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1회 시행한 자연생태복원기사 기출문제 입니다.

오타 및 오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알려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자연생태복원기사 시험과목은 " 환경생태학개론, 환경계획학, 생태복원공학, 경관생태학, 자연환경관계법규 " 총 5 과목으로 되어 있으며 과목당 40점이상,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아래 링크에서는 2018년 3회 자연생태복원기사 기출문제 문제풀이 및 랜덤문제풀이를 직접 해볼수 있습니다.

 

2018년 1회 시행한 자연생태복원기사

환경생태학개론
1.
툰드라(Tundra)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북쪽의 극지에 해당한다.
교란발생 시 회복에 오랜 기간이 걸린다.
봄과 여름이 오면 토양의 아래층은 그대로 영구 동토로 남아 있으나 표층은 해동된다.
건생식물이 우점한다.
정답 : ④ 건생식물이 우점한다.
2.
생물학적 영향을 미치는 금속류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경금속(light metals) - 나트륨, 칼륨, 칼슘 등 양이온으로 수중에 분포
전이금속(transition metals) - 나트륨, 칼륨, 칼슘 등 양이온으로 수중에 분포
전이금속(transition metals) - 철, 구리, 코발트, 망간 등 미량원소이나 고농도에서는 유독함
중금속(heavy metals or metalloids) - 수은, 납, 셀레늄, 비소 등 저농도에서도 유해함
정답 : ② 전이금속(transition metals) - 나트륨, 칼륨, 칼슘 등 양이온으로 수중에 분포
3.
빨판상어와 상어의 관계와 같이 다른 한쪽은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 경우를 가리키는 것은?
종간경쟁
편해공생
편리공생
상리공생
정답 : ③ 편리공생
4.
대기오염물질의 중요한 제한 요인 중 육상 생태계의 교란을 일으키는 원인이 아닌 것은?
빛의 조사량과 광도
생물들의 내성 한계
온도상승에 따른 기후변화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량의 변동
정답 : ② 생물들의 내성 한계
5.
수은(Hg)을 함유하는 폐수가 방류되어 오염된 바다에서 잡은 어패류를 섭취함으로서 발생하는 병은?
이따이이따이병
미나마타병
피부흑색병
골연화증
정답 : ② 미나마타병
6.
생물 생태계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신분으로서 생태계 기능상의 위치를 의마하는 것은?
niche
biotop
habitat
ecosystem
정답 : ① niche
7.
다음 중 추이대에 적합하지 않은 항목은?
구조가 다른 두 군집 사이의 전이지대이다.
어떠한 특성 공간을 점유하는 같은 종의 생물집단이다.
산림과 초원의 군집. 연질과 경질의 해저군집 등의 이행부에서 볼 수 있다.
접합지대 또는 긴장지대로서 상당한 넓이를 가지는 경우가 있다.
정답 : ② 어떠한 특성 공간을 점유하는 같은 종의 생물집단이다.
8.
한경 중 암석에 저장소를 가지며 생명의 DNA와 RNA에 주요 구성물질을 이루고 있는 것은?
질소
정답 : ① 인
9.
[보기]의 (     )에 들어갈 적합한 용어는?

