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기사 문제풀이'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7.10.01 산림기사 필기 기출문제 - 오늘의 문제풀이 (20171001)
  2. 2017.08.28 산림기사 필기 기출문제 (2010년 2회)

오늘의 기출문제 모의고사는 산림기사 필기 입니다.

문제풀이닷컴에 입력되어 있는 기출문제 자료들를 활용하여 산림기사 필기 자격증 기출문제를 랜덤(무작위)하게 뽑아내었습니다.

각 문제 하단에   버튼을 클릭하면 정답 및 해당문제의 출제년도 및 회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타 및 오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알려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채점 및 결과 확인 기능은 블로그에서는 어려우니 홈페이지(https://quz.co.kr/)에서 문제풀이를 이용하시면 확인가능합니다.

 

산림기사 필기 시험과목은 " 조림학, 산림보호학, 임업경영학, 임도공학, 사방공학 " 총 5 과목으로 되어 있으며 과목당 40점이상,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아래 링크에서는 2017년 1회 산림기사 기출문제 문제풀이 및 랜덤문제풀이를 직접 해볼수 있습니다.

 

 

산림기사 필기

 

조림학

1.
묘목 식재시에 시비할 경우 본당 질소성분에 의한 시비 기준량(g/본)이 가장 낮은 수종은?
낙엽송
잣나무
사시나무
소나무
정답 : ④ 소나무 (2010년1회)
2.
수목의 목부 중 수액이동 조직이 아닌 것은?
수(pith)
가도관(tracheid)
도관(vessel)
세포막공(pit)
정답 : ① 수(pith) (2015년3회)
3.
토양생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식물의 뿌리는 토양구조 발달을 억제한다.
토양 균류는 종자 파종되어 생장중인 임목의 뿌리를 감염시켜 여러 가지 병원균으로부터 뿌리의 보호기능을 할 수 없도록 한다.
대부분 토양동물은 공간적인 조건이나 광조건이 양호한 낙엽층이나 부식층에 서식한다.
방사상균은 산성토양에 저항력이 높다.
정답 : ③ 대부분 토양동물은 공간적인 조건이나 광조건이 양호한 낙엽층이나 부식층에 서식한다. (2012년2회)
4.
목본식물 내 존재하는 지질(lipid)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저항성을 증진한다.
보호층을 조성한다.
세포액의 삼투압을 증가시킨다.
세포의 구성성분이다.
정답 : ③ 세포액의 삼투압을 증가시킨다. (2016년3회)
5.
소나무의 개화에서 종자 성숙까지는 얼마나 걸리는가?
개화 후 3개월에 성숙한다.
개화 후 4개월에 성숙한다.
개화 후 그 해의 가을에 성숙한다.
개화 후 다음해 가을에 성숙한다.
정답 : ④ 개화 후 다음해 가을에 성숙한다. (2010년1회)
6.
조림지의 풀베기 작업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하고 있는 것은?
둘레베기는 소요 노동력을 크게 증가시킨다.
낙엽송 조림지의 풀베기 작업은 식재 후 3~4년간 계속하는 것이 보통이다.
호두나무를 소식한 조림지는 모두베기를 하여 임지하부를 깨끗이 정리한다.
줄베기 작업은 묘목을 식재한 줄과 줄사이에 자라는 풀과 잡목 및 관목을 제거하는 작업이다.
정답 : ② 낙엽송 조림지의 풀베기 작업은 식재 후 3~4년간 계속하는 것이 보통이다. (2012년1회)
7.
산성 토양에 가장 잘 적응할 수 있는 수종은?
Alnus japonica
Catalpa ovata
Larix kaempferi
Acer negundo
정답 : ③ Larix kaempferi (2016년3회)
8.
다음 수종 중에서 산성 토양에 상대적으로 잘 적응 할 수 있는 수종은?
네군도단풍나무
개오동나무
오리나무
소나무
정답 : ④ 소나무 (2010년3회)
9.
식재 밀도에 따른 수목 생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식재 밀도가 낮으면 경쟁이 완화되어 단목의 생활력이 약해진다.
식재 밀도가 높으면 초살형으로 자란다.
식재 밀도는 수고생장보다 직경생장에 더 큰 영향을 끼친다
식재 밀도가 높을수록 단목재적이 빨리 증가 된다.
정답 : ③ 식재 밀도는 수고생장보다 직경생장에 더 큰 영향을 끼친다 (2017년1회)
10.
점토가 미사나 모래의 함량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식토의 특성을 잘못 설명한 것은?
식토는 사토에 비하여 보습력이 높다.
식토는 일반적으로 사토보다 식물의 뿌리발달에 좋다.
식토는 일반적으로 사토에 비하여 양이온치환용량(C.E.C)이 높다.
토양수분함량이 낮아질 때 식토는 거북등처럼 갈라지나 사토는 그렇지 않다.
정답 : ② 식토는 일반적으로 사토보다 식물의 뿌리발달에 좋다. (2011년3회)
11.
파종 후 발아 과정에서 해가림이 필요한 수종은?
아까시나무
물푸레나무
가문비나무
느티나무
정답 : ③ 가문비나무 (2016년3회)
12.
Moller의 향속림 사상의 강조 내용으로 옳은 것은?
정해진 윤벌기에 군상목택벌을 원칙으로 한다.
갱신은 인공갱신을 원칙으로 한다.
개벌을 금하고 해마다 간벌형식의 벌채를 반복한다.
벌채목의 선정은 산벌작업의 선정기준에 준해서 한다.
정답 : ③ 개벌을 금하고 해마다 간벌형식의 벌채를 반복한다. (2014년3회)
13.
간이 산림토양조사에 의하여 적수를 선정할 때 사용하지 않는 인자는?
토성
토심
지형
토색
정답 : ④ 토색 (2011년2회)
14.
개화결실 주기성이 가장 짧은 수종은?
낙엽송
소나무
구주소나무
전나무
정답 : ② 소나무 (2012년2회)
15.
다음 그림 중 사선을 친 부분은 나무가 벌채된 것이다. 이러한 갱신 벌채를 받았다면 이 임분에 대해서 어떠한 삼림작업법이 적용되고 있는가?

 


중림작업(하목개벌)
모수작업
산벌작업(하종벌)
보잔목작업
정답 : ③ 산벌작업(하종벌) (2012년2회)
16.
묘포에서 실생묘 양성을 위하여 일반 품질의 소나무 종자를 파종할때 1㎡당 파종량의 범위는?
5~10g
20~30g
40~50g
10~15g
정답 : ② 20~30g (2011년3회)
17.
다음 중 수목의 광합성과 관련한 설명으로 바르게 기술하고 있는 것은?
수목 한 개체 내에서 양엽이나 음엽에 상관없이 광보상점이나 광포화점이 동일하다.
우리나라에 자라는 대부분의 활엽수는 c-4식물군에 속한다.
엽록체 내에서 광에너지를 이용한 광반응이 일어나는 곳은 스트로마(stroma)이다.
수목은 동일 개체에서도 내음성이 수령이나 생육조건등에 따라서 변화를 보일 수 있다.
정답 : ④ 수목은 동일 개체에서도 내음성이 수령이나 생육조건등에 따라서 변화를 보일 수 있다. (2012년2회)
18.
2-1로 표시된 묘목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2년생 실생묘
3년생 삽목묘
3년생 이식묘
3년생 접목묘
정답 : ③ 3년생 이식묘 (2015년3회)
19.
풀베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묘목을 심은 뒤 1~2년 동안에만 실시한다.
소나무는 다른 수종보다 늦게 실시한다.
한해나 풍해가 우려되는 조림지는 둘레베기를 하는 것이 좋다.
잡초가 다 자란 9월 이후에 실시한다.
정답 : ③ 한해나 풍해가 우려되는 조림지는 둘레베기를 하는 것이 좋다. (2015년3회)
20.
묘목양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발육이 완전하고 조직이 충실하며 측아의 발달이 잘 되어 있는 것이 우량묘의 조건이다.
용기묘 양성은 양묘비용이 많이 들지 않고 틀별한 양묘 기술이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밤나무에 흔히 적용하는 접목법은 복접이다.
모식물의 가지를 휘어지게 하여 땅속에 묻어 고정하고 발근하게 하는 방법은 압조법 또는 복조법이라 한다.
정답 : ④ 모식물의 가지를 휘어지게 하여 땅속에 묻어 고정하고 발근하게 하는 방법은 압조법 또는 복조법이라 한다. (2010년2회)

