 기본원리로 옳지 않은 것은?
 
보도망 형성 및 보도와 차도의 평면적 분리
 
자동차 통과도로 배제를 위한 슈퍼블록 구성
 
주택단지 어디로나 통할 수 있는 공동 오픈 스페이스 조성
 
기능에 따른 4가지 종류의 도로 구분
 
정답 : ① 보도망 형성 및 보도와 차도의 평면적 분리
(2017년1회)
15.
단독주택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동지 때 최소한 4시 간 이상의 햇빛이 들어오도록 한다.
 
인접 대지에 물이 없더라도 개발 가능성을 고려하도록 한다.
 
건물이 대지의 남측에 배치되도록 한다.
 
건물은 가능한 한 동서로 긴 형태가 좋다.
 
정답 : ③ 건물이 대지의 남측에 배치되도록 한다. (2018년1회)
16.
미술관 건축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미술관의 연손숙회형식은 연속된 전시실의 한쪽 복도에 의해서 각 실을 배치한 형식이다.
 
2층 이상의 층은 일반적으로 전시실로는 부적당하나 뉴욕 근대미술관은 이러한 개념을 타파하였다.
 
미술관은 이용하기에 편리한 도심지에 위치 하는 것이 좋다.
 
디오라마 전시란 전시물을 부각시켜 관람객에게 현장감을 부여하는 입체적인 수법을 말한다.
 
정답 : ① 미술관의 연손숙회형식은 연속된 전시실의 한쪽 복도에 의해서 각 실을 배치한 형식이다.
(2016년1회)
17.
페리(C.A, Perry)의 근린주구(Neighborhood Unit) 이론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초등학교 학구를 기본단위로 한다.
 
지구 내 가로망은 통과교통에 사용되지 않도록 한다.
 
중학교와 의료시설을 반드시 갖추어야 한다.
 
주민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1~2개소 이상의 상점가를 주요도로의 결절점에 배치한다.
 
정답 : ③ 중학교와 의료시설을 반드시 갖추어야 한다. (2019년1회)
18.
은행계획에 과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고객이 지나는 동선은 가능한 짧게 한다.
 
고객과 직원간의 동선은 중복되지 않도록 한다.
 
동일 목적의 고객 동선은 그루핑하여 각기 요구되는 은행업무에 적합한 동선을 유도하는 것이 좋다.
 
대규모의 은행일 경우 고객 출입구는 2개소이상으로 한다.
 
정답 : ④ 대규모의 은행일 경우 고객 출입구는 2개소이상으로 한다.
(2015년2회)
19.
백화점 매장의 배치 유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지각형 배치는 고객의 통행량에 따라 통로폭을 조절하기 용이하다.
 
경사형 배치는 Main 통로를 직각 배치하며, Sub 통로를 45˚ 정도 경사지게 배치하는 유형이다.
 
직각형 배치는 매장 면적의 이용률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다.
 
경사형 배치는 많은 고객이 매장공간의 코너까지 접근하기 용이한 유형이다.
 
정답 : ① 지각형 배치는 고객의 통행량에 따라 통로폭을 조절하기 용이하다.
(2017년1회)
20.
주심포 형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공포를 기둥 위에만 배열한 형식이다.
 
맞배지붕이 대부분이며 천장을 특별히 가설하지 않아 서까래가 노출되어 보인다.
 
봉정사 극락전, 수덕사 대웅전 등에서 볼 수 있다.
 
장혀는 긴 것을 사용하고 평방이 사용된다.
 
정답 : ④ 장혀는 긴 것을 사용하고 평방이 사용된다. (2021년2회)

건축시공

21.
어스앵커 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인접한 구조물의 기초나 매설물이 있는 경우 효과가 크다.
 
대형기계의 반입이 용이하다.
 
버팀대가 없어 굴착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다.
 
시공 후 검사가 어렵다.
 
정답 : ① 인접한 구조물의 기초나 매설물이 있는 경우 효과가 크다. (2020년4회)
22.
공동도급방식(Joint Ventur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발주자와 수급자가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팀을 구성하여 공동으로 공사를 수행하는 방식이다.
 
발주자, 설계자, 공사관리자의 세 전문집단에 의하여 공사를 수행하는 방식이다.
 
공사수행방식에 따라 설계/시공(D/B)방식과 설계/관리(D/M)방식으로 구분한다.
 
2명 이상의 수급자가 어느 특정공사에 대하여 협동으로 공사계약을 체결하는 방식이다.
 
정답 : ④ 2명 이상의 수급자가 어느 특정공사에 대하여 협동으로 공사계약을 체결하는 방식이다. (2017년1회)
23.
네트워크 공정표에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Activity :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시간
 
Float : 각 직업에 허용되는 시간적인 여유
 
Critical Path : 처음작업부터 마지막작업에 이르는 모든 경로 중에서 가장 긴 시간이 걸리는 경로
 
Event : 작업과 작업을 결합하는 점 및 프로젝트의 개시점 혹은 종료점
 
정답 : ① Activity :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시간
(2015년1회)
24.
일반 콘크리트의 내구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굳지 않은 콘크리트 중의 전 염소이온량은 원칙적으로 0.3kg/m3 이하로 하여야 한다.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재료는 콘크리트의 소요 내구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콘크리트는 원칙적으로 공기연행콘크리트로 하여야 한다.     
 
 콘크리트의 물-결합재비는 원칙적으로 50% 이하이여야 한다.
 
정답 : ④  콘크리트의 물-결합재비는 원칙적으로 50% 이하이여야 한다. (2020년3회)
25.
건설공사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옳은 것은?
 
주로 도급식 또는 직영식으로 이루어진다.
 
육제노동이 주가 되므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공사비, 공사기일 등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건설 생산물의 품질이 일정하다.
 
정답 : ① 주로 도급식 또는 직영식으로 이루어진다. (2019년1회)
26.
블록조 벽체에 와이어메시를 가로줄눈에 묻어 쌓기도 하는데 이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블록과 모르타르의 부착성능의 증진을 위한 것이다.
 
수직하중을 분산시키는데 유리하다.
 
전단작용에 대한 보강이다.
 
교차부의 균열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정답 : ① 블록과 모르타르의 부착성능의 증진을 위한 것이다. (2017년2회)
27.
벽돌조 건물에서 벽량이란 해당 층의 바닥면적에 대한 무엇의 비를 말하는가?
 
높이
 
벽면적의 총합계
 
내력벽길이의 총합계
 
벽두께
 
정답 : ③ 내력벽길이의 총합계 (2021년1회)
28.
벽두께 1.0B, 벽면적 30m2 쌓기에 소요되는 벽돌의 정미량은? (단, 벽돌은 표준형을 사용한다.)     
 
