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기출문제 모의고사는 산림기사 필기 입니다.
문제풀이닷컴에 입력되어 있는 기출문제 자료들를 활용하여 산림기사 필기 자격증 기출문제를 랜덤(무작위)하게 뽑아내었습니다.
각 문제 하단에 버튼을 클릭하면 정답 및 해당문제의 출제년도 및 회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타 및 오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알려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채점 및 결과 확인 기능은 블로그에서는 어려우니 홈페이지(https://quz.co.kr/)에서 문제풀이를 이용하시면 확인가능합니다.
산림기사 필기 시험과목은 " 조림학, 산림보호학, 임업경영학, 임도공학, 사방공학 " 총 5 과목으로 되어 있으며 과목당 40점이상,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아래 링크에서는 2017년 1회 산림기사 기출문제 문제풀이 및 랜덤문제풀이를 직접 해볼수 있습니다.
산림기사 필기
조림학
1.
묘목 식재시에 시비할 경우 본당 질소성분에 의한 시비 기준량(g/본)이 가장 낮은 수종은?
①
낙엽송
②
잣나무
③
사시나무
④
소나무
정답 : ④ 소나무 (2010년1회)
2.
수목의 목부 중 수액이동 조직이 아닌 것은?
①
수(pith)
②
가도관(tracheid)
③
도관(vessel)
④
세포막공(pit)
정답 : ① 수(pith) (2015년3회)
3.
토양생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식물의 뿌리는 토양구조 발달을 억제한다.
②
토양 균류는 종자 파종되어 생장중인 임목의 뿌리를 감염시켜 여러 가지 병원균으로부터 뿌리의 보호기능을 할 수 없도록 한다.
③
대부분 토양동물은 공간적인 조건이나 광조건이 양호한 낙엽층이나 부식층에 서식한다.
④
방사상균은 산성토양에 저항력이 높다.
정답 : ③ 대부분 토양동물은 공간적인 조건이나 광조건이 양호한 낙엽층이나 부식층에 서식한다. (2012년2회)
4.
목본식물 내 존재하는 지질(lipid)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저항성을 증진한다.
②
보호층을 조성한다.
③
세포액의 삼투압을 증가시킨다.
④
세포의 구성성분이다.
정답 : ③ 세포액의 삼투압을 증가시킨다. (2016년3회)
5.
소나무의 개화에서 종자 성숙까지는 얼마나 걸리는가?
①
개화 후 3개월에 성숙한다.
②
개화 후 4개월에 성숙한다.
③
개화 후 그 해의 가을에 성숙한다.
④
개화 후 다음해 가을에 성숙한다.
정답 : ④ 개화 후 다음해 가을에 성숙한다. (2010년1회)
6.
조림지의 풀베기 작업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하고 있는 것은?
①
둘레베기는 소요 노동력을 크게 증가시킨다.
②
낙엽송 조림지의 풀베기 작업은 식재 후 3~4년간 계속하는 것이 보통이다.
③
호두나무를 소식한 조림지는 모두베기를 하여 임지하부를 깨끗이 정리한다.
④
줄베기 작업은 묘목을 식재한 줄과 줄사이에 자라는 풀과 잡목 및 관목을 제거하는 작업이다.
정답 : ② 낙엽송 조림지의 풀베기 작업은 식재 후 3~4년간 계속하는 것이 보통이다. (2012년1회)
7.
산성 토양에 가장 잘 적응할 수 있는 수종은?
①
Alnus japonica
②
Catalpa ovata
③
Larix kaempferi
④
Acer negundo
정답 : ③ Larix kaempferi (2016년3회)
8.
다음 수종 중에서 산성 토양에 상대적으로 잘 적응 할 수 있는 수종은?
①
네군도단풍나무
②
개오동나무
③
오리나무
④
소나무
정답 : ④ 소나무 (2010년3회)
9.
식재 밀도에 따른 수목 생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식재 밀도가 낮으면 경쟁이 완화되어 단목의 생활력이 약해진다.
②
식재 밀도가 높으면 초살형으로 자란다.
③
식재 밀도는 수고생장보다 직경생장에 더 큰 영향을 끼친다
④
식재 밀도가 높을수록 단목재적이 빨리 증가 된다.
정답 : ③ 식재 밀도는 수고생장보다 직경생장에 더 큰 영향을 끼친다 (2017년1회)
10.