산림보호학

21.
우리나라 산림에 피해를 주는 산림병해충 중 외래침입병 해충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아까시잎혹파리, 솔잎혹파리, 소나무재선충병
미국흰불나방, 버즘나무방패벌레, 밤나무혹벌
잣나무넓적잎벌, 솔수염하늘소, 솔잎혹파리
버즘나무방패벌레, 솔나방, 솔껍질깍지벌레
정답 : ① 아까시잎혹파리, 솔잎혹파리, 소나무재선충병 (2012년2회)
22.
잣나무 털녹병균이 기주교대를 하는 식물은 무엇인가?
매발톱
참나무류
애기똥풀
송이풀
정답 : ④ 송이풀 (2011년2회)
23.
다음의 병해 중 바람이 많이 부는 산림지역에서 피해가 급히 늘어나는 것은?
소나무 혹병
뿌리혹병(根頭癌腫病)
느티나무 갈색무늬병
낙엽송 가지끝마름병
정답 : ④ 낙엽송 가지끝마름병 (2011년2회)
24.
씹는 입틀을 가진 해충류의 방제에 주로 사용되는 살충제는?
소화중독제
기피제
훈증제
제충제
정답 : ① 소화중독제 (2011년3회)
25.
산불의 발생형태 중 비화(spot fire)하기 쉽고, 한번 일어나면 진화가 힘들어 큰 손실을 가져오는 것은?
수관화(樹冠火)
지표화(地表火)
수간화(樹幹火)
지중화(地中火)
정답 : ① 수관화(樹冠火) (2011년1회)
26.
묘포에 발생하는 모잘록병에 대하여 잘못 설명한 것은?
일반적으로 2~3년생 묘목보다는 당년생묘목에서 발생이 많다.
주로 토양이 습한 경우에 발생하므로 배수관리를 철저히 하면 예방에 도움이 된다.
병원균이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관여하여 병을 일으킨다.
질소비료를 사용하여 묘목의 초기생장을 빠르게 하면 발병을 줄일 수 있다.
정답 : ④ 질소비료를 사용하여 묘목의 초기생장을 빠르게 하면 발병을 줄일 수 있다. (2010년3회)
27.
흰가루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물푸레나무, 밤나무 등에 발병한다.
자낭균으로 자낭구를 형성한다.
식물 잎에 밀가루를 뿌려 놓은 것처럼 흰색의 균사가 자라서 덮는 것이다.
무성으로 분생포자를 많이 만들어 내는 완전사물기생균이다.
정답 : ④ 무성으로 분생포자를 많이 만들어 내는 완전사물기생균이다. (2015년3회)
28.
천적에 대한 피해가 가장 적은 살충제는?
접촉제
훈증제
소화 중독제
침투성 살충제
정답 : ④ 침투성 살충제 (2011년3회)
29.
다음 중 밤나무 종실을 가해하는 해충은?
복숭아심식나방
복숭아명나방
백송애기잎말이나방
솔알락명나방
정답 : ② 복숭아명나방 (2012년2회)
30.
밤나무혹벌의 월동형태는?
번데기
유충
성충
정답 : ③ 유충 (2012년1회)
31.
산불이 발생한 지역에서 많이 발생한 것으로 예측되 는 병은?
자줏빛날개무늬병
모잘록병
리지나뿌리썩음병
아밀라리아뿌리썩음병
정답 : ③ 리지나뿌리썩음병 (2014년3회)
32.
임연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임연부는 먹이 부족으로 고라니나 노루의 서식환경으로서는 부적당하다.
임연부에는 야생조류의 먹이가 많아 야생조류가 많이 서식할 수 있다.
임연부의 무성한 관목은 둥지를 만들기 쉽고 천적에게도 발견되기 어려운 이점이 있다.
산림과 초지, 침엽수림과 활엽수림 등 다른 환경유형이 인접하는 곳을 말한다.
정답 : ① 임연부는 먹이 부족으로 고라니나 노루의 서식환경으로서는 부적당하다. (2010년2회)
33.
다음 중 파이토플라스마에 의한 병이 아닌 것은?
뽕나무 오갈병
오동나무 빗자루병
대추나무 빗자루병
벚나무 빗자루병
정답 : ④ 벚나무 빗자루병 (2010년1회)
34.
잎을 주로 식해하는 해충이 아닌 것은?
오리나무잎벌레
솔나방
미국흰불나방
솔잎혹파리
정답 : ④ 솔잎혹파리 (2010년3회)
35.
다음 중 염풍(鹽風)에 강한 수종이 아닌 것은?
향나무
배나무
돈나무
자귀나무
정답 : ② 배나무 (2012년2회)
36.
야생동물의 서식에 필수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계절
먹이
은신처
정답 : ① 계절 (2010년2회)
37.
해충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솔나방은 소나무를 주로 가해하지만 활엽수도 가해하는 잡식성 해충에 속한다.
솔잎혹파리는 충영을 형성하는 해충이나 밤나무 순혹벌은 충영을 만들지 않는다.
소나무재선충을 매개하는 곤충은 솔수염하늘소, 울도하늘소 등이 알려져 있다.
미국흰불나방은 1958년에 침입한 해충으로, 잎을 가해한다.
정답 : ④ 미국흰불나방은 1958년에 침입한 해충으로, 잎을 가해한다. (2011년3회)
38.
아까시잎혹파리의 월동형태로 옳은 것은?
번데기
유충
성충
정답 : ① 번데기 (2014년3회)
39.
도토리거위벌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유충으로 월동한다.
우화한 성충은 도토리에 주둥이를 꽂고 흡즙 가해한다.
산란하는 곳은 어린 가지의 수피이다.
도토리가 달린 가지를 주둥이로 잘라 땅에 떨어뜨린다.
정답 : ③ 산란하는 곳은 어린 가지의 수피이다. (2017년1회)
40.
잣송이를 가해하여 수확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해충이며, 구과속의 가해부위에 벌레똥을 채워 놓고 외부로도 똥을 배출하여 구과표면에 붙여 놓으며 신초에도 피해를 주는 해충은?
솔알락명나방
솔수염하늘소
솔박각시나방
소나무좀
정답 : ① 솔알락명나방 (2012년2회)