4604매
 
 4470매
 
3900매
 
4095매     
 
정답 : ②  4470매 (2020년4회)
29.
도료의 원료로 사용되는 천연수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로진(rosin)
 
셀락(shellac)
 
알키드 수지(alkyd resin)
 
코펄(copal)
 
정답 : ③ 알키드 수지(alkyd resin)
(2016년1회)
30.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바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바름두께가 균일하지 못하면 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시멘트와 혼합하여 2시간 이상 경과한 것은 사용할 수 없다.
 
돌로마이트 플라스터는 수경성이므로 해초풀을 적당한 비율로 배합해서 사용해야 한다.
 
정벌바름용 반죽은 물과 혼합한 후 12시간 정도 지난 다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 : ③ 돌로마이트 플라스터는 수경성이므로 해초풀을 적당한 비율로 배합해서 사용해야 한다. (2021년2회)
31.
용제형(Solvent)고무계 도막방수 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용제는 인화성이 강하므로 부근의 화기는 엄금한다.
 
완성된 도막은 외상(外傷)에 매우 강하다.
 
합성고무를 휘발성 용제에 녹인 일종의 고무도료를 칠하여 두께 0.5~0.8mm의 방수피막을 형성하는 것이다.
 
한층의 시공이 완료되면 1.5~2시간 경과 후 다음층의 작업을 시작 하여야 한다.
 
정답 : ② 완성된 도막은 외상(外傷)에 매우 강하다. (2020년4회)
32.
금속 커튼월의 Mock Up Test에 있어 기본성능 시험의 항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기밀시험
 
정압수밀시험
 
방재시험
 
구조시험
 
정답 : ③ 방재시험 (2019년2회)
33.
아스팔트 방수공사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아스팔트의 용융 중에는 최소한 30분에 1회 정도로 온도를 측정하며, 접착력 저하 방지를 위하여 200℃ 이하가 되지 않도록 한다.
 
지붕방수에는 침입도가 크고 연화점(軟化点)이 높은 것을 사용한다.
 
한랭지에서 사용되는 아스팔트는 임입도 지수가 적은 것이 좋다.
 
아스팔트 용융 솥은 가능한 한 시공장소와 근접한 곳에 설치한다.
 
정답 : ③ 한랭지에서 사용되는 아스팔트는 임입도 지수가 적은 것이 좋다.
(2016년1회)
34.
공사원가 구성요소의 하나인 직접공사비에 속하지 않는 것은?
 
자재비
 
경비
 
노무비
 
일반관리비
 
정답 : ④ 일반관리비 (2016년2회)
35.
시멘트 액체방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시공 시 방수층의 부착력을 위하여 방수할 콘크리트 바탕면은 충분히 건조시키는 것이 좋다.
 
모체 표면에 시멘트 방수제를 도포하고 방수모르타르를 덧발라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이다.
 
구조체 균열에 대한 저항성이 매우 우수하다.
 
시공은 바탕처리→ 혼합→ 바르기→ 지수→ 마무리 순으로 진행된다.
 
정답 : ② 모체 표면에 시멘트 방수제를 도포하고 방수모르타르를 덧발라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이다. (2017년2회)
36.
건설공사의 품질관리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CIC
 
ISO 9000
 
Control Chart
 
TQC
 
정답 : ① CIC (2015년2회)
37.
토공사에 쓰이는 굴착용 기계 중 기계가 서있는 지반면보다 위에 있는 흙의 굴착에 적합한 장비는?
 
드래그 쇼벨(drag shovel)
 
파워 쇼벨(power shovel)
 
클램셀(clamshell)
 
드래그 라인(drag line)
 
정답 : ② 파워 쇼벨(power shovel) (2020년3회)
38.
목재의 무늬나 바탕의 재질을 잘 보이게 하는 도장 방법은?
 
유성페인트 도장
 
클리어 래커 도장
 
합성수지 페인트 도장
 
에나멜페인트 도장
 
정답 : ② 클리어 래커 도장
(2017년1회)
39.
레디믹스트 콘크리트(Ready mixed concrete)를 사용하는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현장에서는 균질한 품질의 콘크리트를 얻기어렵다.
 
콘크리트의 운반거리 및 운반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콘크리트의 혼합이 충분하여 품질이 고르다.
 
시가지에서는 콘크리트를 혼합한 장소가 좁다.
 
정답 : ② 콘크리트의 운반거리 및 운반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2017년4회)
40.
다음 미장재료 중 기경성 재료로만 짝지어진 것은?
 
시멘트 모르타르, 석고 플라스터, 회반죽
 
진흙. 회반죽, 돌라마이트 플라스터
 
회반죽, 석고 플라스터,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석고 플라스터, 돌라마이트 플라스터, 진흙
 
정답 : ② 진흙. 회반죽, 돌라마이트 플라스터 (2015년2회)

건축구조

41.
그림과 같은 캔틸레버보의 자유단(B점)에서 처짐각은?
 
 
 
 
 
정답 : ② (2018년4회)
42.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의 필릿용접의 최소 사이즈는 얼마인가?
접합부의 얇은 쪽 모재두께(t), mm
             6 < t ≤ 13
 
6 mm
 
3 mm
 
 5 mm     
 
8 mm
 
정답 : ③  5 mm      (2017년4회)
43.
강구조 용접에서 용접결함에 속하지 않는 것은?
 
가우징(gouging)
 
크랙(crack)
 
언더컷(under cut)
 
오버랩(overlap)
 
정답 : ① 가우징(gouging) (2018년2회)
44.
다음 그림과 같은 보 단면에서 정착되는 철근의 수평 순간격을 구하면?
- D22(인장, 압축철근), 지름 : 22mm로 계산
- D13@150(스터럽), 지름 : 13mm로 계산
- 최소피복두께 : 40mm
- 구부림 최소내면반지름은 무시
 
 68.7mm
 
63.7mm     
 
60.7mm
 
66.7mm
 
정답 : ①  68.7mm (2017년2회)
45.
그림과 같은 강재가 전단력을 받아 점선과 같이 변형되었을 때 이강재의 전단변형률은?
 
0.00125 rad
 
0.00075 rad
 
0.00006 rad
 
0.0001 rad
 
정답 : ④ 0.0001 rad (2017년2회)
46.
강도설계법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휨에 관한 일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강도설계법에서는 연성파괴 보다는 취성파괴를 유도하도록 설계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휨부재의 최소철근량은  또는  중 큰 값 이상이어야 한다.
 
휨모멘트 또는 휨모벤트와 축력을 동시에 받는 부재의 콘크리트 압축연단의 극한 변형률은 0.003으로 가정한다.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철근콘크리트 부재 단면의 축강도와 휨강도 계산에서 무시할 수 있다.
 