점토가 미사나 모래의 함량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식토의 특성을 잘못 설명한 것은?
①
식토는 사토에 비하여 보습력이 높다.
②
식토는 일반적으로 사토보다 식물의 뿌리발달에 좋다.
③
식토는 일반적으로 사토에 비하여 양이온치환용량(C.E.C)이 높다.
④
토양수분함량이 낮아질 때 식토는 거북등처럼 갈라지나 사토는 그렇지 않다.
정답 : ② 식토는 일반적으로 사토보다 식물의 뿌리발달에 좋다. (2011년3회)
11.
파종 후 발아 과정에서 해가림이 필요한 수종은?
①
아까시나무
②
물푸레나무
③
가문비나무
④
느티나무
정답 : ③ 가문비나무 (2016년3회)
12.
Moller의 향속림 사상의 강조 내용으로 옳은 것은?
①
정해진 윤벌기에 군상목택벌을 원칙으로 한다.
②
갱신은 인공갱신을 원칙으로 한다.
③
개벌을 금하고 해마다 간벌형식의 벌채를 반복한다.
④
벌채목의 선정은 산벌작업의 선정기준에 준해서 한다.
정답 : ③ 개벌을 금하고 해마다 간벌형식의 벌채를 반복한다. (2014년3회)
13.
간이 산림토양조사에 의하여 적수를 선정할 때 사용하지 않는 인자는?
①
토성
②
토심
③
지형
④
토색
정답 : ④ 토색 (2011년2회)
14.
개화결실 주기성이 가장 짧은 수종은?
①
낙엽송
②
소나무
③
구주소나무
④
전나무
정답 : ② 소나무 (2012년2회)
15.
다음 그림 중 사선을 친 부분은 나무가 벌채된 것이다. 이러한 갱신 벌채를 받았다면 이 임분에 대해서 어떠한 삼림작업법이 적용되고 있는가?
①
중림작업(하목개벌)
②
모수작업
③
산벌작업(하종벌)
④
보잔목작업
정답 : ③ 산벌작업(하종벌) (2012년2회)
16.
묘포에서 실생묘 양성을 위하여 일반 품질의 소나무 종자를 파종할때 1㎡당 파종량의 범위는?
①
5~10g
②
20~30g
③
40~50g
④
10~15g
정답 : ② 20~30g (2011년3회)
17.
다음 중 수목의 광합성과 관련한 설명으로 바르게 기술하고 있는 것은?
①
수목 한 개체 내에서 양엽이나 음엽에 상관없이 광보상점이나 광포화점이 동일하다.
②
우리나라에 자라는 대부분의 활엽수는 c-4식물군에 속한다.
③
엽록체 내에서 광에너지를 이용한 광반응이 일어나는 곳은 스트로마(stroma)이다.
④
수목은 동일 개체에서도 내음성이 수령이나 생육조건등에 따라서 변화를 보일 수 있다.
정답 : ④ 수목은 동일 개체에서도 내음성이 수령이나 생육조건등에 따라서 변화를 보일 수 있다. (2012년2회)
18.
2-1로 표시된 묘목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2년생 실생묘
②
3년생 삽목묘
③
3년생 이식묘
④
3년생 접목묘
정답 : ③ 3년생 이식묘 (2015년3회)
19.
풀베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묘목을 심은 뒤 1~2년 동안에만 실시한다.
②
소나무는 다른 수종보다 늦게 실시한다.
③
한해나 풍해가 우려되는 조림지는 둘레베기를 하는 것이 좋다.
④
잡초가 다 자란 9월 이후에 실시한다.
정답 : ③ 한해나 풍해가 우려되는 조림지는 둘레베기를 하는 것이 좋다. (2015년3회)
20.
묘목양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발육이 완전하고 조직이 충실하며 측아의 발달이 잘 되어 있는 것이 우량묘의 조건이다.
②
용기묘 양성은 양묘비용이 많이 들지 않고 틀별한 양묘 기술이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③
밤나무에 흔히 적용하는 접목법은 복접이다.
④
모식물의 가지를 휘어지게 하여 땅속에 묻어 고정하고 발근하게 하는 방법은 압조법 또는 복조법이라 한다.
정답 : ④ 모식물의 가지를 휘어지게 하여 땅속에 묻어 고정하고 발근하게 하는 방법은 압조법 또는 복조법이라 한다. (2010년2회)
산림보호학
21.