임업경영학

41.
치유의 숲에 설치하는 시설이 아닌 것은?
위생시설
산림치유시설
편익시설
체육시설
정답 : ④ 체육시설 (2015년3회)
42.
산림교육의 활성화에 관한 법률에 의한 산림교육전문가가 아닌 것은?
숲해설가    
자연환경해설사
유아숲지도사
숲길체험지도사
정답 : ② 자연환경해설사 (2015년3회)
43.
임목의 평균생장량이 최대가 될 때를 벌기령으로 정한 것은?
토지순수익 최대의 벌기령
재적수확 최대의 벌기령
산림순수익 최대의 벌기령
화폐수익 최대의 벌기령
정답 : ② 재적수확 최대의 벌기령 (2014년3회)
44.
자연휴양림의 시설배치 방식은 어느 것인가?
이동 방식과 고정 방식
체류 방식과 경유 방식
내륙 형식과 산간 오지형식
집중화 방식과 분산화 방식
정답 : ④ 집중화 방식과 분산화 방식 (2010년1회)
45.
산림환경자원으로서 야생동물의 서식밀도는 어떻게 표시하는가?
100ha 당의 마리 수 (여름철)
200ha 당의 마리 수 (여름철)
10ha 당의 마리 수 (여름철)
300ha 당의 마리 수 (여름철)
정답 : ① 100ha 당의 마리 수 (여름철) (2010년2회)
46.
휴양자원의 이용량과 그 영향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휴양자원이 받는 영향은 이용초기에는 적지만 이용량이 많아질수록 그 영향의 정도가 커진다.
휴양자원이 받는 영향은 이용초기에는 크지만 이용량이 많아져도 그 영향의 정도가 커진다.
휴양자원이 받는 영향은 이용초기에는 적지만 이용량이 많아져도 그 영향의 정도가 더욱 적어진다.
휴양자원이 받는 영향은 이용초기에는 크지만 이용량이 많아질수록 그 영향의 정도가 적어진다.
정답 : ④ 휴양자원이 받는 영향은 이용초기에는 크지만 이용량이 많아질수록 그 영향의 정도가 적어진다. (2011년2회)
47.
산림휴양림의 경관 관리 방법으로 경관 연출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다양성
보도의 액센트
차단공간 조성
계절감
정답 : ② 보도의 액센트 (2015년3회)
48.
어떤 입지는 육림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목축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때 임지를 육림용으로 사용할 경우 목축용으로 사용할 때 얻을 수 있는 수익을 포기하는 것을 의미하는 원가는?
변동원가
기회원가
한계원가
증분원가
정답 : ② 기회원가 (2017년1회)
49.
산림을 국유림, 공유림, 사유림의 3가지로 구분 할 때 공유림의 경영목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공공복지 증진
재산유지 및 묘지확보
사유림 경영의 시범
지방재정 수입의 확보
정답 : ② 재산유지 및 묘지확보 (2012년1회)
50.
수간석해(樹幹析解)를 통해 총 재적을 구할 때 합산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지조재적
결정간재적
초단부재적
근주재적
정답 : ① 지조재적 (2012년1회)
51.
흉고높이에서 생장추를 이용하여 반경 1cm내의 연륜수 5를 얻었다. 흉고직경이 32cm, 상수 k = 500일때 슈나이더(schneider)식을 이용하여 재적 생장율을 계산하면?
2.5%
3.6%
4.0%
3.1%
정답 : ④ 3.1% (2011년1회)
52.
임업소득의 계산방법 중에서 자본에 귀속하는 소득을 계산하면? (단, 임업소득은 10,000,000원, 지대는 1,000,000원, 가족노임추정액은 5,000,000원, 자본이자는 50,000원이다.)
3,500,000원
4,000,000원
4,500,000원
10,500,000원
정답 : ② 4,000,000원 (2011년1회)
53.
법정축적법의 일종인 kameraltaxe 법에 의하여 수확조정을 하고자 할 때 표준연벌채량의 계산인자가 아닌 것은?
경리기외 편입기간
갱정기
현실축적
법정축적
정답 : ① 경리기외 편입기간 (2011년2회)
54.
Huber식을 이용하여 중앙직경이 10cm, 재장이 20m인 통나무의 재적(㎥)은?
1.5700
0.7850
0.1570
0.0785
정답 : ③ 0.1570 (2016년3회)
55.
임업경영의 형태 중 개벌경영을 해체하고 모든 자본과 노동을 통합하여 공동화하는 협업경영 체계에서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불충분한 시장조사로 인한 실패
가장 낮은 수준으로 노동 평준화
필요 이상의 과잉 투자로 인한 수익성 저하
불필요한 신기술 개발로 인한 자본 낭비
정답 : ④ 불필요한 신기술 개발로 인한 자본 낭비 (2015년3회)
56.
수간석해를 할 때 반경은 보통 몇 년 단위로 측정 하는가?
5년
3년
2년
10년
정답 : ① 5년 (2010년2회)
57.
휴양림의 화장실 최소 이용객수가 800명, 최대 이용객수가 800명, 이용률이 1/80, 그리고 단위면적이 3.3m²일 경우에 호장실의 소요 공간규모는?
330m²
50m²
270m²
130m²
정답 : ① 330m² (2012년1회)
58.
재적수확 최대의 벌기령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연년생장량
정기생장량
정기평균생장량
총평균생장량
정답 : ④ 총평균생장량 (2011년3회)
59.
어느 법정림의 춘계축적이 1000㎥, 추계축적이 1200㎥라 할 때 이 산림의 법정축적은 몇 ㎥인가?
2200
1200     
1000     
1100     
정답 : ④ 1100      (2010년1회)
60.
수확표의 내용과 관련이 없는 것은?
재적
지리등급
지위등급
평균수고
정답 : ② 지리등급 (2017년1회)

임도공학

61.
다음 중 사면붕괴 및 사면침식 등 비탈면의 유지관리를위한 표면유수 유입방지용 배수시설은?
맹거
종배수구
산마루 측구
횡배수구
정답 : ③ 산마루 측구 (2012년1회)
62.
임도망 계획을 위한 주요조사 항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계획노선을 이용하게 될 이용구역을 결정한다.
이용구역과 관련된 지역에서 생산되는 임산물의 상황을 조사한다.
계획노선에 대해서는 노선선정에 관련된 임도구분, 노선명, 나비 등을 조사한다.
이용구역 내의 산림에 대해서는 자연환경보전의 조건에 대해서 조사한다.
정답 : ② 이용구역과 관련된 지역에서 생산되는 임산물의 상황을 조사한다. (2011년3회)
63.
사리도의 유지보수 내용으로 바람지하지 못한 것은?
방진처리는 물, 염화칼슘, 폐유, 타르, 아스팔트 유제등이 사용된다.
횡단물매를 10~15%정도로 하여 노면배수가 양호하도록 한다.
갓길이나 노측이 높아져 배수가 불량할 경우 그레이더로 정형하고 롤러로 다진다.
노면의 정지는 가능한한 비가 온 후 습윤한 상태에서 실시한다.
정답 : ② 횡단물매를 10~15%정도로 하여 노면배수가 양호하도록 한다. (2010년3회)
64.
임도의 설계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평면도는 축척 1/1200으로 한다.
평면도에는 임시기표, 교각점, 측점번호, 사유토지의 경계, 구조물의 위치 및 규격 등을 기입한다.
횡단기입의 순서는 좌측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한다.
횡단면도의 축척은 1/1000로 한다.
정답 : ④ 횡단면도의 축척은 1/1000로 한다. (2012년1회)
65.
그림과 같은 도형의 재적을 절고법으로 구한 값은?

 


0.936㎥
0.836㎥
0.636㎥
0.736㎥
정답 : ③ 0.636㎥ (2010년1회)
66.
집재가선을 설치할 때 본줄을 설치하기 위한 집재기 쪽의 지주를 무엇이라 하는가?
받침기둥
머리기둥
안내기둥
꼬리기둥
정답 : ② 머리기둥 (2017년1회)
67.
임도 내 교량에 적용되는 종단기울기는?
(단, 특별한 장소 제외)
2% 미만
6% 미만
적용하지 아니한다. 
4% 미만
정답 : ③ 적용하지 아니한다.  (2015년3회)
68.
실제 지상의 두 점간 거리가 100m인 지점이 지도상에서 4mm로 나타났다면 이 지도의 축척은?
1/2500
1/50000
1/25000
1/1000
정답 : ③ 1/25000 (2017년1회)
69.
일반지형에서 설계속도가 30km/시간 일 때 임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소곡선반지름의 기준은?
30m
15m
60m
40m
정답 : ① 30m (2010년1회)
70.
중경목을 벌도하려고 할 때 중경목의 추구요령이 잘 표현된 그림은 어느 것인가?
정답 : ④ (2011년2회)
71.
수확한 임목을 공장에서 하지 않고 임내에서 박피(剝皮)하는 이유와 거리가 먼 것은?
신속한 건조
운재작업의 용이
병충해 피해방지
고성능 기계화로 생산원가의 절감
정답 : ④ 고성능 기계화로 생산원가의 절감 (2011년1회)
72.
임도 설계서 작성에 필요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목차
타당성 평가표
특별시방서
토적표
정답 : ② 타당성 평가표 (2017년1회)
73.
토목공사용 굴착기의 앞부속장치로 옳지 않은것은?
drag shovel
crane
pile driver
clam lines
정답 : ④ clam lines (2015년3회)
74.
임도교량 작업 시 주재료인 콘크리트의 물 함량을 아주 높게 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하려고 할 때 어떠한 문제점이 발생하는가?
배합이 골고루 되지 않는다.
시멘트 량이 줄어든다.
작업비가 높아진다.
콘크리트 강도가 낮아진다.
정답 : ④ 콘크리트 강도가 낮아진다. (2011년2회)
75.
배수 구조물의 크기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가장 적게 미치는 요인은?
집수구역의 지형 및 식생구조
확률강우에 의한 최대 시우량
구조물의 재질
집수구역의 면적
정답 : ③ 구조물의 재질 (2016년3회)
76.
흙의 기본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공극비는 흙입자의 용적에 대한 공극의 용적비이다.
공극률은 흙덩이 전체의 용적에 대한 간극의 용적비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무기질의 흙덩이는 고체(흙입자). 액체(물), 기체(공기)의 세 가지 성분으로 구성된다.
포화도는 흙입자의 중량에 대한 수분의 중량비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정답 : ④ 포화도는 흙입자의 중량에 대한 수분의 중량비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2015년3회)
77.
양각기계획법을 이용하여 1/25,000의 지형도에서 임도의 종단물매 5%의 노선을 긋고자 할 때, 지형도 상에서의 양각기 1폭(수평거리)은 얼마인가? (단, 등고선의 고저차는 10m이다.)
9mm
8mm
6mm
7mm
정답 : ② 8mm (2011년1회)
78.
측구(콘크리트관)에 흐르는 물의 유적이 0.35㎡이고, 측구를 흐르는 물의 평균 유속이 4m/sdlfEo 유량을 구하면?
2.8 ㎥/s
3.5 ㎥/s
2.0 ㎥/s
1.4 ㎥/s
정답 : ④ 1.4 ㎥/s (2010년2회)
79.
다음 그림과 조건을 이용하여 계산한 측선CA의 방위각은?
• 내각 ∠A= 62°15′27″
• 내각 ∠B= 54°37′49″
• 내각 ∠C= 63°06′53″
• 측선 AB의 방위각= 27°35′15″