[보기]
우리나라 3면의 바다 중 남해는 연중 계속해서 (     )의 영향을 받으며 서쪽의 중국대륙으로부터 유입되는 담수의 영향도 예상되는 해역이다.
연안류
대마난류
동한난류
북한한류
정답 : ② 대마난류
10.
두 개체군 상호간에 불이익을 초래하는 관계는?
기생
포식
편리공생
경쟁
정답 : ④ 경쟁
11.
호수 내 수생식물의 구성종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침수식물: 검정말, 붕어마름
정수식물: 부들, 골풀
소택관목식물: 버드나무, 굴참나무
부유식물: 개구리밥, 생이가래
정답 : ③ 소택관목식물: 버드나무, 굴참나무
12.
실내 오염물 중 유해한 물질 중의 하나이며,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방사성 가스로서 가공 석재물이 많은 지하철에서 많이 검출되는 것은?
황화수소
네온
아르곤
라돈
정답 : ④ 라돈
13.
갈매기가 비행할 때 기류의 에너지를 이용하는 경우처럼 생물이 외부환경에너지를 이용하는 것은?
에너지생산
에너지보조
에너지흐름
에너지배출
정답 : ② 에너지보조
14.
가이아 가설(Gaia pypothesis)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생물권은 화학적, 물리적 환경을 능동적으로 조절한다.
화산 폭발, 혜성의 충돌 또한 범지구적항상성 범주에 든다.
원시대기에서 이차대기(현재 대기)로의 변화는 생물적 산물이다.
생물권은 자동조절적(cybernetic) 또는 제어적인 계이다.
정답 : ② 화산 폭발, 혜성의 충돌 또한 범지구적항상성 범주에 든다.
15.
어떤 특정 시간에 특정 공간을 차지하는 같은 종류의 생물집단은?
생태군
개체군
우점군
분류군
정답 : ② 개체군
16.
개체군의 상호관계에 있어 상리공생이 아닌 것은?
게 - 강장동물
흰 개미 - 편모충
식물뿌리 - 균근
질소고정박테리아 - 콩과 식물
정답 : ① 게 - 강장동물
17.
연안지역을 육지화 시키는 간척(reclamation)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지역 활성화
농경지 또는 산업용지 확보
도로와 연안 교통망 개설 등 교통개선
간척지 개발에 의한 해양오염 감소
정답 : ④ 간척지 개발에 의한 해양오염 감소
18.
열역학 제 2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엔트로피 법칙이라고도 한다.
물질과 에너지는 하나의 방향으로만 변화한다.
질서 있는 것에서 무질서한 것으로 변화한다.
엔트로피가 증대한다는 것은 사용 가능한 에너지가 증가한다는 것을 뜻한다.
정답 : ④ 엔트로피가 증대한다는 것은 사용 가능한 에너지가 증가한다는 것을 뜻한다.
19.
리우환경선언과 관련하여 채택된 것이 아닌 것은?
기후변화협약
세계자연헌장
생물다양성협약
의제21(Agenda)
정답 : ② 세계자연헌장
20.
생태계의 생물군집은 주위의 무기적인 환경과 끊임없이 물질의 순환이 일어나고 있다. 대표적인 물질순환이 아닌 것은?
물순환
공기순환
탄소순환
질소순환
정답 : ② 공기순환
환경계획학
21.
환경의 특성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상호관련성: 환경문제는 상호 작용하는 여러 변수들에 의해 발생하므로 상호간에 인과관계가 성립되기 때문에 단편적이고 부분적인 방법으로 해결해야 한다.
시차성: 일본의 공해병으로 잘 알려진 이타이이타이병과 미나마타병은 짧은 기간동안 배출된 오염물질의 영향이 뒤늦게 표출된 것이다.
광역성: 고비사막에서 발원한 황사는 황하를 타고 중국 동남 연해까지 내려와 황해를 건너 한반도에 영향을 미친 뒤, 태평양 넘어 미국까지도 이동하게 된다.
탄력성과 비가역성: 자연자원은 풍부할수록 회복탄력성이 낮고, 파괴될수록 복원력(자정능력)도 떨어지게 된다.
정답 : ③ 광역성: 고비사막에서 발원한 황사는 황하를 타고 중국 동남 연해까지 내려와 황해를 건너 한반도에 영향을 미친 뒤, 태평양 넘어 미국까지도 이동하게 된다.
22.
국토의 난개발을 방지하고 개발과 보전의 조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토지의 토양, 입지, 활용가능성 등에 따라 토지의 보전 및 이용가능성에 대한 등급을 분류하여 토지용도 구분의 기초를 제공하는 제도는?
토지적성평가
토지환경성평가
토지이용계획
용도지역지구제
정답 : ① 토지적성평가
23.
자연형 하천조성을 위한 공간계획을 하려고 할 때 틀린 것은?
식생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기존의 동선을 최대한 활용한다.
이용정도에 따라 보존구역, 친수구역, 전이구역으로 공간을 구획한다.
시설물은 대상구역 내 다양성과 변화감이 조율될 수 있도록 선정한다.
하천식생은 묘목을 제외한 모든 수목은 사전에 뿌리돌림을 실시하도록 한다.
정답 : ③ 시설물은 대상구역 내 다양성과 변화감이 조율될 수 있도록 선정한다.
24.
생태 네트워크계획에서 고려할 사항으로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것은?
재해방지 및 미기상조절을 위한 녹지의 확보
생물의 생식, 생육공간이 되는 녹지의 생태적 기능향상
인간성 회복의 장이 되는 녹지확보
환경학습의 장으로서 녹지 활용
정답 : ① 재해방지 및 미기상조절을 위한 녹지의 확보
25.
환경계획이나 설계의 패러다임 중 자연과 인간의 조화, 유기적이고 체계적 접근, 상호 의존성, 직관적 통찰력 등을 특징으로 하는 패러다임은?
데카르트적 패러다임
전체론적 패러다임
직관적 패러다임
뉴어버니즘적 패러다임
정답 : ② 전체론적 패러다임
26.
OECD의 환경지표 설정을 위한 PSR구조에서 대응(response)에 해당하는 것은?
에너지, 운송, 제조업, 농업
행정, 기업, 국제사회
대기, 토양, 자연자원
학교, 민간단체, 군대
정답 : ② 행정, 기업, 국제사회
27.
도로, 댐, 수중보, 하구언 등으로 인하여 야생생물의 서식지가 단편화되거나 훼손 또는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야생생물의 이동을 돕기 위하여 설치하는 인공구조물, 식생 등의 생태적 공간을 가리키는 것은?
대체자연
생태통로
자연유보지역
완충지역
정답 : ② 생태통로
28.
생태도시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도시의 비오톱이 중요한 요소가 된다. 도시의 비오톱을 활용해 생태적인 도시계획을 실행하기 위한 지침으로 옳지 않은 것은?
동일한 토지이용이 오랫동안 지속되어진 공간은 우선적으로 보호한다.
서식지의 다양성을 유지한다.
자연보호에 있어서 도시전체의 동질성을 확보한다.
토지이용에 대한 밀도를 다양하게 한다.
정답 : ③ 자연보호에 있어서 도시전체의 동질성을 확보한다.
29.
계획은 사회의 보편적 가치를 토대로한 집합적 의사결정 시스템으로 존재하는 동시에 현실의 물제를 해결하는 기술적 해결책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에 기초해 논의되는 토지이용계획의 역할로 틀린 것은?