정답 : ① 강도설계법에서는 연성파괴 보다는 취성파괴를 유도하도록 설계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2018년1회)
47.
강도설계법에서 철근콘크리트 부재 중 콘크리트의 공칭전단강도(Vc)가 40kN, 전단철근에 의한 공칭전단강도(Vs)가 20kN일 때, 이 부재의 설계전단강도(øVn)는? (단, 강도감소계수는 0.75 적용)     
 
52kN
 
 45kN
 
48kN     
 
60kN
 
정답 : ②  45kN (2021년1회)
48.
철근콘크리트 보의 장기처짐을 구할 때 적용되는 5년 이상 지속하중에 대한 시간경과계수 ξ의 값은?
 
1.0
 
2.4
 
2.0
 
1.2
 
정답 : ③ 2.0 (2020년3회)
49.
그림과 같은 독립기초에 N=480kN, M=96kN·m가 작용할 때 기초저면에 발생하는 최대 지반반력은?
 
15kN/m2
 
150kN/m2     
 
20kN/m2
 
200kN/m2
 
정답 : ② 150kN/m2      (2018년2회)
50.
다음 그림과 같은 인장재의 순단면적을 구하면?
(단, F10T-M20볼트 사용(표준구멍), 판의 두께는 6mm임)
 
426㎟
 
396㎟
 
296㎟
 
536㎟
 
정답 : ② 396㎟ (2017년1회)
51.
그림과 같은 철근 콘크리트보의 균열모멘트(Mcr)값은?
(단, 보통중량 콘크리트 사용, fck = 24MPa, fy = 400MPa)
 
42.8 kN·m
 
21.5 kN·m
 
33.6 kN·m
 
55.6 kN·m
 
정답 : ④ 55.6 kN·m (2015년2회)
52.
다음 강종 표시기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KS 강종기호 개정사항 반영)
 
(다) : 충격흡수에너지 등급 구분
 
(가) : 용도에 따른 강재의 명칭 구분
 
(나) : 강재의 인장강도 구분
 
(라) : 내후성 등급 구분
 
정답 : ③ (나) : 강재의 인장강도 구분 (2019년2회)
53.
그림과 같은 트러스에서 a부재의 부재력은 얼마인가?
 
30kN(압축)
 
40kN(인정)
 
20kN(인장)
 
60kN(압축)
 
정답 : ① 30kN(압축) (2021년1회)
54.
그림과 같은 모살용접의 유효용접길이는? (단, 유효용접길이는 1면에 대해서만 산정)
 
10mm
 
114mm
 
107mm
 
94mm
 
정답 : ④ 94mm (2020년3회)
55.
강도설계법에 의한 철근콘크리트보 설계에서 양단연속인 경우 처짐을 계산하지 않아도 되는 보의 최소 두께로 옳은 것은? (단, 보통콘크리트 ωc = 2,300 kg/m3 와 설계기준항복강도 400MPa 철근을 사용)     
 
ℓ/24
 
ℓ/28
 
ℓ/16
 
 ℓ/21     
 
정답 : ④  ℓ/21      (2019년4회)
56.
스터럽으로 보강된 휨 부재의 최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 변형률 εt가 0.004일 경우 강도감소계수 ø로 옳은 것은? (단, fy=400MPa)     
 
0.65
 
 0.783
 
0.817
 
0.717     
 
정답 : ②  0.783 (2020년1회)
57.
강도설계법에서 D22 압축이형철근의 기본정착길이 ldb는? (단, 경량콘크리트 계수 λ= 1.0, fck=27MPa, fy=400MPa)     
 
200.5mm
 
 423.4mm
 
604.6mm
 
378.4mm     
 
정답 : ②  423.4mm (2019년1회)
58.
폭 250㎜, fck=-30MPa인 철근콘크리트 보 부재의 압축변형률 €c=0.003일 경우 인장철근의 변형률은? (단, d=440㎜, As=1520.1mm2, fy=400MPa)     
 
0.00523
 
0.00197
 
 0.00857
 
0.00368     
 
정답 : ③  0.00857 (2018년4회)
59.
그림과 같은 단면에 전단력 50kN이 가해진 경우 중립축에서 상방향으로 100mm 떨어진 지점의 전단응력은? (단, 전체 단면의 크기는 200×300mm임)
 
0.85MPa
 
0.73MPa
 
0.69MPa
 
0.79MPa
 
정답 : ③ 0.69MPa (2020년1회)
60.
그림과 같은 구조물에 힘 P가 작용할 때 휨모멘트가 0이 되는 곳은 모두 몇 개인가?
 
4개
 
2개
 
3개
 
5개
 
정답 : ① 4개 (2021년2회)

건축설비

61.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 중 감지기 주위에 온도가 일정한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작동하는 것은?
 
광전식 감지기
 
이온화식 감지기
 
정온식 감지기
 
차동식 감지기
 
정답 : ③ 정온식 감지기
(2017년1회)
62.
유압식 엘리베이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큰 적재량으로 승강행정이 짧은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다.
 
기계실의 위치가 자유롭다.
 
지하주차장 엘리베이터와 같이 지하층에만 운전하는경우 적용할 수 있다.
 
오버헤드가 작다.
 
정답 : ① 큰 적재량으로 승강행정이 짧은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다.
(2015년2회)
63.
플러시 밸브식 대변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탱크에 저장된 물의 낙차에 의한 수압으로 대변기를 세척하는 방식이다.
 
급수관경과 급수압력에 제한이 없다.
 
대변기의 연속사용이 가능하다.
 
우리나라에서는 일반 주택을 중심으로 널리 채용되고 있다.
 
정답 : ③ 대변기의 연속사용이 가능하다. (2021년1회)
64.
다음의 옥내소화전설비에 관한 설명 중 (   )안에 알맞은 것은?
옥내소화전방수구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되,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 부터 하나의 옥내소화전방수구까지의 수평 거리가 ( )m 이하가 되도록 할 것
 
25
 
40
 
35
 
30
 
정답 : ① 25 (2016년4회)
65.
어떤 사무실의 취득 현열량이 15000W일 때 실내온도를 26℃로 유지하기 위하여 16℃의 외기를 도입할 경우, 실내에 공급하는 송풍량은 얼마로 해야 하는가? (단, 공기의 정압비열은 1.01kJ/㎏·K, 밀도는 1.2㎏/m3이다.)     
 
 4455m3/h     
 
6455m3/h
 
8455m3/h
 
2455m3/h
 
정답 : ①  4455m3/h      (2018년4회)
66.
통기관의 설치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배수관 내에 환기를 도모하여 관 내를 청결하게 유지한다.
 