 


269°50′42″
89°50′42″
89°50′39″
269°50′39″
정답 : ④ 269°50′39″ (2017년1회)
80.
다음 중 연암 또는 단단한 지반의 굴착에 적당한 산림토목 공사용 기계는?
머캐덤롤러(macadam roller)
리퍼불도저(ripper bulldozer)
모터그레이더(Motor grader)
로더(loader)
정답 : ② 리퍼불도저(ripper bulldozer) (2011년2회)

사방공학

81.
산복사방에서 산비탈흙막이 중 콘크리트벽 흙막이의 시공시 원칙적으로 높이는 몇 m 이하인가?
1m
3m
4m
6m
정답 : ③ 4m (2010년2회)
82.
낙석방지망덮기 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와이어로프의 간격은 가로와 세로 모두 4 ∼ 5m로 한다.
철망, 합성섬유망 등을 사용하여 비탈면에서 낙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합성섬유망은 100kg 이내의 돌을 대상으로 한다.
철망눈의 크기는 5mm 정도이다.
정답 : ④ 철망눈의 크기는 5mm 정도이다. (2016년3회)
83.
불투과형 중력식 사방댐의 형태인 흙댐의 시공요령으로 내심벽을 만들 때 사용하는 것은?
자갈
점토
모래
호박돌
정답 : ② 점토 (2015년3회)
84.
야계 현황을 조사한 결과 조도계수는 0.05, 통수단면적이 3㎡, 윤변이 1.5m, 수로 물매가 2% 일 때 Manning의 평균유속공식을 이용하여 유량을 계산하면 약 몇 ㎥/s인가?
4.49
0.49
1.35
13.47
정답 : ④ 13.47 (2011년2회)
85.
폐광지, 채석장 등의 훼손지를 처리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콘크리트를 살포 후 도색한다.
훼손지 주변을 나지로 변하게 한다.
속성수로서 차폐식재를 한다.
훼손지를 경제림으로 조성한다.
정답 : ③ 속성수로서 차폐식재를 한다. (2011년3회)
86.
계상에서 침식을 일으키지 않는 경우의 최대유속은?
수면유속
야계유속
임계유속
하상유속
정답 : ③ 임계유속 (2010년1회)
87.
개수로에서 물의 흐름을 직각으로 자른 횡단면적을 무엇이라 하는가?
유량
윤반
유적
경심
정답 : ③ 유적 (2010년1회)
88.
계류의 유속과 흐름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둑이나 계안으로부터 돌출하여 설치하는 것은?
바닥막이
구곡막이
기슭막이
수제
정답 : ④ 수제 (2015년3회)
89.
황폐계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유량이 강우에 의해 급격히 증감한다.
토사생산구역, 토사유과구역, 토사퇴적구역 으로 구분된다.
호우가 끝나면 유량은 격감되고 모래와 자갈의 유송은 완전히 중지된다.
유로연장이 비교적 길고 하상 기울기가 완만하다.
정답 : ④ 유로연장이 비교적 길고 하상 기울기가 완만하다. (2016년3회)
90.
선떼붙이기공작물에 있어서 선떼 2매와 1매의 갓떼 또는 바닥떼를 사용하는 것은 몇 급인가?
4급
6급
7급
5급
정답 : ② 6급 (2010년1회)
91.
집수구역이 넓고 경사가 급한 산비탈에 주로 적용하는 배수로 공법은?
떼 수로공 
과식 수로공
막논돌 수로공
돌붙임 수로공
정답 : ④ 돌붙임 수로공 (2015년3회)
92.
산지계류의 곡선부에 설치하는 사방댐의 제체방향은 유심선과 어느 각도를 이루도록 계획하는 것이 안정한가?
60도
180도
90도
45도
정답 : ③ 90도 (2012년2회)
93.
흐르는 물에 의한 침식이 아닌 것은?
구곡침식
누구침식
우격침식
면상침식
정답 : ③ 우격침식 (2010년3회)
94.
유수의 교란성에 의한 상향하는 속도성분에 의하여 유로단면상에서 운반되는 토사로 옳은 것은?
도동사
전동사
소류사
부유사
정답 : ④ 부유사 (2014년3회)
95.
해안사방지의 조림용 수종이 구비해야할 조건과 거리가 먼 것은?
양분과 수분에 대한 요구가 많을 것
바람에 대한 저항력이 클 것
온도의 급격한 변화에도 잘 견디어 낼 것
조풍(潮風)의 피해에도 잘 견디어 낼 것
정답 : ① 양분과 수분에 대한 요구가 많을 것 (2012년2회)
96.
일반적인 모래막이 공작물의 형상이 아닌 것은?
침상형
주걱형
위형
자루형
정답 : ① 침상형 (2011년1회)
97.
비탈면 끝을 흐르는 계천의 가로침식에 의하여 무너지는 침식현상은?
산붕
붕락
산사태
포락
정답 : ④ 포락 (2017년1회)
98.
휴양활동에서 발생되는 답압은 임지에 피해를 준다. 답압으로 인한 임지피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답압은 휴양활동이 많은 곳에서 많이 발생한다.
답압된 토양 속으로는 물이 침투가 어려워 유거수가 증가하여 표면침식이 증가한다.
답압을 통해 많은 공극이 제거되고 토양입자가 서로 완화되어 토양유실의 원인이 된다
답압이 지속되면 토야의 낙엽층이 손실된다.
정답 : ③ 답압을 통해 많은 공극이 제거되고 토양입자가 서로 완화되어 토양유실의 원인이 된다 (2014년3회)
99.
과거 우리나라 산림황폐의 요인 중 관계가 먼 것은?
이조시대부터 6․25사변 등 사회적 혼란기에 자형된 도남벌
산지사방의 실패
낙엽채취의 계속
산림병충해 및 산불피해
정답 : ② 산지사방의 실패 (2010년1회)
100.
다음 중 산지사방 기초공사에 해당하는 것은?
누구막이
기슭막이
바닥막이
사방댐
정답 : ① 누구막이 (2015년3회)

 

산림기사 필기 기출문제를 비롯하여 더 많은 국가기술자격증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는 문제풀이닷컴 홈페이지(https://quz.co.kr/)에서 이용가능합니다.

  

 

Posted by 문제풀이닷컴

댓글을 달아 주세요

2010년 2회 시행한 산림기사 필기 기출문제 입니다.

오타 및 오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알려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산림기사 필기 시험과목은 " 조림학, 산림보호학, 임업경영학, 임도공학, 사방공학 " 총 5 과목으로 되어 있으며 과목당 40점이상,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아래 링크에서는 2017년 1회 산림기사 기출문제 문제풀이 및 랜덤문제풀이를 직접 해볼수 있습니다.