난개발의 방지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토지의 보전기능
세부 공간환경설계에 대한 지침 제시
토지이용현황의 적합성 판단과 규제 수단 제시
정답 : ④ 토지이용현황의 적합성 판단과 규제 수단 제시
30.
도시생태계를 설명한 것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도시생태계는 주로 자연시스템으로부터 인위적 시스템으로의 에너지 이전에 의해서 기능이 유지된다.
도시생태계는 사회-경제-자연의 결합으로 성립되는 복합생태계이다.
대도시들은 물질순환관계의 불균형으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대도시에서는 자연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대기, 토양, 공기, 물, 녹지 등이 오염되어 자정능력을 상실하고 있다.
정답 : ① 도시생태계는 주로 자연시스템으로부터 인위적 시스템으로의 에너지 이전에 의해서 기능이 유지된다.
31.
훼손된 자연을 회복시키고자 하는 세가지 단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복원(restoration)
복구(rehabilitation)
대치(replacement)
개발(development)
정답 : ④ 개발(development)
32.
환경수용능력의 산정기준이 아닌 것은?
환경자본
환경 이슈와 지표
환경용량 기준
환경적 개발방식
정답 : ④ 환경적 개발방식
33.
GIS로 파악이 가능한 자연환경정보의 내용이 아닌 것은?
대상지 규모
오염물질 종류
산림 및 산지
토지 피복/이용
정답 : ② 오염물질 종류
34.
환경문제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도시화
산업화
인구증가
주민참여 증대
정답 : ④ 주민참여 증대
35.
환경부에서 제작한 생태·자연도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한 전국 자연환경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매 10년마다 작성한다.
도면의 축척은 1/50000 이다.
생태·자연도 등급 변경신청을 받은 때에 변경신청에 정당한 사유가 있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신청을 받은 날로부터 90일 이내에 정밀조사를 실시한다.
평가항목의 경계는 실선과 격자를 병행하여 표시한다.
정답 : ② 도면의 축척은 1/50000 이다.
36.
옴부즈만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행정기관의 부작위, 불합리 제도에 의한 국민 권리를 구제한다.
행정기관의 부당한 처분은 업무의 효율을 위해 보안을 유지하는 등 비민주적으로 행정을 통제한다.
공개 운영 및 조사 등의 과정에서 행정 정보를 적극적으로 공개한다.
다른 기관에서 처리하여야 하는 민원 안내 및 고질적이고 반복적인 민원을 종결 할 수 있다.
정답 : ② 행정기관의 부당한 처분은 업무의 효율을 위해 보안을 유지하는 등 비민주적으로 행정을 통제한다.
37.
야생동물 이동통로 설계 시 중요하게 고려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야생동물 이동능력
주변의 기후·기상
이동통로에서 인간에 의한 간섭 여부
연결되어야 할 보호지역 사이의 거리
정답 : ② 주변의 기후·기상
38.
리모트 센싱(Remote sensing)을 이용한 경관특성 분석의 장점을 기술한 것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일정지역의 서로 다른 경관유형의 파악이 가능하다.
산림경관에서 수목의 활력도, 수관 및 잎의 변화 등을 파악하는데 용이하다.
분광특성을 통해 경관 구조를 정량적으로 파악하는데 용이하다.
지하수위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시해 줄 수 있다.
정답 : ④ 지하수위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시해 줄 수 있다.
39.
생물지역계획의 실행 방향에 있어 분절된 토지를 연계해 에너지의 흐름과 동·식물의 이동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계획은?
건축계획적 기법
경관생태학적 방법
경관미학적 계획
도시설계적 기법
정답 : ② 경관생태학적 방법
40.
도시 및 단지 차원의 환경계획이 아닌 것은?
생태 네트워크 계획
생태마을과 퍼머컬처
생태건축
지속가능도시
정답 : ③ 생태건축
생태복원공학
41.
서식처의 창출과 같이 새롭게 서식처를 조성해주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자연적 형성
서식처 구조형성
설계자로서의 서식처
경제적 서식처
정답 : ④ 경제적 서식처
42.
하천의 보전 및 복원 방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호안을 고정시키는 개수공사가 되어 치수의 안정성을 확보해야한다.
하천의 구조와 기능을 고려한 종적 및 횡적구조가 복원되어야 한다.
서식처를 연결하는 생태공학적인 복원이 되어야 한다.
자연친화적인 공법으로 하천이 복원되어야 한다.
정답 : ① 호안을 고정시키는 개수공사가 되어 치수의 안정성을 확보해야한다.
43.
물질 및 에너지 순환계통으로 옳은 것은?
무기물→생산자→유기물→소비자→유기물→분해자
유기물→생산자→무기물→소비자→유기물→분해자
무기물→생산자→무기물→소비자→유기물→분해자
유기물→생산자→유기물→소비자→유기물→분해자
정답 : ① 무기물→생산자→유기물→소비자→유기물→분해자
44.
생태복원 목표종 선정 시 영양단계의 최상위에 속하는 대형 포유류 및 맹금류와 같이 넓은 서식면적을 필요로 하지만, 지키면 많은 종의 생존이 확보된다고 생각되는 종은?
희소종
중추종
우산종
깃대종
정답 : ③ 우산종
45.
일반적으로 인산이 토양 중에 과다하게 있을 경우 식물에 결핍되기 쉬운 성분은?
마그네슘
아연
칼륨
정답 : ③ 아연
46.
인간에 의해서 교란되지 않은 자연림과 초원의 토양 단면 중 유기물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유기물층의 바로 아래에는 집적층이 있다.
유기물층은 유기물의 분해 정도에 따라 L층(낙엽층), F층(부휴층), H층(부식층)으로 구분된다.
유기물층은 점토, 철, 알루미늄 등의 물질이 집적되는 곳이다.
토양화 진전이 없고, 암석의 풍화가 적은 파쇄 물질의 층이다.
정답 : ② 유기물층은 유기물의 분해 정도에 따라 L층(낙엽층), F층(부휴층), H층(부식층)으로 구분된다.
47.
채석지 등과 같은 사면복원 및 녹화를 위한 잔벽처리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