오수와 잡배수가 서로 혼합되지 않게 한다.
 
배수계통 내의 배수 및 공기의 흐름을 원활히 한다.
 
트랩의 봉수를 보호한다.
 
정답 : ② 오수와 잡배수가 서로 혼합되지 않게 한다. (2019년1회)
67.
배수 배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고온의 배수는 원칙적으로 40℃ 미만으로 냉각한 후 배수한다.
 
엘리베이터 샤프트, 수변전실에는 배수 배관을 설치하지 않는다.
 
배수계통은 원칙적으로 중력에 의해 옥외로 배출하도록 한다.
 
건물 내에서 피트 내 또는 가공배관은 피하고 지중배관을 한다.
 
정답 : ④ 건물 내에서 피트 내 또는 가공배관은 피하고 지중배관을 한다.
(2015년1회)
68.
다음 설명에 알맞은 접지의 종류는?
기능상 목적이 서로 다르거나 동일한 목적의 개별접지들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여 구현한 접지시스템
 
공통접지
 
단독접지
 
종별접지
 
통합접지
 
정답 : ④ 통합접지 (2017년1회)
69.
국소식 급탕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급탕개소와 급탕량이 많은 경우에 유리하다.
 
배관의 열손실이 적다.
 
건물 완공 후에도 급탕 개소의 증설이 비교적 쉽다.
 
급탕개소마다 가열기의 설치 스페이스가 필요하다.
 
정답 : ① 급탕개소와 급탕량이 많은 경우에 유리하다. (2020년1회)
70.
펌프의 양수량이 10m3/min , 전양정이 10m, 효율이 80%일 때, 이 펌프의 축동력은?     
 
26.5 kW
 
22.5 kW     
 
 20.4 kW
 
30.6 kW
 
정답 : ③  20.4 kW (2019년4회)
71.
다음과 같은 조건에 있는 실의 틈새바람에 의한 현열부하는?
- 실의 체적: 400m3
- 환기횟수: 0.5회/h
- 실내온도: 20℃, 외기온도: 0℃
- 공기의 밀도: 1.2kg/m3
- 공기의 정압비열: 1.01KJ/kg·K
 
약 1,654 W
 
약 972 W     
 
 약 1,347 W
 
약 654 W
 
정답 : ③  약 1,347 W (2021년2회)
72.
다음 중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와 가장 관계가 먼 것은?
 
전자 브레이크
 
핸드 레일
 
조속기
 
종점 스위치
 
정답 : ② 핸드 레일 (2019년4회)
73.
증기난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계통별 용량제어가 곤란하다.
 
예열시간이 온수난방에 비하여 짧다.
 
부하변동에 따른 실내방열량의 제어가 용이하다.
 
한랭지에서 동결의 우려가 적다.
 
정답 : ③ 부하변동에 따른 실내방열량의 제어가 용이하다. (2017년2회)
74.
로프식 엘리베이터와 비교한 유압식 엘리베이터의 특징 설명으로 옳은 것은?
 
기계실의 위치가 자유롭다.
 
속도의 범위가 자유롭다.
 
전동기의 출력이 작다.
 
기계실의 발열량이 작다.
 
정답 : ① 기계실의 위치가 자유롭다.
(2015년1회)
75.
바닥복사 난방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른 난방방식에 비교하여 쾌적감이 높다.
 
방을 개방상태로 하여도 난방효과가 있다.
 
열용량이 커서 예열시간이 짧다.
 
실내에 방열기를 설치하지 않으므로 바닥이나 벽면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정답 : ③ 열용량이 커서 예열시간이 짧다. (2019년2회)
76.
터보식 냉동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기계적 에너지가 아닌 열에너지에 의해 냉동 효과를 얻는다.
 
임펠러의 원심력에 의해 냉매가스를 압축한다.     
 
대용량에서는 압축효율이 좋고 비례 제어가 가능하다.     
 
대·중형 규모의 중앙식 공조에서 냉방용으로 사용된다.     
 
정답 : ①  기계적 에너지가 아닌 열에너지에 의해 냉동 효과를 얻는다. (2021년4회)
77.
변압기의 1차측 코일의 권수가 6000, 2차측 코일의 권수가 200 일 때 1차측 코일에 교류전압 3000[V] 인가시 2차측코일에 발생하는 교류전압[V]은?
 
200
 
100
 
500
 
50
 
정답 : ② 100 (2015년1회)
78.
다음 중 겨울철 실내 유리창 표면에 발생하기 쉬운 결로의 방지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난방기기를 이용하여 유리창 표면온도를 높인다.
 
실내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억제한다.
 
실내공기의 움직임을 억제한다.
 
이중유리로 하여 유리창의 단열성능을 높인다.
 
정답 : ③ 실내공기의 움직임을 억제한다. (2020년4회)
79.
광원의 연색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물체가 광원에 의하여 조명될 때, 그 물체의 색의 보임을 정하는 광원의 성질을 말한다.
 
평균 연색평가수(Ra)가 100에 가까울수록 연색성이 좋다.
 
연색성을 수치로 나타낸 것을 연색평가수라고 한다.
 
고압수은램프의 평균 연색평가수(Ra)는 100이다
 
정답 : ④ 고압수은램프의 평균 연색평가수(Ra)는 100이다 (2018년1회)
80.
다음 중 옥내의 노출된 건조한 장소에 시설할 수 없는 배선 방법은? (단,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
 
버스덕트 배선
 
금속관 배선
 
플로어덕트 배선
 
가요전선관 배선
 
정답 : ③ 플로어덕트 배선 (2020년1회)

건축관계법규

81.
부설주차장의 설치대상 시설물 종류와 설치 기준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판매시설 – 시설면적 150 m2 당 1대     
 
수련시설 – 시설면적 350 m2 당 1대
 
 위락시설 – 시설면적 150 m2 당 1대     
 
종교시설 – 시설면적 150 m2 당 1대     
 
정답 : ③  위락시설 – 시설면적 150 m2 당 1대      (2019년2회)
82.
노외주차장의 설치에 관한 계획기준 내용 중 ( )안에 알맞은 것은?
ㅈ주차대수 400대를 초과하는 규모의 노외 주차장의 경우에는 노외 주자창의 출구와 입구를 각각 따로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출입구의 너비의 합이 (     )미터 이상으로서 출구와 입구가 차선 등으로 분리되는 경우에는 함께 설치할 수 있다.
 
5.0     
 
6.0
 
 5.5
 
4.5
 
정답 : ③  5.5 (2021년4회)
83.
건축법령에 따른 고층건축물의 정의로 옳은 것은?
 