우리나라 산림에 피해를 주는 산림병해충 중 외래침입병 해충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①
아까시잎혹파리, 솔잎혹파리, 소나무재선충병
②
미국흰불나방, 버즘나무방패벌레, 밤나무혹벌
③
잣나무넓적잎벌, 솔수염하늘소, 솔잎혹파리
④
버즘나무방패벌레, 솔나방, 솔껍질깍지벌레
정답 : ① 아까시잎혹파리, 솔잎혹파리, 소나무재선충병 (2012년2회)
22.
잣나무 털녹병균이 기주교대를 하는 식물은 무엇인가?
①
매발톱
②
참나무류
③
애기똥풀
④
송이풀
정답 : ④ 송이풀 (2011년2회)
23.
다음의 병해 중 바람이 많이 부는 산림지역에서 피해가 급히 늘어나는 것은?
①
소나무 혹병
②
뿌리혹병(根頭癌腫病)
③
느티나무 갈색무늬병
④
낙엽송 가지끝마름병
정답 : ④ 낙엽송 가지끝마름병 (2011년2회)
24.
씹는 입틀을 가진 해충류의 방제에 주로 사용되는 살충제는?
①
소화중독제
②
기피제
③
훈증제
④
제충제
정답 : ① 소화중독제 (2011년3회)
25.
산불의 발생형태 중 비화(spot fire)하기 쉽고, 한번 일어나면 진화가 힘들어 큰 손실을 가져오는 것은?
①
수관화(樹冠火)
②
지표화(地表火)
③
수간화(樹幹火)
④
지중화(地中火)
정답 : ① 수관화(樹冠火) (2011년1회)
26.
묘포에 발생하는 모잘록병에 대하여 잘못 설명한 것은?
①
일반적으로 2~3년생 묘목보다는 당년생묘목에서 발생이 많다.
②
주로 토양이 습한 경우에 발생하므로 배수관리를 철저히 하면 예방에 도움이 된다.
③
병원균이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관여하여 병을 일으킨다.
④
질소비료를 사용하여 묘목의 초기생장을 빠르게 하면 발병을 줄일 수 있다.
정답 : ④ 질소비료를 사용하여 묘목의 초기생장을 빠르게 하면 발병을 줄일 수 있다. (2010년3회)
27.
흰가루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물푸레나무, 밤나무 등에 발병한다.
②
자낭균으로 자낭구를 형성한다.
③
식물 잎에 밀가루를 뿌려 놓은 것처럼 흰색의 균사가 자라서 덮는 것이다.
④
무성으로 분생포자를 많이 만들어 내는 완전사물기생균이다.
정답 : ④ 무성으로 분생포자를 많이 만들어 내는 완전사물기생균이다. (2015년3회)
28.
천적에 대한 피해가 가장 적은 살충제는?
①
접촉제
②
훈증제
③
소화 중독제
④
침투성 살충제
정답 : ④ 침투성 살충제 (2011년3회)
29.
다음 중 밤나무 종실을 가해하는 해충은?
①
복숭아심식나방
②
복숭아명나방
③
백송애기잎말이나방
④
솔알락명나방
정답 : ② 복숭아명나방 (2012년2회)
30.
밤나무혹벌의 월동형태는?
①
번데기
②
알
③
유충
④
성충
정답 : ③ 유충 (2012년1회)
31.
산불이 발생한 지역에서 많이 발생한 것으로 예측되 는 병은?
①
자줏빛날개무늬병
②
모잘록병
③
리지나뿌리썩음병
④
아밀라리아뿌리썩음병
정답 : ③ 리지나뿌리썩음병 (2014년3회)
32.
임연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임연부는 먹이 부족으로 고라니나 노루의 서식환경으로서는 부적당하다.
②
임연부에는 야생조류의 먹이가 많아 야생조류가 많이 서식할 수 있다.
③
임연부의 무성한 관목은 둥지를 만들기 쉽고 천적에게도 발견되기 어려운 이점이 있다.
④
산림과 초지, 침엽수림과 활엽수림 등 다른 환경유형이 인접하는 곳을 말한다.
정답 : ① 임연부는 먹이 부족으로 고라니나 노루의 서식환경으로서는 부적당하다. (2010년2회)
33.
다음 중 파이토플라스마에 의한 병이 아닌 것은?