 

사면 경사는 60˚를 넘지 않도록 한다.
사면 길이는 10m 이상으로 한다.
계단 폭은 2m 이상으로 한다.
채석장은 채석이 종료된 직후에 복구녹화공사가 곧바로 착공 되어야 한다.
정답 : ② 사면 길이는 10m 이상으로 한다.
48.
조성되는 위치에 따른 대체습지의 구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On-Site 방식은 개발사업의 범위 내에 대체습지를 조성하는 방법이다.
On-Site 방식은 접근 지역에 습지를 조성 시 유출수나 지하수의 수질저하를 가져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Off-Site 방식은 유역관리에 있어서 구체적인 계획과 조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다.
Off-Site 방식은 개발사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만 통상적으로 유역범위 밖에 조성하도록 하고 있다.
정답 : ④ Off-Site 방식은 개발사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만 통상적으로 유역범위 밖에 조성하도록 하고 있다.
49.
생태네트워크 계획의 과정에서 보전, 복원, 창출해야 할 서식지 및 분단장소를 설정하는 과정은?
조사
분석·평가
실행
계획
정답 : ② 분석·평가
50.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분석 방법은?

생물의 종, 식생, 생태계 등의 실제 분포와 그것이 보호되고 있는 상황과의 괴리를 도출하여 보호계획에 도입하기 위한 방법
GAP 분석
시나리오 분석
서식처 적합성 분석
영역성 분석
정답 : ① GAP 분석
51.
행동권(home range) 분석을 위한 GPS 시스템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데이터의 신뢰성이 높다.
장비의 가격이 중·고가이다.
24시간 추적이 불가능하다.
배터리의 크기 및 성능에 따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③ 24시간 추적이 불가능하다.
52.
생태복원용 돌 재료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조약돌은 가공하지 않은 자연석으로서 지름 10~20cm 정도의 계란형 돌이다.
호박돌은 하천에서 채집되어 지름 50~70cm로 가공한 호박형 돌이다.
야면석은 표면을 가공한 천연석으로서 운반이 가능한 비교적 큰 석괴이다.
견치석은 전면, 접촉면, 후면들을 구형에 가깝게 규격화한 돌이다.
정답 : ① 조약돌은 가공하지 않은 자연석으로서 지름 10~20cm 정도의 계란형 돌이다.
53.
생태적 복원공법유형의 기본개념이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Naturalization - 인위적인 관리를 통한 자연적인 천이를 유도함
Colonization – 산림의 종자원(seedsource)이 가능한 곳에서 가지치기, 솎아주기, 기타 교란 등을 중지하는 방법
Natural Regeneration – 나지 형태로 조성한 후 향후 식물이 자연스럽게 이입하여 극상림으로 발달해 갈 수 있도록 유도함
Nucleation – 수종을 패치 형태로 식재하는 방법으로, 핵심종이 자리 잡고, natural Regeneration이 가속화되게 하는 방법
정답 : ④ Nucleation – 수종을 패치 형태로 식재하는 방법으로, 핵심종이 자리 잡고, natural Regeneration이 가속화되게 하는 방법
54.
다음의 골재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천연 경량골재에는 팽창성 혈암, 팽창성 점토, 플라이애시 등을 주원료로 한다.
잔 골재의 절건비중은 2.7 미만이다.
골재의 표면 및 내부에 있는 물의 전체 질량과 절건 상태의 골재 질량에 대한 백분율을 골재의 표면수율이라 한다.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질량으로 90% 이상을 통과시키는 체 중에서 최소 치수의 체 눈을 체의 호칭치수로 나타낸 굵은 골재의 치수이다.
정답 : ④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질량으로 90% 이상을 통과시키는 체 중에서 최소 치수의 체 눈을 체의 호칭치수로 나타낸 굵은 골재의 치수이다.
55.
환경포텐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복원잠재력을 의미한다.
환경의 생태수용력을 의미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천이가 진행될 가능성을 의미하기도 한다.
특정 장소에서 종의 서식이나 생태계 성립의 잠재적 가능성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정답 : ② 환경의 생태수용력을 의미한다.
56.
소하천에서 어류의 자유로운 계류 통행을 위해서 피해야하는 것은?
잡초가 많다.
바닥에 크고 작은 돌이 있다.
계류에 낙차를 크게 둔다.
나무로 그늘지게 한다.
정답 : ③ 계류에 낙차를 크게 둔다.
57.
생태공학적 측면에서 녹색방음벽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버드나무 등을 활용하여 방음벽을 녹화한다.
태양전지판 등을 설치하여 자연에너지를 설치할 수 있는 발전시설을 겸하는 방음벽을 말한다.
식물이 서식 가능한 화분으로 녹화한 방음벽이다.
녹색투시형 담장이나 기존방음벽에 녹색으로 도색한 방음벽을 말한다.
정답 : ④ 녹색투시형 담장이나 기존방음벽에 녹색으로 도색한 방음벽을 말한다.
58.
농장에서 식물 종자를 파종하여 뗏장으로 키운 후 현지로 운반하여 포설만 하면 시공이 완료되는 공법은?
식생매트공법
식생자루공법
식생구멍심기공법
식생기반재 뿜어붙이기공법
정답 : ① 식생매트공법
59.
식재기반에 요구되는 조건이 아닌 것은?
식물의 뿌리가 충분히 뻗을 수 있는 넓이가 있어야한다.
식물의 뿌리가 충분히 생장할 수 있는 토층이 있어야한다.
물이 하부로 빨리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층과의 경계에 불투수층이 있어야 한다.
어느 정도의 양분을 포함하고 있어야한다.
정답 : ③ 물이 하부로 빨리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층과의 경계에 불투수층이 있어야 한다.
60.
면적 300㎡인 하천 호안에 규격이 30 x 30 cm 인 갈대뗏장(sod)을 입히는데 필요한 매수는?
약 333매
약 3030매
약 3334매
약 3950매
정답 : ③ 약 3334매
경관생태학
61.
사전환경성검토 시 입지의 적절성을 판단하기 위한 현황 파악 지표가 아닌 것은?
주요 생물 서식공간의 분포 현황
환경 관련 보전지역의 지정 현황
개발 사업의 유형
개발 대상지역의 지가
정답 : ④ 개발 대상지역의 지가
62.
지구관측위성 Landsat TM의 근적외선영역 (파장: 0.76 ~ 0.9 μm)을 이용한 응용분야는?
식생유형, 활력도, 생체량 측정, 수역, 토양 수분 판별
물의 투과에 의한 연안역 조사, 토양과식생의 판별, 산림유형 및 인공물 식별
광물과 암석의 분리
식생의 스트레스(stress) 분석, 열추정
정답 : ① 식생유형, 활력도, 생체량 측정, 수역, 토양 수분 판별
63.
습지의 기능을 평가하는 방법 중 아래의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 11개의 범주로 습지기능과 가치를 평가한다.
-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평가변수를 평가기법에 이용한다.
- 습지유역, 지형, 식생 등을 고려하며 어류, 야생동물, 물새 등에 대한 서식지 적합도, 사회적 중요성, 효과, 기회성을 평가한다.
RAM (rapid assessment method)
WET II(wetland evaluation techniqueII)
HGM (the hydrogeomorphic)
EMAP (environmental monitoring assessment program)
정답 : ② WET II(wetland evaluation techniqueII)
64.
콘크리트나 아스팔트로 포장된 도로로 인하여 주변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도로 횡단 동물의 압사
교량으로 인한 어도 차단
소음에 의한 교란
도로 자체와 가장자리의 미기후 변화
정답 : ② 교량으로 인한 어도 차단
65.
도시생태계 평가에 사용될 수 있는 방안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환경영향평가제도 
사전환경성검토
산지특성평가 
비오톱 평가
정답 : ③ 산지특성평가 
66.
GIS에서 커버리지 또는 레이어(coverage or lay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일주제와 관련된 데이터 세트를 의미한다.
공간자료와 속성자료를 갖고 있는 수치지도를 의미한다.
균등한 특성을 갖는 래스터정보의 기본요소를 의미한다.
하나의 인공위성 영상에 포함되는 지상의 면적을 의미하기도 한다.
정답 : ③ 균등한 특성을 갖는 래스터정보의 기본요소를 의미한다.
67.
패치와 패치가 만나 형성되는 경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자연경관에서 패치와 패치가 만나는 경계부는 곡선이며 복잡하고 부드럽다.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경계부는 직선적이다.
곡선적 경계는 경계를 따라 이동하는 종에게 유리하고, 직선적 경계는 경계를 가로질러 이동하는 종에게 유리하다.
작은 패치를 가진 곡선적 경계가 토양침식을 막고 야생동물이 이동할 때 유리하다.
정답 : ③ 곡선적 경계는 경계를 따라 이동하는 종에게 유리하고, 직선적 경계는 경계를 가로질러 이동하는 종에게 유리하다.
68.
생태통로의 기능 중 순기능에 해당하는 것은?
장벽기능
복원기능
흐름 또는 이동기능
침몰기능
정답 : ③ 흐름 또는 이동기능
69.
경관생태학에서의 공간요소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