 

 

2010년 2회 시행한 산림기사 필기

조림학
1.
제벌의 실행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침입목이 맹아력이 강한 활엽수라면 맹아에 대한 대비책을 강구해야 한다.
소나무와 낙엽송 조림지에서는 식재 후 20~30년 이 제벌 실행의 적절한 시기이다.
일반적으로 수관 간의 결정이 시작되고 조림목의 생육이 저해된다고 판단될 때 실시한다.
제벌의 시기는 나무의 고가상태를 알고 맹아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여름철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정답 : ② 소나무와 낙엽송 조림지에서는 식재 후 20~30년 이 제벌 실행의 적절한 시기이다.
2.
건조에 의하여 생활력을 쉽게 잃게 되는 수종의 종자 저장에 적합한 보습저장은?
상온저장법
저온저장법
노천매장법
기건밀봉법
정답 : ③ 노천매장법
3.
동령림의 밀도 지수는 "C=H/D"와 같이 간단한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C의 의미는 무엇인가? (단, 여기서 H는 수고, D는 흉고직경을 나타낸다.)
정밀도
세장도
생육영역
수관밀도
정답 : ② 세장도
4.
천연림보육에 대한 생태적 설명으로 틀린 것은?
하층임분은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그대로 두는 것이 좋다.
 생육공간을 적당히 조절하며 적정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간벌과 가지치기를 시행한다.
나무의 세력이 너무 왕성한 것은 제거하여 그 세력을 줄이고 미래목에 대한 영향이 없도록 한다.
미래목은 장차 미래에 효용가치가 높은 임목을 선정하되 실생묘보다 맹아목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선정하는 것이 좋다.
정답 : ④ 미래목은 장차 미래에 효용가치가 높은 임목을 선정하되 실생묘보다 맹아목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선정하는 것이 좋다.
5.
묘목 간의 거리를 2m로 정방형 식재를 할 때 1ha당 소요 묘목본수는?
1000본
2500본
3500본
5000본
정답 : ② 2500본
6.
그림과 같은 구성을 보이는 동령임분에서 빗금친 부분을 간벌하였다면 어떠한 간벌방식이 적용된 것인가?

 

하층 간벌
상층 간벌
택벌식 간벌
기계적 간벌
정답 : ④ 기계적 간벌
7.
소나무 임지를 교호대상개벌작업에 의해 갱신하려고 한다. 이때 일반적으로 가장 적당한 대폭은?
모수 수고의 약 0.5배 이하
모수 수고의 약 ½~4배
모수 수고의 약 5~6배
모수 수고의 약 8~9배
정답 : ② 모수 수고의 약 ½~4배
8.
열매의 종류를 구분함에 있어 자귀나무, 아카시나무, 주엽나무, 박태기나무의 열매는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하는가?
협과
견과
장과
영과
정답 : ① 협과
9.
묘 포지를 경운(밭갈이) 작업할 때 나타나는 효과로 맞는 것은?
토양내 산소량이 감소한다.
토양의 보수력을 감소시킨다.
토양의 풍화작용을 촉진시킨다.
토양내 탄산가스량은 영향이 없다
정답 : ③ 토양의 풍화작용을 촉진시킨다.
10.
산림이나 묘포장 토양의 토양산도에 대하여 바르게 기술하고 있는 것은?
pH 4.0~4.7인 토양은 망간, 알루미늄이 다량 용해되어 나무의 생육에 이롭다.
pH 6.6~7.3인 토양에서는 미생물의 활동이 왕성하고 양료의 이용이 높으며, 부식의 형성이 쉽게 진전된다.
묘포토양으로서는 pH 6.5 이상이 되어야 좋다.
pH 7.4~8.0의 토양 산도는 침엽수종의 생육에 유리하다.
정답 : ② pH 6.6~7.3인 토양에서는 미생물의 활동이 왕성하고 양료의 이용이 높으며, 부식의 형성이 쉽게 진전된다.
11.
다음 중 나무의 결실주기가 가장 긴 것은?
자작나무류
전나무
낙엽송
오리나무류
정답 : ③ 낙엽송
12.
한 군집의 식생조사시 일정 면적에 있어서 어떤 종의 식물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로 계산하여 양적인 특성을 표시하는 척도가 되는 것은?
혼생도
피도
층화도
산재도
정답 : ② 피도
13.
산림생태계의 순환과정에서 질소의 손실을 가져오는 것은?
균류
낙엽
산불
질산화작용
정답 : ③ 산불
14.
원생림이 파괴된 뒤에 회복된 산림을 무엇이라 하는가?
1차
2차
3차
복차림
정답 : ② 2차
15.
어미나무 작업법으로 갱신할 때 어미나무로 잔존시키는 양은 원래의 임목 재적의 몇 %로 하는가?
10%
30%
40%
60%
정답 : ① 10%
16.
가지치기의 효과가 아닌 것은?
가지를 연료로 이용한다.
초살도가 큰 줄기를 생산한다.
산불시 수관화를 경감시킨다.
수광량을 증가시켜 하층목의 발생을 촉진한다.
정답 : ② 초살도가 큰 줄기를 생산한다.
17.
엽분석으로 수목의 영양상태를 진단하기에 가장 적당한 시기는?
10%
30%
40%
60%
정답 : ③ 40%
18.
묘목양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밤나무에 흔히 적용하는 접목법은 복접이다.
 용기묘 양성은 양묘비용이 많이 들지 않고 특별한 양묘 기술이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발육이 완전하고 조직이 충실하며 측아의 발달이 잘 되어 있는 것이 우량묘의 조건이다.
모식물의 가지를 휘어지게 하여 땅속에 묻어 고정하고 발근하게 하는 방법은 압조법 또는 복조법이라 한다.
정답 : ④ 모식물의 가지를 휘어지게 하여 땅속에 묻어 고정하고 발근하게 하는 방법은 압조법 또는 복조법이라 한다.
19.
100㎡의 면적의 파종상에 참나무 종자를 파종하여 ㎡ 당 100본의 묘목을 남기려고 한다. 이 때 필요한 파종량(L)은? (단, 참나무 종자의 1L 당 평균 종자 입수는 1000립, 종자의 순량률은 0.5, 종자발아율은 0.5, 그리고 묘목잔존율은 0.5로 한다.)
20L
40L
60L
80L
정답 : ④ 80L
20.
다음 중 엽록소의 구성에 관계되는 것은?

인산
칼륨
마그네슘
정답 : ④ 마그네슘
산림보호학
21.
다음 나무병 중 세균에 의한 병은?
뽕나무 오갈병
벚나무 뿌리혹병
소나무 잎떨림병
포플러 모자이크병
정답 : ② 벚나무 뿌리혹병
22.
한해 방제법으로 틀린 것은?
묘포에 있어서는 해가림을 하여 준다.
묘포지에서 경운과 파종을 평년보다 늦게 한다.
임내의 지피물을 보존시켜 토양의 건조를 완화시킨다.
관수는 일몰 전 또는 일몰 후에 토양 전체에 균일하게 스며들 정도까지 충분히 한다.
정답 : ② 묘포지에서 경운과 파종을 평년보다 늦게 한다.
23.
소나무류, 잣나무류, 낙엽송 등 침엽수림에 많이 발생하며, 임지내의 모닥불자리 또는 산불발생지에서 많이 발생하는 수병은?
자주빛날개무늬병
리지나뿌리썩음병
뿌리혹선충병
침엽수 근주심재부후병
정답 : ② 리지나뿌리썩음병
24.
야생동물의 서식에 필수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계절
먹이
은신처
정답 : ② 계절
25.
연소물의 열량이 50㎈/g, 연소물의 양이 20ton/㏊, 산불의 연소진행속도가 15m/min일 때 산불의 강도(㎾/m)는 얼마인가?