①
뽕나무 오갈병
②
오동나무 빗자루병
③
대추나무 빗자루병
④
벚나무 빗자루병
정답 : ④ 벚나무 빗자루병 (2010년1회)
34.
잎을 주로 식해하는 해충이 아닌 것은?
①
오리나무잎벌레
②
솔나방
③
미국흰불나방
④
솔잎혹파리
정답 : ④ 솔잎혹파리 (2010년3회)
35.
다음 중 염풍(鹽風)에 강한 수종이 아닌 것은?
①
향나무
②
배나무
③
돈나무
④
자귀나무
정답 : ② 배나무 (2012년2회)
36.
야생동물의 서식에 필수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계절
②
먹이
③
은신처
④
물
정답 : ① 계절 (2010년2회)
37.
해충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솔나방은 소나무를 주로 가해하지만 활엽수도 가해하는 잡식성 해충에 속한다.
②
솔잎혹파리는 충영을 형성하는 해충이나 밤나무 순혹벌은 충영을 만들지 않는다.
③
소나무재선충을 매개하는 곤충은 솔수염하늘소, 울도하늘소 등이 알려져 있다.
④
미국흰불나방은 1958년에 침입한 해충으로, 잎을 가해한다.
정답 : ④ 미국흰불나방은 1958년에 침입한 해충으로, 잎을 가해한다. (2011년3회)
38.
아까시잎혹파리의 월동형태로 옳은 것은?
①
번데기
②
알
③
유충
④
성충
정답 : ① 번데기 (2014년3회)
39.
도토리거위벌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유충으로 월동한다.
②
우화한 성충은 도토리에 주둥이를 꽂고 흡즙 가해한다.
③
산란하는 곳은 어린 가지의 수피이다.
④
도토리가 달린 가지를 주둥이로 잘라 땅에 떨어뜨린다.
정답 : ③ 산란하는 곳은 어린 가지의 수피이다. (2017년1회)
40.
잣송이를 가해하여 수확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해충이며, 구과속의 가해부위에 벌레똥을 채워 놓고 외부로도 똥을 배출하여 구과표면에 붙여 놓으며 신초에도 피해를 주는 해충은?
①
솔알락명나방
②
솔수염하늘소
③
솔박각시나방
④
소나무좀
정답 : ① 솔알락명나방 (2012년2회)
임업경영학
41.
치유의 숲에 설치하는 시설이 아닌 것은?
①
위생시설
②
산림치유시설
③
편익시설
④
체육시설
정답 : ④ 체육시설 (2015년3회)
42.
산림교육의 활성화에 관한 법률에 의한 산림교육전문가가 아닌 것은?
①
숲해설가
②
자연환경해설사
③
유아숲지도사
④
숲길체험지도사
정답 : ② 자연환경해설사 (2015년3회)
43.
임목의 평균생장량이 최대가 될 때를 벌기령으로 정한 것은?
①
토지순수익 최대의 벌기령
②
재적수확 최대의 벌기령
③
산림순수익 최대의 벌기령
④
화폐수익 최대의 벌기령
정답 : ② 재적수확 최대의 벌기령 (2014년3회)
44.
자연휴양림의 시설배치 방식은 어느 것인가?
①
이동 방식과 고정 방식
②
체류 방식과 경유 방식
③
내륙 형식과 산간 오지형식
④
집중화 방식과 분산화 방식
정답 : ④ 집중화 방식과 분산화 방식 (2010년1회)
45.
산림환경자원으로서 야생동물의 서식밀도는 어떻게 표시하는가?
①
100ha 당의 마리 수 (여름철)
②
200ha 당의 마리 수 (여름철)
③
10ha 당의 마리 수 (여름철)
④
300ha 당의 마리 수 (여름철)
정답 : ① 100ha 당의 마리 수 (여름철) (2010년2회)
46.
휴양자원의 이용량과 그 영향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휴양자원이 받는 영향은 이용초기에는 적지만 이용량이 많아질수록 그 영향의 정도가 커진다.
②
휴양자원이 받는 영향은 이용초기에는 크지만 이용량이 많아져도 그 영향의 정도가 커진다.
③
휴양자원이 받는 영향은 이용초기에는 적지만 이용량이 많아져도 그 영향의 정도가 더욱 적어진다.
④
휴양자원이 받는 영향은 이용초기에는 크지만 이용량이 많아질수록 그 영향의 정도가 적어진다.