 

a, b는 생물서식공간이며 종 공급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c는 보조 패치로서 종 이동의 단절을 막을 수 있다.
d는 하천으로 생물서식처로만 기능을 한다.
e는 패치와는 이질적인 요소이며, 전체 토지면적의 반 이상을 덮고 있다.
정답 : ③ d는 하천으로 생물서식처로만 기능을 한다.
70.
경관생태학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한 사람은?
Troll 
Forman
Zonneveld 
Harber
정답 : ① Troll 
71.
경관 구성요소를 가장 바르게 나열한 것은?
패치 – 산림 - 농경지
패치 – 코리더 - 메트릭스
코리더 – 메트릭스 - 수목
패치 – 코리더 - 건축물
정답 : ② 패치 – 코리더 - 메트릭스
72.
지난 반세기 동안 네덜란드 북해 연안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서해안에서 가장 활발하게 일어났던 훼손으로 인위적으로 해안경관을 변화시켜 친환경적이지 못하며 자연적인 해안 경관을 해치게 된 것은?
쓰레기 투기
해상 유류 유출 사고
간척 및 매립
연안의 수많은 양식시설
정답 : ③ 간척 및 매립
73.
생태 천이로 인해 산림생태계는 산림군집의 기능적, 구조적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천이 후기단계로 갈수록 종다양성이 높고 생태적 안정성이 높아진다.
생태계의 기본전략은 K 전략에서 r 전략으로 변화한다.
생태천이 초기에는 광합성량과 생체량의 비(P/B)가 높다.
생태천이 후기에는 호흡량이 높아져 순군집 생산량은 초기단계보다 오히려 낮아진다.
정답 : ② 생태계의 기본전략은 K 전략에서 r 전략으로 변화한다.
74.
비오톱(Biotop)의 개념을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지생태적 요소 중심의 동질성을 나타내는 공간단위
인문적 요소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나타나는 동질적 공간단위
생물생태, 지생태, 인문적 요소들의 상호 복합 작용을 통해 동질성을 나타내는 공간단위
어떤 일정한 야생 동·식물의 서식공간이나 중요한 일시적 서식 공간단위
정답 : ④ 어떤 일정한 야생 동·식물의 서식공간이나 중요한 일시적 서식 공간단위
75.
다음 중 생태복원과 관련이 없는 것은?
생물이동통로를 설치하여 동물의 이동을 돕는다.
화전민 거주지였던 곳에 주변의 임상과 유사하게 군락식재를 적용한다.
비버(beaver 혹은 Castor species)가 하천에 만든 댐을 허물어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하천의 호안블럭을 걷어내고 소와 여울을 만든다.
정답 : ③ 비버(beaver 혹은 Castor species)가 하천에 만든 댐을 허물어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76.
습지를 현명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은?
습지 기능과 가치를 보전하기 위해 개발사업에 의한 훼손을 최소화
농지로 전환하여 농작물의 수확량 증가
매립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극대화
놀이기구 등을 도입하여 수변 레크레이션 공간을 창출
정답 : ① 습지 기능과 가치를 보전하기 위해 개발사업에 의한 훼손을 최소화
77.
비오톱 유형분류에 필요한 기초 자료의 종류를 가장 바르게 나열한 것은?
토지이용형태도면, 수질도면, 토양도면
식생도면, 항공사진, 교통지도
지형도면, 항공사진, 식생도면
항공사진, 지적도, 인구분포도면
정답 : ③ 지형도면, 항공사진, 식생도면
78.
경관 패턴 분석을 위한 자료에서 잠재적인 오차의 원천이 아닌 것은?
자료의 연령
위치의 정확도
자료의 분량
내용의 정확도
정답 : ③ 자료의 분량
79.
울릉도가 독도보다 더 많은 생물을 갖고 있다면 이를 설명하는 이론에 가장 가까운 것은?
메타개체군 이론
동태적 보전이론
도서생물지리학이론
경쟁적 배제의 원리이론
정답 : ③ 도서생물지리학이론
80.
보전 공간 설정을 위한 비오톱 평가지표들을 가장 바르게 나열한 것은?
접근성, 포장율, 층위구조
복원능력, 종다양도, 멸종위기종의 출현
주거지와의 거리, 멸종위기종의 출현
층위구조, 종다양도, 이용빈도
정답 : ② 복원능력, 종다양도, 멸종위기종의 출현
자연환경관계법규
8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개발행위허가 신청 시 첨부하여야 할 계획서의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경관, 조경에 관한 계획
개발 이익 환원에 관한 계획
위해방지, 환경오염 방지계획
기반시설의 설치나 그에 필요한 용지의 확보 계획
정답 : ② 개발 이익 환원에 관한 계획
82.
다음은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수질 및 수생태계 상태별 생물학적 특성 이해표이다. 이에 가장 적합한 생물등급은?
3.png
매우 좋음 ~ 좋음
좋음 ~ 보통
보통 ~ 약간 나쁨
약간 나쁨 ~ 매우 나쁨
정답 : ③ 보통 ~ 약간 나쁨
83.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토지의 이용실태 및 특성, 장래의 토지 이용방향 등을 고려한 용도지역 구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관리지역 :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는 지역
농림지역 : 도시지역에 속하지 아니하는 「농지법」에 따른 농업진흥지역 또는 「산지관리법」에 따른 보전산지 등으로서 농림업을 진흥시키고 산림을 보전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산업단지개발지역 : 인구와 산업이 밀집되어 있거나 밀집이 예상되어 그 지역에 대하여 체계적인 개발·정비·관리·보전 등이 필요한 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 : 자연환경·수자원·해안·생태계·상수원 및 문화재의 보전과 수산자원의 보호·육성 등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
정답 : ③ 산업단지개발지역 : 인구와 산업이 밀집되어 있거나 밀집이 예상되어 그 지역에 대하여 체계적인 개발·정비·관리·보전 등이 필요한 지역
84.
국토기본법상 “국토계획”에 포함되지 않는 계획은?
국토종합계획 
도서종합계획
부문별계획 
시·군종합계획
정답 : ② 도서종합계획
85.
야생동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조류)이 아닌 것은?
참수리(Haliaeetus pelagicus)
호사비오리(Mergus squamatus)
검독수리(Aquila Chrysaetos)
검은목두루미(Grus grus)
정답 : ④ 검은목두루미(Grus grus)
86.
다음은 국토기본법령상 국토조사에 관한 사항이다. 밑줄 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국토교통부장관은 국토에 관한 계획 또는 정책의 수립, 공간정보의 제작, 연차 보고서의 작성 등을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에 대하여 조사할 수 있다.
지형·지물 등 지리정보에 관한 사항
농림·해양·수산에 관한 사항
국제협력·대내 홍보에 관한 사항
방재 및 안전에 관한 사항
정답 : ③ 국제협력·대내 홍보에 관한 사항
87.