 

100
105
110
115
정답 : ② 105
26.
호두나무잎벌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년 2회 발생하며 알로 월동한다.
년 2회 발생하며 유충으로 월동한다.
년 1회 발생하며 성충으로 월동한다.
년 1회 발생하며 유충으로 월동한다.
정답 : ③ 년 1회 발생하며 성충으로 월동한다.
27.
어린잎이나 신엽에 피해가 심하며, 알루미늄 전해공장이나 인산질 비료공장에서 방출되어 피해를 주는 것은?
오존
HF가스
아황산가스
염소 및 그 화합물
정답 : ② HF가스
28.
솔잎혹파리, 솔껍질깍지벌레 등 주요 산림해충의 수간주사에 사용되는 살충제는?
포스파미돈 액제
트리클로르폰액제
디플루벤주론 수화제
페니트로티온 수화제
정답 : ① 포스파미돈 액제
29.
잣나무 털녹병균이 잣나무에서 만드는 포자는 어느 것인가?
녹포자
담자포자
여름포자
겨울포자
정답 : ① 녹포자
30.
대부분의 나무병은 다음 중 어느 병원체에 의하여 발생하는가?
바이러스
곰팡이(진균)
박테리아(세균)
파이토플라스마
정답 : ② 곰팡이(진균)
31.
소나무재선충을 매개하는 솔수염하늘소의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년 1회 발생한다.
목질부속에서 3령 유충으로 월동한다.
성충의 우화시기는 5월 하순~8월 초순이다.
유충이 소나무류의 수피 및 형성층과 목질부를 식해한다.
정답 : ② 목질부속에서 3령 유충으로 월동한다.
32.
대추나무 빗자루병의 설명으로 옳은 내용은?
대표적인 병징은 잎의 황화이다.
병원은 Agrobacterium tumefaciens이다.
마름무늬매미충(Hishimonus sellatus)에 의하여 병원체가 매개된다.
병징이 나타난 부위의 외과적 수술로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정답 : ③ 마름무늬매미충(Hishimonus sellatus)에 의하여 병원체가 매개된다.
33.
임연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임연부는 먹이 부족으로 고라니나 노루의 서식 환경으로서는 부적당하다.
산림과 초지, 침엽수림과 활엽수림 등 다른 환경유형이 인접하는 곳을 말한다.
임연부에는 야생조류의 먹이가 많아 야생조류가 많이 서식할 수 있다.
임연부의 무성한 관목은 둥지를 만들기 쉽고 천적에게도 발견되기 어려운 이점이 있다.
정답 : ① 임연부는 먹이 부족으로 고라니나 노루의 서식 환경으로서는 부적당하다.
34.
다음 중 파이토플라즈마에 의한 수병은?
감나무 시들음병
벚나무 빗자루병
낙엽송 잎떨림병
대추나무 빗자루병
정답 : ④ 대추나무 빗자루병
35.
다음 중 해충의 임업적 방제법으로 볼 수 있는 것은?
임목보육
진동 이용
방사선 이용
훈증제 사용
정답 : ① 임목보육
36.
식엽성 해충이 아닌 것은?
대벌레
미국흰불나방
박쥐나방
참나무재주나방
정답 : ③ 박쥐나방
37.
참나무 시들음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매개충은 광릉긴나무좀이다.
피해목의 변재부가 변색된다.
피해목은 초가을에 모든 잎이 낙엽된다.
매개추의 암컷등판에는 곰팡이를 넣는 균낭이 있다.
정답 : ③ 피해목은 초가을에 모든 잎이 낙엽된다.
38.
파이토플라스마에 의한 나무병의 방제 약제는?
스트렙토마이신
엑티디이온 BR
가스가마이신
옥시테트라싸이클린
정답 : ④ 옥시테트라싸이클린
39.
잣송이를 가해하여 잣 수확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해충이며, 구과속의 가해부위에 벌레똥을 채워놓고 외부로도 똥을 배출하여 구과표면에 붙여 놓으며 신초에도 피해를 주는 해충은?
복숭아명나방
솔박각시나방
솔수염하늘소
솔알락명나방
정답 : ④ 솔알락명나방
40.
7월 하순 이후 산책을 하다 보면 참나무류 열매인 도토리가 달린 가지가 땅에 많이 떨어져 있는데 이것은 어떤 해충의 피해인가?
밤바구미
왕거위벌레
도토리바구미
도토리거위벌레
정답 : ④ 도토리거위벌레
임업경영학
41.
산림환경자원으로서 야생동물의 서식밀도는 어떻게 표시하는가?
10㏊ 당의 마리 수(여름철)
100㏊ 당의 마리 수(여름철)
200㏊ 당의 마리 수(여름철)
300㏊ 당의 마리 수(여름철)
정답 : ② 100㏊ 당의 마리 수(여름철)
42.
다음 중 지황조사의 항목이 아닌 것은?
기후
지세
입목도
지위
정답 : ③ 입목도
43.
수간석해를 할 때 반경은 보통 몇 년 단위로 측정하는가?
2년
3년
5년
10년
정답 : ③ 5년
44.
휴양관리에 있어 시설적 수용력에 중요시되는 영향인자가 아닌 것은?
단위면적당 사람 수
방문객/관리요원의 비율
야영장을 이용하는 사람 수
주차장을 이용하는 사람 수
정답 : ① 단위면적당 사람 수
45.
법정림에 있어서 윤벌기가 50년인 경우, 법정년벌율(법정수확율)은 몇 %인가?
2%
3%
4%
5%
정답 : ③ 4%
46.
다음 설명 중에서 야외 휴양관리에 있어서 환경 해설의 역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양질의 휴양경험과 만족을 얻게 한다.
휴양 제공기관의 정책결정에 영향을 준다.
이용객 관리에 대한 방향설정에 지침이 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에 의해 다시 방문할 필요가 없도록 한다.
정답 : ④ 상세한 설명에 의해 다시 방문할 필요가 없도록 한다.
47.
제지회사가 펄프원료를 공급하기 위하여 경영하는 산림의 경영형태는?
주업적 임업경영
부차적 임업경영
종속적 임업경영
비종속적 임업경영
정답 : ③ 종속적 임업경영
48.
임지기망가가 최대값의 도달하는 시기의 계산식은 인자에 따라 크기에 영향을 주는데 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이율이 낮을수록 빨리 나타난다.
간벌수익이 클수록 빨리 나타난다.
채취비가 적을수록 빨리 나타난다.
주벌수익의 증대속도가 빨리 감퇴할수록 빨리 나타난다.
정답 : ① 이율이 낮을수록 빨리 나타난다.
49.
임목재적을 측정할 때 직경의 측정위치에 따른 분류에서 비교원주의 직경을 수고의 1/n 되는 곳의 직경과 같게 하여 정한 형수를 무엇잉라고 하는가?
정형수
수간형수
절대형수
흉고형수
정답 : ① 정형수
50.
산림에서 임목을 벌채하면 야생동물의 먹이로서 초류생산은 증가하지만 자연경관의 가치는 감소하는데 이러한 2가지 생산물의 생산관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결합생산
경합생산
보완생산
보합생산
정답 : ② 경합생산
51.
자연휴양림의 수림공간유형 중에서 수림피도가 50% 전후이면서 산림의 생산적 기능의 유지와 동시에 레크리에이션의 기능에 걸맞는 관리체계를 확립해야 하는 수림형태는?
정원형
밀생림형
소생림형
산개림형
정답 : ③ 소생림형
52.
현재년에서 벌채 예정년까지의 임목기망가식은?
주벌 및 간벌수확 전가합계 - 지대 및 관리비 후가합계
주벌 및 간벌수확 전가합계 - 지대 및 관리비 전가합계
주벌 및 간벌수확 후가합계 - 지대 및 관리비 후가합계
주벌 및 간벌수확 후가합계 - 지대 및 관리비 전가합계
정답 : ② 주벌 및 간벌수확 전가합계 - 지대 및 관리비 전가합계
53.
수익 · 비용율법(benefit/cost ratio)을 투자의 의사 결정 방법으로 사용할 때 투자 가치가 있는 사업으로 평가되는 것은? (단, B는 수익이고 C는 비용이다.)
B/C율 > 0
B/C율 < 0
B/C율 > 1
B/C율 < 1
정답 : ③ B/C율 > 1
54.
야외 휴양 서비스 및 관리에 있어 보통 관리자의 책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제공된 서비으싀 질 혹은 목적이 얼마나 달성되었는가와 관련된 프로그램상의 책임
관리요원들의 사회적 복리 증진의 만족에 대한 책임
적절한 예산 편성을 통해 충분한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금액이 투입되었는가에 대한 회계상의 책임
올바르고 합당한 과정에 의해 서비스가 제공되었는지와 관련된 과정상의 책임
정답 : ② 관리요원들의 사회적 복리 증진의 만족에 대한 책임
55.
다음 그림과 같은 4가지 형태의 산림의 구조 중 여러 계층의 임목이 골고루 이상적인 구성을 하고 있어서 보속생산이 가능한 산림구조는?