정답 : ④ 휴양자원이 받는 영향은 이용초기에는 크지만 이용량이 많아질수록 그 영향의 정도가 적어진다. (2011년2회)
47.
산림휴양림의 경관 관리 방법으로 경관 연출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①
다양성
②
보도의 액센트
③
차단공간 조성
④
계절감
정답 : ② 보도의 액센트 (2015년3회)
48.
어떤 입지는 육림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목축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때 임지를 육림용으로 사용할 경우 목축용으로 사용할 때 얻을 수 있는 수익을 포기하는 것을 의미하는 원가는?
①
변동원가
②
기회원가
③
한계원가
④
증분원가
정답 : ② 기회원가 (2017년1회)
49.
산림을 국유림, 공유림, 사유림의 3가지로 구분 할 때 공유림의 경영목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공공복지 증진
②
재산유지 및 묘지확보
③
사유림 경영의 시범
④
지방재정 수입의 확보
정답 : ② 재산유지 및 묘지확보 (2012년1회)
50.
수간석해(樹幹析解)를 통해 총 재적을 구할 때 합산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①
지조재적
②
결정간재적
③
초단부재적
④
근주재적
정답 : ① 지조재적 (2012년1회)
51.
흉고높이에서 생장추를 이용하여 반경 1cm내의 연륜수 5를 얻었다. 흉고직경이 32cm, 상수 k = 500일때 슈나이더(schneider)식을 이용하여 재적 생장율을 계산하면?
①
2.5%
②
3.6%
③
4.0%
④
3.1%
정답 : ④ 3.1% (2011년1회)
52.
임업소득의 계산방법 중에서 자본에 귀속하는 소득을 계산하면? (단, 임업소득은 10,000,000원, 지대는 1,000,000원, 가족노임추정액은 5,000,000원, 자본이자는 50,000원이다.)
①
3,500,000원
②
4,000,000원
③
4,500,000원
④
10,500,000원
정답 : ② 4,000,000원 (2011년1회)
53.
법정축적법의 일종인 kameraltaxe 법에 의하여 수확조정을 하고자 할 때 표준연벌채량의 계산인자가 아닌 것은?
①
경리기외 편입기간
②
갱정기
③
현실축적
④
법정축적
정답 : ① 경리기외 편입기간 (2011년2회)
54.
Huber식을 이용하여 중앙직경이 10cm, 재장이 20m인 통나무의 재적(㎥)은?
①
1.5700
②
0.7850
③
0.1570
④
0.0785
정답 : ③ 0.1570 (2016년3회)
55.
임업경영의 형태 중 개벌경영을 해체하고 모든 자본과 노동을 통합하여 공동화하는 협업경영 체계에서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불충분한 시장조사로 인한 실패
②
가장 낮은 수준으로 노동 평준화
③
필요 이상의 과잉 투자로 인한 수익성 저하
④
불필요한 신기술 개발로 인한 자본 낭비
정답 : ④ 불필요한 신기술 개발로 인한 자본 낭비 (2015년3회)
56.
수간석해를 할 때 반경은 보통 몇 년 단위로 측정 하는가?
①
5년
②
3년
③
2년
④
10년
정답 : ① 5년 (2010년2회)
57.
휴양림의 화장실 최소 이용객수가 800명, 최대 이용객수가 800명, 이용률이 1/80, 그리고 단위면적이 3.3m²일 경우에 호장실의 소요 공간규모는?
①
330m²
②
50m²
③
270m²
④
130m²
정답 : ① 330m² (2012년1회)
58.
재적수확 최대의 벌기령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①
연년생장량
②
정기생장량
③
정기평균생장량
④
총평균생장량
정답 : ④ 총평균생장량 (2011년3회)
59.
어느 법정림의 춘계축적이 1000㎥, 추계축적이 1200㎥라 할 때 이 산림의 법정축적은 몇 ㎥인가?
①
2200
②
1200
③
1000
④
1100
정답 : ④ 1100 (2010년1회)
60.
수확표의 내용과 관련이 없는 것은?
①
재적
②
지리등급
③
지위등급
④
평균수고
정답 : ② 지리등급 (2017년1회)
임도공학
61.
다음 중 사면붕괴 및 사면침식 등 비탈면의 유지관리를위한 표면유수 유입방지용 배수시설은?
