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임도의 밀도가 높을수록 산지의 개발 또한 높아진다. 임도 밀도를 산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해석적 방법과 경험적 방법이 있는데 해석적 방법의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예정노선의 노선도를 작성하지 않고 순수하게 계산만으로 이론적최적임도 밀도를 산출하는 것
②
예정 개설 노선의 노선도를 작성하고 계산과 이론으로 최적임도를 산출하는 것
③
몇 개의 예정노선을 계획하고 이익과 비용에 의해 비교 판단하는 것
④
몇 개의 예정노선을 계획 작성하고 임지마다 최적의 노선배치에 의한 최적 임도를 선정하는 것
정답 : ① 예정노선의 노선도를 작성하지 않고 순수하게 계산만으로 이론적최적임도 밀도를 산출하는 것
62.
컴퍼스 측량시에 일차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오전 9시경이 최대이고, 오후 2시경이 최소이다.
②
오전 9시경이 최소이고, 오후 2시경이 최대이다 .
③
오전 11시경이 평균이고, 오후 2시경이 최소이다.
④
오전 11시경이 평균이고, 오후 2시경이 최대이다.
정답 : ④ 오전 11시경이 평균이고, 오후 2시경이 최대이다.
63.
산림관련 규정에서 간선임도의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길어깨는 차도의 양측에 설치한다.
②
길어깨의 너비는 50㎝~1m의 범위로 한다.
③
배향곡선은 중심선 반지름이 10m 이상으로 설치한다.
④
임도의 유효너비는 길어깨 및 옆도랑의 너비를 합친 3m를 기준으로 한다.
정답 : ④ 임도의 유효너비는 길어깨 및 옆도랑의 너비를 합친 3m를 기준으로 한다.
64.
아래 그림에서 각 불도저의 번호와 명칭이 바르게 나열된 것은?
①
①스트레이트도저 ②앵글도저 ③버킷도저 ④레이크도저
②
①버킷도저 ②앵글도저 ③스트레이트도저 ④레이크도저
③
①스트레이트도저 ②버킷도저 ③트리도저 ④레이크도저
④
①스트레이트도저 ②앵글도저 ③트리도저 ④레이크도저
정답 : ④ ①스트레이트도저 ②앵글도저 ③트리도저 ④레이크도저
65.
임도 구조와 구성요소에 대한 상호 관련내용이 맞도록 짝지어 있지 않은 것은?
①
시거 - 노체길
②
어깨 - 횡단선형
③
최급 물매 - 종단선형
④
최소 곡선 반지름 - 평면선형
66.
임도시공현장에서의 안전사고 대책으로 가장 부적당한 것은?
①
시공기계 기종이 선정되면 사용 전 후에 여러가지 안전대책을 강구할 것
②
노무자에게 작업목적과 시공상의 문제점에 대하여 충분히 숙지시킬 섟
③
기계화시공에는 여러 가지 재해가 발생할 위험이 있으므로 안전대책을 마련할 것
④
작업방의 정리정돈은 작업의 편위를 위하여 작업상태 그대로 둘 것
정답 : ④ 작업방의 정리정돈은 작업의 편위를 위하여 작업상태 그대로 둘 것
67.
임도노선의 곡선설정시 사용되는 방법 중 해당되지 않는 것은?
68.
막깬돌이나 잡석을 쌓을 때 정해진 접촉부를 만들지 않고 쌓기 때문에 작은 외력에도 돌이 빠지거나 변형되기 쉬운 것은?
①
꼬치쌓기
②
이마대기
③
새입붙이기
④
참쌓기
69.
임업토목시공 작업에서 넓은 장소의 적재용으로 적합한 기계는?
①
백호우(backhoe)
②
불 도우저(bull dozer)
③
트리 도우저(tree dozer)
④
모터 그레이더(motor grader)
70.
임도 절개지 처리공사시나 양반으로 된 급경사 비탈면을 시멘트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 뿜어붙이기 공법으로 처리할 경우 한냉지방에 가장 알맞은 시공 두께는?
①
1~2㎝
②
5~6㎝
③
8~9㎝
④
10㎝ 이상
71.
다음 중 비탈녹화 공법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비탈선떼붙이기 공법
②
떼단쌓기 공법
③
분사식 파종 공법
④
비탈격자틀붙이기 공법
72.
측구(콘크리트관)에 흐르는 물의 유적이 0.35㎡이고, 측구를 흐르는 물의 평균 유속이 4m/s일 때 유량을 구하면?
①
1.4㎡/s
②
2.0㎡/s
③
2.8㎡/s
④
3.5㎡/s
73.
일반적으로 흙쌓기는 시공후 시일이 경과하면 수축하여 용적이 감소되고 시공면이 침하한다. 그러므로 더쌓기(extra banking)을 해야 하는데 그 양은 일반적으로 흙쌓기 높으이 몇% 정도로 해야 하는가?
74.
등고선의 성질을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등고선은 도면내나외에서 폐합하는 폐곡선이다.
②
등고선은 분수선과 항상 평행이다.
③
동등한 경사의 지표에서 양등고선의 수평 거리는 서로 같다.
④
동일등고선상에 있는 모든 점은 같은 높이이다.
정답 : ② 등고선은 분수선과 항상 평행이다.
75.
벌근 지름이 60㎝인 입목을 벌도하고자 한다. 수구의 깊이는 몇 ㎝ 정도가 가장 적당한가?
①
4~12㎝
②
12~20㎝
③
20~28㎝
④
28~36㎝
76.
임도를 설계하고자 할 때 가장 먼저 실시해야 할 일은?
①
예측
②
답사
③
설계서 작성
④
예비조사
77.
보통 모래는 흙 입자 지름이 몇 ㎜의 범위인가?
①
0.005㎜ ~ 0.42㎜
②
0.075㎜ ~ 2㎜
③
0.42㎜ ~ 2㎜
④
2㎜ ~ 4㎜
78.
노동재해의 원인을 인적요인, 물적요인으로 나눌 때 물적 요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보호장비의 불착용
②
작업방법의 부적당
③
기계장비의 밀집배치
④
기계장비의 안전장치 불완전
79.
양단면의 면적이 각각 65㎡, 30㎡이고 중앙단면의 면적이 40㎡이며 끝단면부에서 중앙단면부까지의 높이가 20m일 때 체적을 각주공식으로 구하면?
①
560㎥
②
1130㎥
③
1700㎥
④
1950㎥
80.
컴퍼스측량에서 전시로 시준한 방위가 Nɑ° E일 때 후시로 시준한 역방위를 구하면?
①
Nɑ° S
②
Nɑ° W
③
Sɑ° E
④
Sɑ° W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