층수가 3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90m 이상인 건축물
 
층수가 5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150m 이상인 건축물
 
층수가 5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200m 이상인 건축물
 
층수가 3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120m 이상인 건축물
 
정답 : ④ 층수가 3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120m 이상인 건축물 (2017년4회)
84.
다음 중 건축에 속하지 않는 것은?
 
개축
 
증축
 
이전
 
대수선
 
정답 : ④ 대수선 (2019년1회)
85.
자연녹지지역으로서 노외주차장을 설치할 수 있는 지역에 속하지 않는 것은?
 
토지의 형질변경 없이 주차장의 설치가 가능한 지역
 
하천구역 및 공유수면으로서 주차장이 설치되어도 해당 하천 및 공유수면의 관리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는 지역
 
택지개발사업 등의 단지조성사업 퉁에 따라 주차수요가 많은 지역
 
주차장 설치를 목적으로 토지의 형질변경 허가를 받은 지역
 
정답 : ③ 택지개발사업 등의 단지조성사업 퉁에 따라 주차수요가 많은 지역 (2018년1회)
86.
중고층주택을 중심으로 편리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지정하는 용도지역은?
 
제3종 일반주거지역
 
제1종 일반주거지역
 
제4종 일반주거지역
 
제2종 일반주거지역
 
정답 : ① 제3종 일반주거지역 (2021년1회)
87.
태양열을 주된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주택의 건축면적 산정 시 이용하는 중심선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건축물의 외벽 경계선
 
건축물의 외벽 중 내측 내력벽의 중심선
 
건축물 기둥 사이의 중심선
 
건축물의 외벽 중 외측 내력벽의 중심선
 
정답 : ② 건축물의 외벽 중 내측 내력벽의 중심선 (2020년3회)
88.
계단 및 복도의 설치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높이가 3m를 넘은 계단에는 높이 3m 이내마다 유효너비 120cm 이상의 계단참을 설치할 것     
 
문화 및 집회시설 중 공연장의 개별 관람실(바닥면적이 300m2 이상인 경우)의 바깥쪽에는 그 양쪽 및 뒤쪽에 각각 복도를 설치할 것
 
 계단을 대체하여 설치하는 경사로의 경사도는 1:6을 넘지 아니할 것     
 
거실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m2 이상인 지하층에 설치하는 계단인 경우 계단 및 계단참의 유효너비는 120cm 이상으로 할 것     
 
정답 : ③  계단을 대체하여 설치하는 경사로의 경사도는 1:6을 넘지 아니할 것      (2021년2회)
89.
건축물의 옥상에 60㎡의 옥상조경을 설치하고 대지에 100㎡의 조경을 설치한 경우 조경면적으로 산정 받을 수 있는 전체 조경면적은?
(단, 이 건축물에 설치하여야 하는 조경면적은 100㎡이다.)
 
150㎡
 
140㎡
 
130㎡
 
160㎡
 
정답 : ② 140㎡ (2016년1회)
90.
피난안전구역의 구조 및 설비에 관한 기준 내용 으로 옳지 않은 것은?
 
비상용 승강기는 피난안전구역에서 승하차 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할 것
 
건축물의 내부에서 피난안전구역으로 통하는 계단은 피난계단의 구조로 설치할 것
 
피난안전구역의 내부마감재료는 불연재료로 설치할 것
 
피난안전구역의 높이는 2.1m 이상일 것
 
정답 : ② 건축물의 내부에서 피난안전구역으로 통하는 계단은 피난계단의 구조로 설치할 것
(2015년2회)
91.
막다른 도로의 길이가 15m일 때 이 도로가 건축법령상 도로이기 위한 최소 폭은?
 
4m
 
3m
 
6m
 
2m
 
정답 : ② 3m (2017년4회)
92.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 및 승강로의 구조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승강장은 각층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할 것
 
각층으로부터 피난층까지 이르는 승강로는 단일구조로 연결하여 설치할 것
 
피난층이 있는 승장강의 출입구로부터 도로 또는 공지에 이르는 거리가 50m 이하일 것
 
옥내 승강장의 바닥면적은 비상용승강기 1대에 대하여 6㎡ 이상으로 할 것
 
정답 : ③ 피난층이 있는 승장강의 출입구로부터 도로 또는 공지에 이르는 거리가 50m 이하일 것
(2016년1회)
93.
부설주차장의 설치대상 시설물 종류에 따른 설치기준이 틀린 것은?     
 
판매시설 - 시설면적 150m2당 1대     
 
 위락시설 - 시설면적 80m2당 1대     
 
골프장 - 1홀당 10대     
 
숙박시설 - 시설면적 200m2당 1대
 
정답 : ②  위락시설 - 시설면적 80m2당 1대      (2020년1회)
94.
대형건축물의 건축허가 사전승인신청 시 제출도서 중 설계설명서에 표시하여야 할 사항에 속하지 않는 것은?
 
각부 구조계힉
 
개략공정계획
 
시공방법
 
동선계획
 
정답 : ① 각부 구조계힉 (2020년3회)
95.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용어는?
개발로 인하여 기반시설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나 기반시설을 설치하기 곤란한 지역을 대상으로 건폐율이나 용적률을 강화하여 적용하기 위하여 지정하는 구역
 
지구단위계획구역
 
기반시설부담구역
 
개발밀도관리구역
 
시가화조정구역
 
정답 : ③ 개발밀도관리구역 (2016년4회)
96.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용도 지역에서의 용적률 최대한도 기준이 옳지 않은 것은? (단, 도시지역의 경우)
 
주거지역 : 500퍼센트 이하
 
공업지역 : 400퍼센트 이하
 
상업지역 : 1000퍼센트 이하
 
녹지지역 : 100퍼센트 이하
 
정답 : ③ 상업지역 : 1000퍼센트 이하 (2018년4회)
97.
다음은 승용 승강기의 설치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밑줄 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건축물”에 대한 기준 내용으로 옳은 것은?
건축주는 6층 이상으로서 연면적이 2000m2 이상인 건축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건축물은 제외한다.)을 건축하려면 승강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층수가 10층인 건축물로서 각 층 거실의 바닥면적 300m2 이내마다 1개소 이상의 직통계단을 설치한 건축물     
 
 층수가 6층인 건축물로서 각 층 거실의 바닥면적 300m2 이내마다 1개소 이상의 직통계단을 설치한 건축물     
 
층수가 10층인 건축물로서 각 층 거실의 바닥면적 500m2 이내마다 1개소 이상의 직통계단을 설치한 건축물
 
층수가 6층인 건축물로서 각 층 거실의 바닥면적 500m2 이내마다 1개소 이상의 직통계단을 설치한 건축물     
 
정답 : ②  층수가 6층인 건축물로서 각 층 거실의 바닥면적 300m2 이내마다 1개소 이상의 직통계단을 설치한 건축물      (2017년4회)
98.
건축물의 층수 산정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층의 구분이 명확하지 아니한 건축물은 그 건축물의 높이 4m마다 하나의 층으로 보고 그 층수를 산정한다.
 