①
맹거
②
종배수구
③
산마루 측구
④
횡배수구
정답 : ③ 산마루 측구 (2012년1회)
62.
임도망 계획을 위한 주요조사 항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계획노선을 이용하게 될 이용구역을 결정한다.
②
이용구역과 관련된 지역에서 생산되는 임산물의 상황을 조사한다.
③
계획노선에 대해서는 노선선정에 관련된 임도구분, 노선명, 나비 등을 조사한다.
④
이용구역 내의 산림에 대해서는 자연환경보전의 조건에 대해서 조사한다.
정답 : ② 이용구역과 관련된 지역에서 생산되는 임산물의 상황을 조사한다. (2011년3회)
63.
사리도의 유지보수 내용으로 바람지하지 못한 것은?
①
방진처리는 물, 염화칼슘, 폐유, 타르, 아스팔트 유제등이 사용된다.
②
횡단물매를 10~15%정도로 하여 노면배수가 양호하도록 한다.
③
갓길이나 노측이 높아져 배수가 불량할 경우 그레이더로 정형하고 롤러로 다진다.
④
노면의 정지는 가능한한 비가 온 후 습윤한 상태에서 실시한다.
정답 : ② 횡단물매를 10~15%정도로 하여 노면배수가 양호하도록 한다. (2010년3회)
64.
임도의 설계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평면도는 축척 1/1200으로 한다.
②
평면도에는 임시기표, 교각점, 측점번호, 사유토지의 경계, 구조물의 위치 및 규격 등을 기입한다.
③
횡단기입의 순서는 좌측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한다.
④
횡단면도의 축척은 1/1000로 한다.
정답 : ④ 횡단면도의 축척은 1/1000로 한다. (2012년1회)
65.
그림과 같은 도형의 재적을 절고법으로 구한 값은?
①
0.936㎥
②
0.836㎥
③
0.636㎥
④
0.736㎥
정답 : ③ 0.636㎥ (2010년1회)
66.
집재가선을 설치할 때 본줄을 설치하기 위한 집재기 쪽의 지주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받침기둥
②
머리기둥
③
안내기둥
④
꼬리기둥
정답 : ② 머리기둥 (2017년1회)
67.
임도 내 교량에 적용되는 종단기울기는?
(단, 특별한 장소 제외)
①
2% 미만
②
6% 미만
③
적용하지 아니한다.
④
4% 미만
정답 : ③ 적용하지 아니한다. (2015년3회)
68.
실제 지상의 두 점간 거리가 100m인 지점이 지도상에서 4mm로 나타났다면 이 지도의 축척은?
①
1/2500
②
1/50000
③
1/25000
④
1/1000
정답 : ③ 1/25000 (2017년1회)
69.
일반지형에서 설계속도가 30km/시간 일 때 임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소곡선반지름의 기준은?
①
30m
②
15m
③
60m
④
40m
정답 : ① 30m (2010년1회)
70.
중경목을 벌도하려고 할 때 중경목의 추구요령이 잘 표현된 그림은 어느 것인가?
①
②
③
④
정답 : ④
(2011년2회)
71.
수확한 임목을 공장에서 하지 않고 임내에서 박피(剝皮)하는 이유와 거리가 먼 것은?
①
신속한 건조
②
운재작업의 용이
③
병충해 피해방지
④
고성능 기계화로 생산원가의 절감
정답 : ④ 고성능 기계화로 생산원가의 절감 (2011년1회)
72.
임도 설계서 작성에 필요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목차
②
타당성 평가표
③
특별시방서
④
토적표
정답 : ② 타당성 평가표 (2017년1회)
73.
토목공사용 굴착기의 앞부속장치로 옳지 않은것은?
①
drag shovel
②
crane
③
pile driver
④
clam lines
정답 : ④ clam lines (2015년3회)
74.
임도교량 작업 시 주재료인 콘크리트의 물 함량을 아주 높게 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하려고 할 때 어떠한 문제점이 발생하는가?
①
배합이 골고루 되지 않는다.
②
시멘트 량이 줄어든다.
③
작업비가 높아진다.
④
콘크리트 강도가 낮아진다.
정답 : ④ 콘크리트 강도가 낮아진다. (2011년2회)
75.
배수 구조물의 크기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가장 적게 미치는 요인은?