다음은 습지보전법령상 포상금 관련기준이다.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습지보호지역에서 위반한 행위의 신고 또는 고발을 받은 관계행정관청 또는 수사기관은 그 사건의 개요를 환경부장관·해양수산부장관 또는 시·도지사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통지를 받은 환경부장관등은 그 사건에 관한 확정판결이 있은 날로부터 ( ㉠ )에 예산의 범위 안에서 포상금을 지급할 수 있고, 그 포상금은 당해사건으로 인하여 선고된 벌금액(징역형의 선고를 받은 경우에는 해당적용벌칙의 벌금 상한액을 말한다)의 ( ㉡ )로 한다.
㉠ 3월 이내, ㉡ 100분의 30이내
㉠ 3월 이내, ㉡ 100분의 10이내
㉠ 2월 이내, ㉡ 100분의 30이내
㉠ 2월 이내, ㉡ 100분의 10이내
정답 : ④ ㉠ 2월 이내, ㉡ 100분의 10이내
88.
자연공원법상 용어의 뜻 중 “자연공원”에 속하지 않는 것은?
국립공원 
도립공원
시립공원 
지질공원
정답 : ③ 시립공원 
89.
환경정책기본법령상 도로변지역의 낮(06:00~22:00)시간의 소음환경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적용대상지역은 공업지역 중 준공업지역, 단위는 Leq dB(A))
60
65
70
75
정답 : ③ 70
90.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상 수렵면허의 취소 또는 정지처분을 받은자는 언제까지 수렵면허증을 시장·군수·구청장에게 반납하여야 하는가?
취소 또는 정지처분을 받은 당일 날
취소 또는 정지처분을 받은 날부터 1일 이내
취소 또는 정지처분을 받은 날부터 3일 이내
취소 또는 정지처분을 받은 날부터 7일 이내
정답 : ④ 취소 또는 정지처분을 받은 날부터 7일 이내
91.
다음은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국가생물다양성전략 시행계획의 수립·시행에 관한 사항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소관 분야의 국가생물다양성전략 시행계획을 수립·시행하고, 전년도 시행계획의 추진실적과 해당 연도의 시행계획을 ( ㉠ ) 환경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환경부장관은 그에 따라 제출된 전년도 시행계획의 추진실적과 해당연도 시행계획을 종합·검토하여 그 결과를 ( ㉡ )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 매년 12월 31일까지, ㉡ 매년 1월 31일까지
㉠ 매년 12월 31일까지, ㉡ 매년 2월 28일까지
㉠ 매년 1월 31일까지, ㉡ 매년 2월 28일까지
㉠ 매년 1월 31일까지, ㉡ 매년 3월 31일까지
정답 : ④ ㉠ 매년 1월 31일까지, ㉡ 매년 3월 31일까지
92.
자연환경보전법령상 생태계보전협력금의 부과지역계수가 틀린 것은?
생산관리지역 : 2.5
보전관리지역 : 3
녹지지역 : 2
자연환경보전지역 : 4
정답 : ② 보전관리지역 : 3
93.
다음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용어의 뜻이다.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     ) (이)란 토지의 이용 및 건축물의 용도, 건폐율, 용적률, 높이 등을 제한함으로써 토지를 경제적 ·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공공복리의 증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서로 중복되지 아니하게 도시 · 군관리계획으로 결정하는 지역을 말한다.
용도지역 
용도지구
용도구역 
개발밀도관리구역
정답 : ① 용도지역 
94.
자연공원법상 자연공원의 형상을 해치거나 공원시설을 훼손한 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③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95.
야생동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상 수렵면허 취소 또는 정지 등과 관련한 행정처분의 개별기준 중 수렵중에 고의 또는 과실로 다른 사람의 재산에 피해를 준 경우 위반 차수별 행정처분기준으로 옳은 것은?
1차: 면허정지 3개월, 2차: 면허정지 6개월, 3차: 면허취소
1차: 경고, 2차: 면허정지 1개월, 3차: 면허정지 3개월
1차: 경고, 2차: 면허정지 3개월, 3차: 면허취소
1차: 면허정지 1개월, 2차: 면허정지 3개월, 3차: 면허정지 6개월
정답 : ① 1차: 면허정지 3개월, 2차: 면허정지 6개월, 3차: 면허취소
96.
습지보전법상 환경부장관과 해양수산부장관은 습지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몇 년 마다 습지보전기초계획을 각각 수립하여야 하는가?
3년
5년
10년
20년
정답 : ② 5년
97.
환경정책기본법령상 각 위원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중앙환경정책위원회의 위원은 환경부장관이 위촉하거나 임명한다.
중앙정책위원회의 회의는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 위원장이 소집하되, 회의는 위원장과 위원장이 회의마다 지명하는 3명 이상의 위원으로 구성하며, 위원장이 그 의장이 된다.
증권역환경관리위원회는 위원장 1명을 포함한 3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하고, 중권역위원회의 위원장은 유역환경청장 또는 지방환경청장이 된다.
중앙정책위원회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환경정책·자연환경·기후대기·물 등 환경관리 부문별로 분과위원회를 두며, 분과위원회는 분과위원장 1명을 포함한 25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정답 : ② 중앙정책위원회의 회의는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 위원장이 소집하되, 회의는 위원장과 위원장이 회의마다 지명하는 3명 이상의 위원으로 구성하며, 위원장이 그 의장이 된다.
98.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상 환경부장관이 특정도서의 자연생태계 보전을 위하여 토지 등을 매수하는 경우 토지매수가격은 어느 법에 의해 산정하는가?
공유토지 분할에 관한 특례법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지가공시 및 토지 등의 평가에 관한 법률
정답 : ②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99.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상 산림청장은 백두대간의 효율적 보호를 위해 마련된 원칙과 기준에 따라 기본계획을 몇 년마다 수립하여야 하는가?
3년
5년
10년
20년
정답 : ③ 10년
100.
자연환경보전법규상 위임 업무 보고사항 중 “생태마을의 지정 및 해제 실적” 보고 횟수의 기준으로 각각 옳은 것은?
지정: 연 4회, 해제: 연 2회
지정: 연 4회, 해제: 수시
지정: 연 1회, 해제: 연 2회
지정: 연 1회, 해제: 수시
정답 : ④ 지정: 연 1회, 해제: 수시

 

자연생태복원기사 기출문제를 비롯하여 더 많은 국가기술자격증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는 문제풀이닷컴 홈페이지(https://quz.co.kr/)에서 이용가능합니다.