계단탑으로서 그 수평투영면적의 합계가 해당 건축물 건축면적의 8분의 1 이하인 것은 건축물의 층수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건축물이 부분에 따라 그 층수가 다른 경우에는 바닥면적에 따라 가중평균한 층수를 그 건축물의 층수로 본다.
 
지하층은 건축물의 층수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정답 : ③ 건축물이 부분에 따라 그 층수가 다른 경우에는 바닥면적에 따라 가중평균한 층수를 그 건축물의 층수로 본다. (2018년1회)
99.
허가 대상 건축물이라 하더라도 미리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 또느 시장·군수·구청장에게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신고를 하면 건축허가를 받은 것으로 보는 경우에 속하지 않는 것은? (단, 층수가 2층인 건축물의 경우)
 
연면적이 200㎡ 미만인 건축물의 대수선
 
바닥면적의 합계 85㎡ 이내의 증축
 
바닥면적의 합계 85㎡ 이내의 신축
 
바닥면적의 합계 85㎡ 이내의 개축
 
정답 : ③ 바닥면적의 합계 85㎡ 이내의 신축
(2015년2회)
100.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한 범죄예방 기준에 따라 건축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숙련시설
 
공동주택 중 연립주택
 
숙박시설 중 다중생활시설
 
업무시설 중 오피스텔
 
정답 : ② 공동주택 중 연립주택
(2016년4회)

 

 

건축기사 기출문제를 비롯하여 더 많은 국가기술자격증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는 문제풀이닷컴 홈페이지(https://quz.co.kr/)에서 이용가능합니다.

Posted by 문제풀이닷컴

댓글을 달아 주세요

오늘의 기출문제 모의고사는 건축기사 필기 입니다.

문제풀이닷컴에 입력되어 있는 기출문제 자료들를 활용하여 건축기사 필기 자격증 기출문제를 랜덤(무작위)하게 뽑아내었습니다.

각 문제 하단에   버튼을 클릭하면 정답 및 해당문제의 출제년도 및 회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타 및 오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알려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채점 및 결과 확인 기능은 블로그에서는 어려우니 홈페이지(https://quz.co.kr/)에서 문제풀이를 이용하시면 확인가능합니다.

 

건축기사 필기 시험과목은 " 건축계획, 건축시공, 건축구조, 건축설비, 건축관계법규 " 총 5 과목으로 되어 있으며 과목당 40점이상,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아래 링크(문제풀이닷컴홈페이지)에서는 건축기사 필기 기출문제 문제풀이를 회차별 또는 랜덤으로 회원가입등이 없이 문제풀이를 맘껏 풀이 해볼수 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건축기사 필기

 

