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도어에 사람의 끼임을 방지하는 장치가 아닌 것은?
①
광전 장치
②
세이프티 슈
③
도어 인터로크
④
초음파 장치
32.
정전으로 인하여 카가 층 중간에 정지될 경우 카를 안전하게 하강시키기 위하여 점검자가 주로 사용하는 밸브는?
①
하강용 유량제어 밸브
②
체크 밸브
③
릴리프 밸브
④
스톱 밸브
정답 : ① 하강용 유량제어 밸브 (2016년2회)
33.
기계실에는 바닥 면에서 몇 lx 이상을 비출 수 있는 영구적으로 설치된 전기 조명이 있어야 하는가?
34.
전기식엘리베이터의 기계실에 설치된 고정 도르래의 점검내용이 아닌 것은?
①
이상음 발생여부
②
도르래의 원활한 회전여부
③
로프 홈의 마모상태
④
브레이크 드럼 마모상태
정답 : ④ 브레이크 드럼 마모상태 (2016년4회)
35.
고장 및 정전 시 카 내의 승객을 구출하기 위해 카 천장에 설치된 비상구출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카 천장에 설치된 비상구출문은 카 내부 방향으로 열리지 않아야 한다.
②
비상구출구의 크기는 0.3m x 0.3m 이상이어야 한다.
③
카 내부에서는 열쇠를 사용하지 않으면 열 수 없는 구조이어야 한다.
④
카 천장에 설치된 비상구출문은 열쇠 등을 사용하지 않고 카 외부에서 간단한 조작으로 열 수 있어야 한다.
정답 : ② 비상구출구의 크기는 0.3m x 0.3m 이상이어야 한다. (2016년2회)
36.
유압식엘리베이터의 점검 시 플런저 부위에서 특히 유의하여 점검하여 야 할 사항은?
①
플런저의 승강행정 오차
②
플런저 표면조도 및 작동유 누설 여부
③
제어밸브에서의 누유상태
④
플런저의 토출량
정답 : ② 플런저 표면조도 및 작동유 누설 여부 (2016년4회)
37.
전기식 엘리베이터의 경우 기계실에서 검사하는 항목과 관계없는 것은?
①
권상기의 도르래
②
인터록장치
③
권상기의 브레이크 라이닝
④
전동기
38.
에스컬레이터의 스텝구동장치에 대한 점검사항이 아닌 것은?
①
구동체인의 늘어짐 상태
②
링크 및 핀의 마모상태
③
스프로켓의 이의 마모상태
④
핸드레일 가드 마모상태
정답 : ④ 핸드레일 가드 마모상태 (2016년4회)
39.
전기식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설치에서 패킹(보강재)이 설치된 경우는?
①
레일브래킷의 간격이 필요이상 한계를 초과하여 레일의 아편에 강재를 붙여서 보강하는 경우
②
가이드 레일 양 폭의 너비를 조정 작업할 경우
③
가이드 레일이 짧게 설치되어 보강할 경우
④
레일브래킷의 간격이 필요이상 한계를 초과하여 레일의 뒷면에 강재를 붙여서 보강하는 경우
정답 : ④ 레일브래킷의 간격이 필요이상 한계를 초과하여 레일의 뒷면에 강재를 붙여서 보강하는 경우 (2016년1회)
40.
피트 정지 스위치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점검자나 검사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작업 중 카의 움직임을 방지하여야 한다.
②
수동으로 조작되고 스위치가 열리면 전동기 및 브레이크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야 한다.
③
보수 점검 및 검사를 위해 피트 내부로 “정지”위치로 두어야 한다.
④
이 스위치가 작동하면 문이 반전하여 열리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정답 : ① 점검자나 검사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작업 중 카의 움직임을 방지하여야 한다. (2016년2회)
41.
로프의 미끄러짐 현상을 줄이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①
균형체인이나 균형로프를 설치한다.
②
가감속도를 완만하게 한다.
③
카 자중을 가볍게 한다.
④
권부각을 크게 한다.
정답 : ③ 카 자중을 가볍게 한다. (2016년2회)
42.
유압식 엘리베이터의 피트 내에서 점검을 실시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피트에 들어갈 때는 승강로 문을 닫을 것
②
피트 내 비상정지스위치를 작동 후 들어 갈 것
③
피트 내 조명을 점등한 후 들어갈 것
④
피트에 들어갈 때 기름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주의할 것
정답 : ① 피트에 들어갈 때는 승강로 문을 닫을 것 (2016년1회)
①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워크를 둘러싸고 있는 외부 측 부분
②
스텝, 팔레트 또는 벨트와 연결되는 난간의 수직 부분
③
전기안전장치로 구성된 전기적인 안전시스템의 부분
④
홈에 맞물리는 각 승강장의 갈래진 부분
정답 : ④ 홈에 맞물리는 각 승강장의 갈래진 부분 (2016년2회)
44.
고속 엘리베이터에 많이 사용되는 조속기는?
①
점차 작동형 조속기
②
디스크형 조속기
③
롤 세이프티형 조속기
④
플라이 볼형 조속기
정답 : ④ 플라이 볼형 조속기 (2016년1회)
①
볼트 및 너트의 이완 유무
②
소음의 유무
③
조속기 로프와 클립 체결상태 양호 유무
④
브러시 주변의 청소상태
정답 : ④ 브러시 주변의 청소상태 (2016년4회)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