 

A형 산림구조
B형 산림구조
C형 산림구조
D형 산림구조
정답 : ④ D형 산림구조
56.
임업이율은 보통 이율보다 낮게 평정되고 있다. 그 이유로서 타당치 않은 것은?
산림투자의 위험성
산림 소유의 안전성
임료 수입의 유동성
산림의 관리경영의 간편성
정답 : ② 산림 소유의 안전성
57.
산림경영계획의 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국가적 또는 지역적인 관점에서의 종합적인 계획에 근간을 두고 잇다.
산림청장은 지역산림계획은 5년 단위로 공표하거나 상황에 따라 수정한다.
국유림을 경영·관리하는 긴관은 산림청-국유림관리소-지방산림청 순서체계로 구성된다.
산림기본계획은 지역산림계획에 따라 특별시장, 광역시장, 도지사 및 산림청장이 수립한다.
정답 : ① 국가적 또는 지역적인 관점에서의 종합적인 계획에 근간을 두고 잇다.
58.
어떤 임지는 육림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목축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때 임지를 육림용으로 사용하려면 목축용으로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수익을 포기해야 하는데 이 때 발생하는 원가를 무엇이라 하는가?
매목원가(sunk costs)
한계원가(margianl costs)
증분원가(incremental costs)
기회원가(opportunity costs)
정답 : ④ 기회원가(opportunity costs)
59.
취득원가 3000만원, 잔존가액 100만원인 목재운반용 트럭이 있다. 이 트럭의 총운행가능거리가 10만 ㎞이고 실제 운행거리가 4만 ㎞이면, 생산량 비례법에 의한 총감가상각액은?
10,600,000원
11,600,000원
12,600,000원
13,600,000원
정답 : ② 11,600,000원
60.
기계톱을 100만 원에 구입하여 내용 년수를 10년으로 하고, 폐기가가 20만 원일 때, 정액법에 의한 년간 감가상각비는 얼마인가?
15만 원
10만 원
8만 원
5만 원
정답 : ③ 8만 원
임도공학
61.
임도의 밀도가 높을수록 산지의 개발 또한 높아진다. 임도 밀도를 산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해석적 방법과 경험적 방법이 있는데 해석적 방법의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어느 것인가?
예정노선의 노선도를 작성하지 않고 순수하게 계산만으로 이론적최적임도 밀도를 산출하는 것
예정 개설 노선의 노선도를 작성하고 계산과 이론으로 최적임도를 산출하는 것
몇 개의 예정노선을 계획하고 이익과 비용에 의해 비교 판단하는 것
몇 개의 예정노선을 계획 작성하고 임지마다 최적의 노선배치에 의한 최적 임도를 선정하는 것
정답 : ① 예정노선의 노선도를 작성하지 않고 순수하게 계산만으로 이론적최적임도 밀도를 산출하는 것
62.
컴퍼스 측량시에 일차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오전 9시경이 최대이고, 오후 2시경이 최소이다.
오전 9시경이 최소이고, 오후 2시경이 최대이다 .
오전 11시경이 평균이고, 오후 2시경이 최소이다.
오전 11시경이 평균이고, 오후 2시경이 최대이다.
정답 : ④ 오전 11시경이 평균이고, 오후 2시경이 최대이다.
63.
산림관련 규정에서 간선임도의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길어깨는 차도의 양측에 설치한다.
길어깨의 너비는 50㎝~1m의 범위로 한다.
배향곡선은 중심선 반지름이 10m 이상으로 설치한다.
임도의 유효너비는 길어깨 및 옆도랑의 너비를 합친 3m를 기준으로 한다.
정답 : ④ 임도의 유효너비는 길어깨 및 옆도랑의 너비를 합친 3m를 기준으로 한다.
64.
아래 그림에서 각 불도저의 번호와 명칭이 바르게 나열된 것은?

 

①스트레이트도저 ②앵글도저 ③버킷도저 ④레이크도저
①버킷도저 ②앵글도저 ③스트레이트도저 ④레이크도저
①스트레이트도저 ②버킷도저 ③트리도저 ④레이크도저
①스트레이트도저 ②앵글도저 ③트리도저 ④레이크도저
정답 : ④ ①스트레이트도저 ②앵글도저 ③트리도저 ④레이크도저
65.
임도 구조와 구성요소에 대한 상호 관련내용이 맞도록 짝지어 있지 않은 것은?
시거 - 노체길
어깨 - 횡단선형
최급 물매 - 종단선형
최소 곡선 반지름 - 평면선형
정답 : ① 시거 - 노체길
66.
임도시공현장에서의 안전사고 대책으로 가장 부적당한 것은?
시공기계 기종이 선정되면 사용 전 후에 여러가지 안전대책을 강구할 것
노무자에게 작업목적과 시공상의 문제점에 대하여 충분히 숙지시킬 섟
기계화시공에는 여러 가지 재해가 발생할 위험이 있으므로 안전대책을 마련할 것
작업방의 정리정돈은 작업의 편위를 위하여 작업상태 그대로 둘 것
정답 : ④ 작업방의 정리정돈은 작업의 편위를 위하여 작업상태 그대로 둘 것
67.
임도노선의 곡선설정시 사용되는 방법 중 해당되지 않는 것은?
산출법
진출법
교각법
편각법
정답 : ① 산출법
68.
막깬돌이나 잡석을 쌓을 때 정해진 접촉부를 만들지 않고 쌓기 때문에 작은 외력에도 돌이 빠지거나 변형되기 쉬운 것은?
꼬치쌓기
이마대기
새입붙이기
참쌓기
정답 : ③ 새입붙이기
69.
임업토목시공 작업에서 넓은 장소의 적재용으로 적합한 기계는?
백호우(backhoe)
불 도우저(bull dozer)
트리 도우저(tree dozer)
모터 그레이더(motor grader)
정답 : ① 백호우(backhoe)
70.
임도 절개지 처리공사시나 양반으로 된 급경사 비탈면을 시멘트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 뿜어붙이기 공법으로 처리할 경우 한냉지방에 가장 알맞은 시공 두께는?
1~2㎝
5~6㎝
8~9㎝
10㎝ 이상
정답 : ④ 10㎝ 이상
71.
다음 중 비탈녹화 공법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비탈선떼붙이기 공법
떼단쌓기 공법
분사식 파종 공법
비탈격자틀붙이기 공법
정답 : ④ 비탈격자틀붙이기 공법
72.
측구(콘크리트관)에 흐르는 물의 유적이 0.35㎡이고, 측구를 흐르는 물의 평균 유속이 4m/s일 때 유량을 구하면?
1.4㎡/s
2.0㎡/s
2.8㎡/s
3.5㎡/s
정답 : ① 1.4㎡/s
73.
일반적으로 흙쌓기는 시공후 시일이 경과하면 수축하여 용적이 감소되고 시공면이 침하한다. 그러므로 더쌓기(extra banking)을 해야 하는데 그 양은 일반적으로 흙쌓기 높으이 몇% 정도로 해야 하는가?
1%
3%
10%
20%
정답 : ③ 10%
74.
등고선의 성질을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등고선은 도면내나외에서 폐합하는 폐곡선이다.
등고선은 분수선과 항상 평행이다.
동등한 경사의 지표에서 양등고선의 수평 거리는 서로 같다.
동일등고선상에 있는 모든 점은 같은 높이이다.
정답 : ② 등고선은 분수선과 항상 평행이다.
75.
벌근 지름이 60㎝인 입목을 벌도하고자 한다. 수구의 깊이는 몇 ㎝ 정도가 가장 적당한가?
4~12㎝
12~20㎝
20~28㎝
28~36㎝
정답 : ② 12~20㎝
76.
임도를 설계하고자 할 때 가장 먼저 실시해야 할 일은?
예측
답사
설계서 작성
예비조사
정답 : ④ 예비조사
77.
보통 모래는 흙 입자 지름이 몇 ㎜의 범위인가?
0.005㎜ ~ 0.42㎜
0.075㎜ ~ 2㎜
0.42㎜ ~ 2㎜
2㎜ ~ 4㎜
정답 : ② 0.075㎜ ~ 2㎜
78.
노동재해의 원인을 인적요인, 물적요인으로 나눌 때 물적 요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보호장비의 불착용
작업방법의 부적당
기계장비의 밀집배치
기계장비의 안전장치 불완전
정답 : ② 작업방법의 부적당
79.
양단면의 면적이 각각 65㎡, 30㎡이고 중앙단면의 면적이 40㎡이며 끝단면부에서 중앙단면부까지의 높이가 20m일 때 체적을 각주공식으로 구하면?
560㎥
1130㎥
1700㎥
1950㎥
정답 : ③ 1700㎥
80.
컴퍼스측량에서 전시로 시준한 방위가 Nɑ° E일 때 후시로 시준한 역방위를 구하면?
Nɑ° S
Nɑ° W
Sɑ° E 
Sɑ° W 
정답 : ④ Sɑ° W 
사방공학
81.
댐 방수면의 세굴 방지를 위해 설치하는 물받이는 일반적으로 댐 높이와 월 유수심의 합의 몇 배로 하는 것이 좋은가?
0.5~1.0배
1.0~1.5배
1.5~2.0배
2.0~2.5배
정답 : ③ 1.5~2.0배
82.
다음 공작물 중 산복공사에 속하지 않는 것은?
산비탈흙막이
비탈다듬기
기슭막이
산비탈수로
정답 : ③ 기슭막이
83.
돌망태 댐의 특징이 아닌 것은?
돌망태의 유연성을 이용하여 조립 및 축설한다
기초의 세굴, 측압, 지반침하 등에 즉시 사용하여 변형하는 특성을 이용한다.
터파기는 굴착깊이 1m 정도가 좋으며, 높이는 3m 이하로 한다.
내구성이 매우 뛰어나므로 반영구적 공작물로 이용한다.
정답 : ④ 내구성이 매우 뛰어나므로 반영구적 공작물로 이용한다.
84.
사방댐에서 대수면이란?
댐의 천단부분
댐의 하류측 사면
댐의 상류측 사면
방수로 부분
정답 : ③ 댐의 상류측 사면
85.
흙댐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포화수선이 댐밑 외부에 있어야 하는데 심벽은 포화수선을 위로 올려준다.
유역면적이 비교적 좁고 유량과 유송토사가 적지만 계폭이 비교적 넓은 경우에 건설한다.
댐의 안전을 위해 심벽을 넣는데 심벽 재료로서 사질토나 점질토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흙댐 마루의 나비는 2~5m 정도로 한다.
정답 : ① 포화수선이 댐밑 외부에 있어야 하는데 심벽은 포화수선을 위로 올려준다.
86.
녹화용 식물생육에 필요한 토양의 상태를 잘못 설명한 것은?
부식질이 풍부할 것
투수성과 통기성이 양호할 것
토양 ㏗가 가능한 알카리성일 것
질소, 인산 및 칼리를 고루 포함할 것
정답 : ③ 토양 ㏗가 가능한 알카리성일 것
87.
특별한 규격에 맞게 깨낸 돌로서 산림토목의 축석에 사용되는 석재는?
견치돌
마름돌
호박돌
들돌
정답 : ① 견치돌
88.
아래의 그림과 같은 돌쌓기벽에서 A의 명칭은 무엇인가?