건축계획

1.
고층용 엘리베이터 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출발 기준층은 입주인원의 변화를 고려하여 2개 층 이상으로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각 서비스 존별 엘리베이터 수량은 가능한 한 8대 이하로 한다.
각 서비스 존은 10~15개 층으로 구분한다.
호텔의 경우는 엘리베이터의 블특정한 이용 승객의 인지성등을 고려하여 40층 이하의 경우에는1개 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 : ① 출발 기준층은 입주인원의 변화를 고려하여 2개 층 이상으로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2015년1회)
2.
다음 중 아파트의 평면형식에 따른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복도형
판상형
집중형
홀형
정답 : ② 판상형 (2016년4회)
3.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미술관 전시실의 순회형식은?
  • 각 전시실이 연속적으로 동선을 형성하고 있으며, 단순함과 공간절약의 의미에서 이점을 갖고있다.
  • 많은 실을 순서별로 통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 1실을 폐문시켰을 때는 전체 동선이 막히게 된다.
갤러리 형식
중앙홀 형식
코리더 형식
연속순로 형식
정답 : ④ 연속순로 형식
(2015년1회)
4.
바실리카식 교회당의 구성에 속하지 않는 것은?
나르텍스
트란셉트
파일론
아일
정답 : ③ 파일론 (2017년1회)
5.
오토 바그너(Otto Wagner)가 주장한 근대건축의 설계지침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그리스 건축양식의 복원
경제적인 구조
시공재료의 적당한 선택
목적을 정확히 파악하고 완전히 충족시킬 것
정답 : ① 그리스 건축양식의 복원
(2016년1회)
6.
르 꼬르뷔제(Le Corbuiser)가 주장한 건축 5대 원칙에 속하지 않는 것은?
옥상정원
모듈러
필로티
자유로운 평면
정답 : ② 모듈러 (2016년1회)
7.
주택의 현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현관의 위치는 주택의 북측이 가장 좋으며 주택의 남측이나 중앙부부분에는 위치하지 않도록 한다.
현관의 크기는 현관에서 간단한 접객의 용무를 겸하는 예상수 등을 고려한 출입량에 중점을 두어 계획하는것이 바람직하다.
현관의 위치는 대지의 형태, 방위, 도로와의 관계에 영향을 받는다.
현관의 크기는 주택의 규모와 가족의 수, 방문객의 예상수 등을 고려한 출입량에 중점을 두어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 : ① 현관의 위치는 주택의 북측이 가장 좋으며 주택의 남측이나 중앙부부분에는 위치하지 않도록 한다.
(2016년4회)
8.
공동주택의 단면형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메조넷형에서 통로가 없는 층은 채광 및 통풍확보가 양호하다.
스킵 플로어형은 동일한 주거동에서 각기 다른 모양의 세대 배치가 가능하다.
플랫형은 평면구성의 제약이 적으며, 소규모의 평면계획도 가능하다.
트리플렉스형은 듀플렉스형보다 공용면적이 크게 된다.
정답 : ④ 트리플렉스형은 듀플렉스형보다 공용면적이 크게 된다.
(2015년2회)
9.
호텔의 퍼블릭 스페이스(public space)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로비는 개방성과 다른 공간과의 연계성이 중요하다.
프론트 오피스는 기계화된 설비보다는 많은 사람을 고용함으로서 고객의 편의와 능률을 높여야 한다.
프론트 데스크 후방에 프론트 오피스를 연속 시킨다.
주식당은 외래객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출입구를 별도로 설치한다.
정답 : ② 프론트 오피스는 기계화된 설비보다는 많은 사람을 고용함으로서 고객의 편의와 능률을 높여야 한다.
(2017년1회)
10.
연극을 감상하는 경우 배우의 표정이나 동작을 상세히 감상할 수 있는 시각 한계는?
15m
10m
5m
3m
정답 : ① 15m (2015년1회)
11.
송바르 드 로브의 주거면적기준으로 옳은 것은?
병리기준 : 8㎡, 한계기준 : 12㎡
병리기준 : 6㎡, 한계기준 : 12㎡
병리기준 : 6㎡, 한계기준 : 14㎡
병리기준 : 8㎡, 한계기준 : 14㎡
정답 : ④ 병리기준 : 8㎡, 한계기준 : 14㎡ (2016년4회)
12.
엘리베이터의 설치 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서비스를 균일하게 할 수 있도록 건축물 중심부에 설치하는것이 좋다.
건축물의 출입 층이 2개 층이 되는 경우는 각각의 교통수요량 이상이 되도록 한다.
군 관리운전의 경우 동일 군내의 서비스 층은 같게 한다.
승객의 층별 대기시간은 평균 운전간격 이상이 되게 한다.
정답 : ④ 승객의 층별 대기시간은 평균 운전간격 이상이 되게 한다.
(2015년2회)
13.
학교 건축계획시 고려되는 융통성의 해결 수단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공간의 다목적성
방 사이벽(partition)의 이동
교실배치의 융통성
각 교실의 특수화
정답 : ④ 각 교실의 특수화
(2015년1회)
14.
미술관의 연속순로 형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각 실을 필요시에는 자유로이 독립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평면적인 형식으로 2, 3개 층의 입체적인 방법은 불가능하다.
중심부에 하나의 큰 홀을 두고 그 주위에 각 전시실을 배치하여 자유로이 출입하는 형식 이다.
많은 실을 순서별로 통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으나 공간절약의 이점이 있다.
정답 : ④ 많은 실을 순서별로 통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으나 공간절약의 이점이 있다.
(2017년1회)
15.
한국건축의 평면형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각형 평면으로는 육각과 팔각이 많이 사용되었는데 대개 정자에서 나타난다.
쌍봉사 대웅전은 2칸 장방형 평면이다.
중부지방 민가에서는 ㄱ자형 평면이 많은데 이를 곱은자집이라고도 한다.
퇴 없이 측면이 단 칸인 평면은 평안도 살림집에서 많이 나타난다.
정답 : ② 쌍봉사 대웅전은 2칸 장방형 평면이다.
(2016년4회)
16.
관학인 향교의 배치 방법 중 평지에 지어지고 대성전을 앞에 배치한 것은?
전조후침(前朝後寢)
전조후시(前朝後市)
전묘후학(前廟後學)
전학후묘(前學後廟)
정답 : ③ 전묘후학(前廟後學) (2015년2회)
17.
특수전시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파노라마 전시는 연속적인 주제를 연관성 있게 표현하기 위해 선형의 파노라마로 연출하는 기법이다.
아일랜드 전시는 실물을 직접 전시할 수 없거나 오브제전시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영상매체를 사용하여 전시하는 기법이다.
하모니카 전시는 전시내용을 통일된 형식 속에서 규칙적으로 반복시켜 표현하는 기법이다.
디오라마 전시는 하나의 사실 또는 주제의 시간 상황을 고정시켜 연출하는것으로 현장에 임한 느낌을 주는 기법이다.
정답 : ② 아일랜드 전시는 실물을 직접 전시할 수 없거나 오브제전시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영상매체를 사용하여 전시하는 기법이다.
(2015년1회)
18.
현존하는 우리나라 목조건축물 중 가장 오래된 것은?
부석사 무량수전
법주사 팔상전
봉정사 극락전
화엄사 보광대전
정답 : ③ 봉정사 극락전
(2017년1회)
19.
그리스 신전 건축에 사용된 착시 혀상의 보정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기단, 아키트레이브, 코니스 등이 이루는 긴 수평선들을 약간 위로 블룩하게 만들었다.
모서리 쪽의 기둥 간격을 넓혔다.
기둥 같은 수직 부재들은 올라가면서 약간 안쪽으로 기울였다.
기둥의 전체적인 윤곽을 중앙부에서 약간 부풀게 만들었다.
정답 : ② 모서리 쪽의 기둥 간격을 넓혔다.
(2015년1회)
20.
다음은 객석의 가시거리에 관한 설명이다. ()안에 알맞은 것은?
연극 등을 감상하는 경우 연기자의 표정을 읽을 수 있는 가시한계는 (ㄱ) 정도이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극장에서는 잘 보여야 되는 동시에 많은 관객을 수용해야 하므로 (ㄴ) 까지를 제1차 허용한도로 한다.
ㄱ 15m, ㄴ 25m
ㄱ 10m, ㄴ 25m
ㄱ 10m, ㄴ 22m
ㄱ 15m, ㄴ 22m
정답 : ④ ㄱ 15m, ㄴ 22m (2016년1회)