①
집수구역의 지형 및 식생구조
②
확률강우에 의한 최대 시우량
③
구조물의 재질
④
집수구역의 면적
정답 : ③ 구조물의 재질 (2016년3회)
76.
흙의 기본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공극비는 흙입자의 용적에 대한 공극의 용적비이다.
②
공극률은 흙덩이 전체의 용적에 대한 간극의 용적비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③
무기질의 흙덩이는 고체(흙입자). 액체(물), 기체(공기)의 세 가지 성분으로 구성된다.
④
포화도는 흙입자의 중량에 대한 수분의 중량비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정답 : ④ 포화도는 흙입자의 중량에 대한 수분의 중량비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2015년3회)
77.
양각기계획법을 이용하여 1/25,000의 지형도에서 임도의 종단물매 5%의 노선을 긋고자 할 때, 지형도 상에서의 양각기 1폭(수평거리)은 얼마인가? (단, 등고선의 고저차는 10m이다.)
①
9mm
②
8mm
③
6mm
④
7mm
정답 : ② 8mm (2011년1회)
78.
측구(콘크리트관)에 흐르는 물의 유적이 0.35㎡이고, 측구를 흐르는 물의 평균 유속이 4m/sdlfEo 유량을 구하면?
①
2.8 ㎥/s
②
3.5 ㎥/s
③
2.0 ㎥/s
④
1.4 ㎥/s
정답 : ④ 1.4 ㎥/s (2010년2회)
79.
다음 그림과 조건을 이용하여 계산한 측선CA의 방위각은?
• 내각 ∠A= 62°15′27″ • 내각 ∠B= 54°37′49″ • 내각 ∠C= 63°06′53″ • 측선 AB의 방위각= 27°35′15″ |
①
269°50′42″
②
89°50′42″
③
89°50′39″
④
269°50′39″
정답 : ④ 269°50′39″ (2017년1회)
80.
다음 중 연암 또는 단단한 지반의 굴착에 적당한 산림토목 공사용 기계는?
①
머캐덤롤러(macadam roller)
②
리퍼불도저(ripper bulldozer)
③
모터그레이더(Motor grader)
④
로더(loader)
정답 : ② 리퍼불도저(ripper bulldozer) (2011년2회)
사방공학
81.
산복사방에서 산비탈흙막이 중 콘크리트벽 흙막이의 시공시 원칙적으로 높이는 몇 m 이하인가?
①
1m
②
3m
③
4m
④
6m
정답 : ③ 4m (2010년2회)
82.
낙석방지망덮기 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와이어로프의 간격은 가로와 세로 모두 4 ∼ 5m로 한다.
②
철망, 합성섬유망 등을 사용하여 비탈면에서 낙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③
합성섬유망은 100kg 이내의 돌을 대상으로 한다.
④
철망눈의 크기는 5mm 정도이다.
정답 : ④ 철망눈의 크기는 5mm 정도이다. (2016년3회)
83.
불투과형 중력식 사방댐의 형태인 흙댐의 시공요령으로 내심벽을 만들 때 사용하는 것은?
①
자갈
②
점토
③
모래
④
호박돌
정답 : ② 점토 (2015년3회)
84.
야계 현황을 조사한 결과 조도계수는 0.05, 통수단면적이 3㎡, 윤변이 1.5m, 수로 물매가 2% 일 때 Manning의 평균유속공식을 이용하여 유량을 계산하면 약 몇 ㎥/s인가?
①
4.49
②
0.49
③
1.35
④
13.47
정답 : ④ 13.47 (2011년2회)
85.
폐광지, 채석장 등의 훼손지를 처리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콘크리트를 살포 후 도색한다.
②
훼손지 주변을 나지로 변하게 한다.
③
속성수로서 차폐식재를 한다.
④
훼손지를 경제림으로 조성한다.
정답 : ③ 속성수로서 차폐식재를 한다. (2011년3회)
86.
계상에서 침식을 일으키지 않는 경우의 최대유속은?
①
수면유속
②
야계유속
③
임계유속
④
하상유속
정답 : ③ 임계유속 (2010년1회)
87.
개수로에서 물의 흐름을 직각으로 자른 횡단면적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유량
②
윤반
③
유적
④
경심
정답 : ③ 유적 (2010년1회)
88.
계류의 유속과 흐름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둑이나 계안으로부터 돌출하여 설치하는 것은?