 

갓돌
뒷채움돌
모서리돌
굄돌
정답 : ① 갓돌
89.
사방댐의 설계요인을 틀리게 설명한 것은?
댐의 위치는 계상에 암반이 존재해야만 설치할 수 있다.
계획계상물매는 현 계상물매의 1/2~2/3 정도가 실용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단독의 높은 댐과 연속된 낮은 댐군의 선택은 그 지역의 토사생산의 특성과 시공 및 유지의 난이도를 충분히 검토하여 결정한다.
종·횡 침식이 일어나는 구간이 긴 구간에서는 원칙적으로 계단상 댐을 계획한다.
정답 : ① 댐의 위치는 계상에 암반이 존재해야만 설치할 수 있다.
90.
등산로 복구 및 정비지침과 거리가 먼 것은?
경사도에 따라 다양한 바닥시설을 한다.
통행량에 따라 등산로 폭을 다양하게 조성한다.
이용규제를 위하여 다양한 경계울타리를 설치한다.
자연발생적 등산로는 먼저 식생을 복원하고 지형을 복구한다.
정답 : ④ 자연발생적 등산로는 먼저 식생을 복원하고 지형을 복구한다.
91.
와이어로프에서 선접촉 방식의 평행꼬임 중 기본형이 아닌 것은?
시일형(S)
왁스형(WX)
필러형(Fi)
워링톤형(W)
정답 : ② 왁스형(WX)
92.
산복사방에서 산비탈흙막이 중 콘크리트벽 흙막이의 시공시 원칙적으로 높이는 몇 m 이하인가?
1m
3m
4m
6m
정답 : ③ 4m
93.
비탈돌쌓기공법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비탈면물매가 1:1보다 완만한 경우는 돌붙이기라 한다.
찰쌓기 공법에는 2~3㎡마다 물빼기 구멍을 설치한다.
돌쌓기의 물매는 일반적인 메쌓기의 경우 1:0.3이다.
돌쌓기는 일곱에움 이상 아홉에움 이하가 되도록 한다.
정답 : ④ 돌쌓기는 일곱에움 이상 아홉에움 이하가 되도록 한다.
94.
시우량법을 이용하여 최대홍수유량을 산정할 때, 임상이 좋은 산지유역의 유거계수는 일반적으로 얼마를 적용하는가?
0.35~0.45
0.45~0.65
0.65~0.85
0.85 이상
정답 : ① 0.35~0.45
95.
100마력짜리 엔진을 ㎾ 단위로 나타내면 약 몇 ㎾인가?
50㎾
75㎾
100㎾
125㎾
정답 : ② 75㎾
96.
비탈면 붕괴의 발생 메커니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비탈면에 수림의 성립은 하중을 증가시켜 전수직응력이 커진다.
비탈면에 근계가 발달하며 점착력과 내부마찰각에 영향을 준다.
비탈면에서의 점착력과 내부마찰각은 표층의 종류 및 함수상태에 따라 다르다.
강우 등으로 토층과 하부의 경함 사이에 간극 수압이 발생하면 유효수직응력은 그만큼 증대된다.
정답 : ④ 강우 등으로 토층과 하부의 경함 사이에 간극 수압이 발생하면 유효수직응력은 그만큼 증대된다.
97.
목재파쇄기의 구입가격이 5000만원, 내용연수가 10년, 기계 폐기가격은 구입가격의 10%일 때 목재파쇄기의 연간 감가상각비는?
450만 원
500만 원
550만 원
600만 원
정답 : ① 450만 원
98.
와이어로프의 안전계수가 6이고 절단하중이 360㎏이라면 이 와이어로프의 최대 장력은?
60㎏
90㎏
120㎏
180㎏
정답 : ① 60㎏
99.
계간사방의 직접적인 목적이라 할 수 없는 것은?
붕괴지의 인공복구를 촉진
하류에의 토사유출을 억제
산각의 밑부분과 산기슭의 고정
계류의 바닥과 계안의 침식을 방지
정답 : ① 붕괴지의 인공복구를 촉진
100.
산복사방공사에서 현지조사시 실시해야 할 내용이 아닌 것은?
시공 여부 검토
지형 측량
적산조건의 조사
공법 및 공작물 검토
정답 : ② 지형 측량

 

 

산림기사 기출문제를 비롯하여 더 많은 국가기술자격증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는 문제풀이닷컴 홈페이지(https://quz.co.kr/)에서 이용가능합니다.

 

Posted by 문제풀이닷컴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