 

Posted by 문제풀이닷컴

댓글을 달아 주세요

 

안녕하세요. 문제풀이닷컴(https://quz.co.kr)입니다.

자연생태복원기사 필기 시험일이 이제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그간 열심히 이론과목을 공부하셨을텐데요. 이제 마무리 하실 단계라고 생각합니다.
남은 시험기간 동안 최단기간에 점수를 올릴 수 있는 방법은 아무래도 문제풀이, 과년도 기출문제풀이 일것입니다.

문제풀이닷컴에서는 합리적이고 부담없는 수강료로 단기간(30일)에 과년도기출문제 풀이 과정(3년치)을 동영상 강의(인강)로 서비스 하고 있습니다.

2016년부터 최신2018년 기출문제까지 문항별 상세한 설명으로 자연생태복원기사 필기시험대비를 준비해보세요.
강의경력 20년 이상의 해당분야 국내 최고의 교수님께서 문제별로 상세한 해설을 통해 이해를 도와드립니다.

 

 

웹표준 지원으PC, 모바일기기(스마트폰, 태블릿PC등)에서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4K UHD 화질 지원으로 보다 깨끗하고 선명한 화면으로 동영상 강의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합리적이고 부담없는 수강료(5만원)로 수강하실 수 있습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문제풀이닷컴(https://quz.co.kr)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남은 시험기간 동안 열심히 준비하셔서 꼭 좋은 결과 있으시기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Posted by 문제풀이닷컴

댓글을 달아 주세요

 

오늘의 기출문제 모의고사는 자연생태복원기사 필기 입니다.

문제풀이닷컴에 입력되어 있는 기출문제 자료들를 활용하여 자연생태복원기사 필기 자격증 기출문제를 랜덤(무작위)하게 뽑아내었습니다.

각 문제 하단에   버튼을 클릭하면 정답 및 해당문제의 출제년도 및 회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타 및 오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알려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채점 및 결과 확인 기능은 블로그에서는 어려우니 홈페이지(https://quz.co.kr/)에서 문제풀이를 이용하시면 확인가능합니다.

 

자연생태복원기사 필기 시험과목은 " 환경생태학개론, 환경계획학, 생태복원공학, 경관생태학, 자연환경관계법규 " 총 5 과목으로 되어 있으며 과목당 40점이상,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아래 링크(문제풀이닷컴홈페이지)에서는 자연생태복원기사 필기 기출문제 문제풀이를 회차별 또는 랜덤으로 회원가입등이 없이 문제풀이를 맘껏 풀이 해볼수 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아래 링크(문제풀이닷컴홈페이지)에서는 자연생태복원기사 기출문제 문제풀이를 회차별 또는 랜덤으로 회원가입등이 없이 문제풀이를 맘껏 풀이 해볼수 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자연생태복원기사 필기

 

환경생태학개론

1.
자연계의 생산과 분해에 있어서 광합성 세균 중 무산소성 광합성 세균이 아닌 것은?
자색 비유황세균 : Ehodospirllum
녹색 비유황세균 : Chiorflexus
적색황세균 : Frankia
녹색황세균 : Chlorobium
정답 : ③ 적색황세균 : Frankia (2015년2회)
2.
발전소의 열수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영향과 거리가 먼 것은?
호수나 저수지 저층의 인산염, 질산염 등을 상부로 이동시켜 조류의 번식을 촉진시킨다.
안개, 안무의 이상 생성을 유발시킨다.
수중의 DO 농도를 증가시킨다.
수중 미생물의 생활리듬을 파괴하여 이상증식 또는 이상산란 현상을 초래한다.
정답 : ③ 수중의 DO 농도를 증가시킨다. (2015년1회)
3.
다음 중 생태계 구성요소와 그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생산자 : 녹색식물을 먹는 초식동물을 말한다.
분해자 : 낙엽, 동물사체 등을 분해하는 생물을 말한다.
소비자 : 종속영양생물로 육식동물을 말한다.
무기환경 : 빛, 공기, 물 등을 말한다.
정답 : ① 생산자 : 녹색식물을 먹는 초식동물을 말한다. (2015년2회)
4.
섬생물지리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어떤 섬에서 생물종수는 이주와 사멸의 균형에 의해 결정된다.
섬이 클수록, 육지와 멀리 떨어질수록 종수는 낮다.
하나의 섬에서 종의 수와 조성은 역동적이다.
경관계획과 자연보전지구 지정에 유용한 이론이다.
정답 : ② 섬이 클수록, 육지와 멀리 떨어질수록 종수는 낮다. (2015년2회)
5.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감축하여 온실가스에 대한 대비책 마련을 위해 채택된 기후변화 협약과 관련된 것은?
워싱턴 의정서
몬트리올 의정서
교토 의정서
제네바 의정서
정답 : ③ 교토 의정서 (2015년2회)
6.
실내 오염물 중 유해한 물질 중의 하나이며, 이 물질은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방사성 가스로서 가공 석재물이 많은 지하철에서 많이 검출된다. 이것은 무엇인가?
황화수소
아르곤
네온
라돈
정답 : ④ 라돈 (2015년1회)
7.
생물종간의 상호작용의 형태 중 A가 B에 일방적으로 의존하여 B에 손해를 끼칠 수 있는 관계는?
상리공생(mutualism)
중립(neutralism)
기생(parasitism)
편리공생(commensalism)
정답 : ③ 기생(parasitism) (2015년1회)
8.
다음 설명의 ( )안에 알맞은 용어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생태계 내 종의 구조 및 군집과정 이 변화하는 것을 천이(succession)라고 부르며, 이 들의 마지막 단계를 ( )군집이라 부른다.
극대(maximum)
극단(extreme)
극상(climax)
최종(final)
정답 : ③ 극상(climax) (2015년2회)
9.
다음 중 세계의 열대우림 지역이 아닌 곳은?
서부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인도네시아
아마존 분지
정답 : ② 북아메리카 (2015년2회)
10.
다음 환경포텐셜의 개념 중 종의 공급포텐셜에 적합 한 설명은?
종의 생육, 서식과 관계
기후, 지형, 토양, 수환경 등의 토지적 조건이 특정 생태계 성립에 적당한가를 나타나는 것
식물의 종자나 동물의 개체 등이 다른 곳으로부터 공 급될 가능성
생태계의 시간적 변화가 어떤 과정을 거쳐 어느 정도 의 속도로 진행
정답 : ③ 식물의 종자나 동물의 개체 등이 다른 곳으로부터 공 급될 가능성 (2015년2회)
11.