①
바닥막이
②
구곡막이
③
기슭막이
④
수제
정답 : ④ 수제 (2015년3회)
89.
황폐계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유량이 강우에 의해 급격히 증감한다.
②
토사생산구역, 토사유과구역, 토사퇴적구역 으로 구분된다.
③
호우가 끝나면 유량은 격감되고 모래와 자갈의 유송은 완전히 중지된다.
④
유로연장이 비교적 길고 하상 기울기가 완만하다.
정답 : ④ 유로연장이 비교적 길고 하상 기울기가 완만하다. (2016년3회)
90.
선떼붙이기공작물에 있어서 선떼 2매와 1매의 갓떼 또는 바닥떼를 사용하는 것은 몇 급인가?
①
4급
②
6급
③
7급
④
5급
정답 : ② 6급 (2010년1회)
91.
집수구역이 넓고 경사가 급한 산비탈에 주로 적용하는 배수로 공법은?
①
떼 수로공
②
과식 수로공
③
막논돌 수로공
④
돌붙임 수로공
정답 : ④ 돌붙임 수로공 (2015년3회)
92.
산지계류의 곡선부에 설치하는 사방댐의 제체방향은 유심선과 어느 각도를 이루도록 계획하는 것이 안정한가?
①
60도
②
180도
③
90도
④
45도
정답 : ③ 90도 (2012년2회)
93.
흐르는 물에 의한 침식이 아닌 것은?
①
구곡침식
②
누구침식
③
우격침식
④
면상침식
정답 : ③ 우격침식 (2010년3회)
94.
유수의 교란성에 의한 상향하는 속도성분에 의하여 유로단면상에서 운반되는 토사로 옳은 것은?
①
도동사
②
전동사
③
소류사
④
부유사
정답 : ④ 부유사 (2014년3회)
95.
해안사방지의 조림용 수종이 구비해야할 조건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양분과 수분에 대한 요구가 많을 것
②
바람에 대한 저항력이 클 것
③
온도의 급격한 변화에도 잘 견디어 낼 것
④
조풍(潮風)의 피해에도 잘 견디어 낼 것
정답 : ① 양분과 수분에 대한 요구가 많을 것 (2012년2회)
96.
일반적인 모래막이 공작물의 형상이 아닌 것은?
①
침상형
②
주걱형
③
위형
④
자루형
정답 : ① 침상형 (2011년1회)
97.
비탈면 끝을 흐르는 계천의 가로침식에 의하여 무너지는 침식현상은?
①
산붕
②
붕락
③
산사태
④
포락
정답 : ④ 포락 (2017년1회)
98.
휴양활동에서 발생되는 답압은 임지에 피해를 준다. 답압으로 인한 임지피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답압은 휴양활동이 많은 곳에서 많이 발생한다.
②
답압된 토양 속으로는 물이 침투가 어려워 유거수가 증가하여 표면침식이 증가한다.
③
답압을 통해 많은 공극이 제거되고 토양입자가 서로 완화되어 토양유실의 원인이 된다
④
답압이 지속되면 토야의 낙엽층이 손실된다.
정답 : ③ 답압을 통해 많은 공극이 제거되고 토양입자가 서로 완화되어 토양유실의 원인이 된다 (2014년3회)
99.
과거 우리나라 산림황폐의 요인 중 관계가 먼 것은?
①
이조시대부터 6․25사변 등 사회적 혼란기에 자형된 도남벌
②
산지사방의 실패
③
낙엽채취의 계속
④
산림병충해 및 산불피해
정답 : ② 산지사방의 실패 (2010년1회)
100.
다음 중 산지사방 기초공사에 해당하는 것은?
①
누구막이
②
기슭막이
③
바닥막이
④
사방댐
정답 : ① 누구막이 (2015년3회)
산림기사 필기 기출문제를 비롯하여 더 많은 국가기술자격증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는 문제풀이닷컴 홈페이지(https://quz.co.kr/)에서 이용가능합니다.
'산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년 1회 산림기사 필기 기출문제 (0) | 2019.07.05 |
---|---|
2017년 3회 산림기사 필기 기출문제 (0) | 2019.07.04 |
2017년 2회 산림기사 필기 기출문제 (0) | 2019.07.03 |
2017년 1회 산림기사 필기 기출문제 (0) | 2019.07.02 |
산림기사 필기 기출문제 (2010년 2회) (0) | 2017.08.28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