건축시공

21.
지하 연속 흙막이 공법인 슬러리 월(Slurry Wall)공법과의 관련성이 가장 적은 것은?
파워 쇼벨(power shovel)
벤토나이트(ventonite) 용액
가이드 월(guide wall)
트레미 관(tremie pipe)
정답 : ① 파워 쇼벨(power shovel)
(2015년2회)
22.
건설공사의 품질관리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CIC
Control Chart
ISO 9000
TQC
정답 : ① CIC (2015년2회)
23.
통합품질관리 TQC(Total Quality Control)를 위한 도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관리도란 통계적 요인이나 특성에 대한 두 변량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그림으로서 두 변량을 각각 가로축과 세로축에 취하여 측정값을 타점하여 작성 한다.
파레토도란 층별 요인이나 특성에 대한 불량점유율을 나타낸 그림으로서 가로축에는 층별 요인이나 특성을, 세로축에는 불량건수나 불량손실금액 등을 표시하여 그 점유율을 나타낸 불량해석제도이다.
특성요인도란 문제로 하고 있는 특성과 요인 간의 관계, 요인 간의 상호관계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화살표를 이용하여 나타낸 그림이다.
히스토그램이란 모집단에 대한 품질특성을 아릭 위하여 모집단의 분포상태, 분포의 중심위치, 분포의 산포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막대그래프 형식으로 작성한 도수분포도를 말한다.
정답 : ① 관리도란 통계적 요인이나 특성에 대한 두 변량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그림으로서 두 변량을 각각 가로축과 세로축에 취하여 측정값을 타점하여 작성 한다.
(2016년1회)
24.
철골공사에서 용접봉의 내밀기, 이동 등을 기계화한 것으로, 서브머지 아크용접법에 쓰이며, 피복제 대신에 분말상의 플럭스를 쓰는 용접기기 명칭으로 옳은 것은?
직류아크용접기
자동용접기
반자동용접기
교류아크용접기
정답 : ② 자동용접기 (2016년4회)
25.
표준관입시험(SPT)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추의 낙하높이는 100cm이다.
N값은 샘플러를 30cm 관입하는데 소요되는 타격횟수이다.
모래지반의 상대밀도를 직접 측정하는 방법이다.
점토지반에서는 표준관입시험이 불가능하다.
정답 : ② N값은 샘플러를 30cm 관입하는데 소요되는 타격횟수이다.
(2015년2회)
26.
토공사를 수행할 경우 주의해야 할 현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그라우팅(grouting)
파이핑(piping)
보일링(boiling)
히빙(heaving)
정답 : ① 그라우팅(grouting) (2016년1회)
27.
지하연속벽 공법 중 슬러리월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시공시의 소음·진동이 크다.
일반적으로 차수효과가 뛰어나다
주변지반에 대한 영향이 크다.
인접건물의 경계선까지 시공이 불가능하다.
정답 : ② 일반적으로 차수효과가 뛰어나다
(2016년4회)
28.
점토질 연약지반의 탈수공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페이퍼 드레인(paper drain) 공법
샌드 드레인(sand drain) 공법
생석회 말뚝 (chemico pile) 공법
웰 포인트(well poing)
정답 : ④ 웰 포인트(well poing)
(2016년1회)
29.
사무실 용도의 건물에서 철골구조의 슬래브 바닥재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데크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
거셋 플레이트
체커드 플레이트
정답 : ① 데크 플레이트
(2016년1회)
30.
콘크리트용 재료 중 시멘트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중용열포틀랜드시멘트는 수화작용에 따르는 발열이 적기 때문에 매스콘크리트에 적당하다.
알칼리 골재반응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내황산염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한다.
조강포틀랜드시멘트는 조기강도가 크기 때문에 한중콘크리트공사에 주로 쓰인다.
조강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7일강도는 보통포트랜드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28일 강도와 거의 비슷하다.
정답 : ② 알칼리 골재반응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내황산염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한다.
(2015년2회)
31.
비철금속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구조용 알루미늄 합금은 4 ~ 5%의 동을 함유하므로 내식성이 좋다.
주로 합금재료로 쓰인는 주석은 유기산에는 거의 침해되지 않는다.
아연은 철강의 방식용에 피복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동에 아연을 합금시킨 일반적인 황동은 아연함유량이 40% 이하이다.
정답 : ① 구조용 알루미늄 합금은 4 ~ 5%의 동을 함유하므로 내식성이 좋다.
(2016년4회)
32.
건설사업자원 통합 전산망으로 건설 생산활동 전과정에서 건설 관련 주체가 전산망을 통해 신속히 교환·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합 정보시스템의 용어로써 옳은 것은?
건설 EC(Engineering Construction)
건설 CIC(Computer Integrated Construction)
건설 EVMS(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
건설 CALS(Continuous Acquisition & Life Cycle Support)
정답 : ④ 건설 CALS(Continuous Acquisition & Life Cycle Support)
(2015년1회)
33.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이 6mX10m 평면에 높이가 4m 일 때 동바리 소요량은 몇 공 ㎥가 되는가?
228
216
264
240
정답 : ② 216 (2017년1회)
34.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발주 시 호칭규격인 25 - 24 - 150에서 알 수 없는 것은?
호칭강도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슬럼프(Slump)
염화물 함유량
정답 : ④ 염화물 함유량
(2015년2회)
35.
다음 시멘트 중 시멘트 분말의 비표면적이 가장 큰 것은?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정답 : ①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2017년1회)
36.
토공사용 기계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파워쇼벨(power shovel)은 지반보다 낮은 곳을 깊게 팔 수 있는 기계로서 보통 약 5m 까지 팔 수 있다.
클램쉘(clamshell)은 수직굴착 등 일반적으로 협소한 장소의 굴착에 적합한 것으로 자갈 등의 적재에도 사용된다.
드래그라인(drag line)은 기계를 설치한 지반보다 낮은 장소 또는 수중을 굴착하는 데 사용된다.
불도저(bull dozer)는 일반적으로 흙의 표면을 밀면서 깎아 단거리 운반을 하거나 정지를 한다.
정답 : ① 파워쇼벨(power shovel)은 지반보다 낮은 곳을 깊게 팔 수 있는 기계로서 보통 약 5m 까지 팔 수 있다.
(2016년4회)
37.
콘크리트 보수 및 보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탄소섬유접착공법은 탄소섬유관을 에폭시수지등으로 콘크리트 면에 부착시켜 탄소섬유판의 높은 인장저항성으로  콘크리트를 보강하는 공법이다.
충전공법 사용 재료는 실링제, 에폭시수지 및 폴리머시멘트 모르타르 등이 있다.
주입공법은 작업의 신속성을 위하여 균열부위에 주입파이프를 설치하여 보수제를 고압고속으로 주입하는 공법이다.
표면처리 공법은 균열 0.2mm 이하 부위에 수지로 충전하고 균열표면에 보수재료를 씌우는 공법이다.
정답 : ③ 주입공법은 작업의 신속성을 위하여 균열부위에 주입파이프를 설치하여 보수제를 고압고속으로 주입하는 공법이다.
(2016년4회)
38.
다음 배수공법 중 중력배수공법에 해당하는 것은?
진공압밀 공법
전기삼투 공법
집수정 공법
웰포인트 공법
정답 : ③ 집수정 공법
(2015년2회)
39.
8개월간 공사하는 어느 공사 현장에 필요한 시멘트량이 2397포이다. 이 공사 현장에 필요한 시멘트 창고면적으로 적당한 것은? (단, 쌓기단수는 13단)
24.6㎡
73.8㎡
98.5㎡
54.2㎡
정답 : ① 24.6㎡
(2016년1회)
40.
건축공사비의 원가구성 항목이 아닌 것은?
노무비
경비
도급공사비
재료비
정답 : ③ 도급공사비 (2016년4회)

건축구조

41.
절점 B에 외력 M=200kN·m가 작용하고 각 부재의 강비가 그림과 같을 경우 MAB 는?
40 kN·m
80 kN·m
60 kN·m
20 kN·m
정답 : ① 40 kN·m
(2015년2회)
42.
강도설계법에서 처짐을 계산하지 않는 경우 철근 콘크리트 보의 최소두께 규정으로 옳은 것은?
(단, 보통콘크리트 wc  = 2,300kg/㎥ 와 설계기준항복강도 400MPa 철근을 사용한 부재)
양단연속 : l/24
캔틸레버 : l/10
1단 연손 l/18.5
단순지지 : l/20
정답 : ③ 1단 연손 l/18.5
(2015년1회)
43.
그림과 같은 구조물에서 모멘트가 작용하지 않은 부재(M=0)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