다음의 부영영화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부영양화 현상을 일으키는 주요 영양염류 중 인과 질소가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빈영양호에서는 규조류와 편모조류, 황갈조류 등이 주로 서식하고, 부영양호에서는 녹조류와 남조류의 비중이 커져 이에 따른 색의 변화도 생긴다.
수심이 얕은 호소에서 부영양화가 진행되면  수초와 식물플랑크톤의 증식이 증가되어 배의 운행을 방해하기도 하고 썩어 냄새를 내기도 한다.
호소가 부영양화 됨에 따라 1차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원래 순수한 물은 검푸른 색인데, 부유물질이 많을수록 청색에서 녹색을 거쳐 황색으로 변한다.
정답 : ③ 수심이 얕은 호소에서 부영양화가 진행되면  수초와 식물플랑크톤의 증식이 증가되어 배의 운행을 방해하기도 하고 썩어 냄새를 내기도 한다. (2015년1회)
12.
어떤 식물이 충분히 빛이 쪼이는 곳에서 생육 할 때 보다 그늘에서 생육하는 경우에 토양 속의 아연 요구량이 적게 필요하다고 가정한다면, 이 내용에 적합한 법칙은 다음 중 무엇인가?
Bergmann의 법칙
Allen의 법칙
Liebig의 최소량 법칙
Gause의 경쟁배타 법칙
정답 : ③ Liebig의 최소량 법칙 (2015년2회)
13.
총생산(Pg), 순생산(Pn), 호흡(r)의 관계를 옳게 표현한 식은?
Pn = P g - r
Pn / P g = r
Pg / P n = r
Pg = P n - r
정답 : ① Pn = P g - r (2015년1회)
14.

대표적인 토양환경의 변화인 토양 침식(erosion)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토양침식에 의해 경작이 불가능한 지역은 감소하게 된다.
지나친 경작이나 방목 등이 원인이다.
침식이 일어나면 작물재배에 적당한 흙이 가장 먼저 씻겨나간다.
강우량이 적은 지역에서의 토양침식은 사막화를 초래할 수 있다.
정답 : ① 토양침식에 의해 경작이 불가능한 지역은 감소하게 된다. (2015년1회)
15.
야생동물 생태조사에서 채택한 포획-재포획의 조사 방법 결과 다음과 같은 자료가 주어졌을 때, 총 개체군의 크기는 얼마인가?
110개체의 야생동물이 표지되어 방출되고 며칠 후 잡 힌 100개체 중 20개체가 표지된 것으로 확인 되었 음
550개체
600개체
500개체
650개체
정답 : ① 550개체 (2015년2회)
16.
다음 중 개체군 변동의 유형이 아닌 것은?
주기형
평편형
생활형
급변형
정답 : ③ 생활형 (2015년2회)
17.
지구온난화 및 온실효과의 원인이 되는 가스가 아닌 것은?
메탄 (CH4)
아산화질소 (N2O)
아황산가스(SO2)
염화불화탄소(CFC2)
정답 : ③ 아황산가스(SO2) (2015년2회)
18.
담수에서 생태적으로 중요한 환경 요인이 아닌 것은?
온도
산소
염분농도
정답 : ④ 염분농도 (2015년1회)
19.
오존의 환경오염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 은?
오존은 주로 이산화질소와 탄화수소가 태양광선과 반응하여 생성된다.
일사량이 많고 고온인 여름철에 주로 오존 농도가 높다.
자동차배출가스가 오존오염의 주원인이라 할 수 있다.
오존층은 지구 상층부에서 적외선을 막아주기 때문에 생물이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준다.
정답 : ④ 오존층은 지구 상층부에서 적외선을 막아주기 때문에 생물이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준다. (2015년2회)
20.

군집의 구조적 측면에서 같은 표징종을 포함하는 식물의 군집은?

우점종
군락
부수종
지표종
정답 : ② 군락 (2015년1회)

환경계획학

21.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 또는 군수는 도시민이 이용할 수 있는 공원녹지를 확충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도시지역 안의 식생 또는 임상(林相)이 양호한 토지의 소유자와 해당 토지를 일반 도시민에게 제공하는 것을 조건으로 해당 토지의 식생 또는 임상의 유지·보존 및 이용에 필요한 지원을 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계약을 체결할 수 있는 데 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녹지임대계약
녹지지원계약
녹지협약계약
녹지활용계약
정답 : ④ 녹지활용계약 (2015년2회)
22.
하천유역의 면적·지형 등 하천유역의 특성에 따라 수계영향권을 구분하며, 이에 따라 구분된 대권역별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본계획은 몇 년 마다 수립되어야 하는가?
10년
20년
5년
3년
정답 : ① 10년 (2015년1회)
23.
자연환경보전의 기본계획을 위하여 지방차지단체에서 제시할 수 있는 시책으로 볼 수 없는 것은?
개발제한구역(Green Belt)의 합리역 보전 대책 추진
비오톱, 습지의 보전 대책 추진
도시 내 구릉지 보전 대책 추진
지역내 국립공원 보전 대책 추진
정답 : ④ 지역내 국립공원 보전 대책 추진 (2015년2회)
24.
관할수역의 면적 및 인구규모, 용도지역의 특성등을 감안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시·시 또는 군의 조례로 정하도록 하고 있는, 용도지역 안에서의 용적률의 최대한도 중 모두 맞는 것은?
공업지역 300% 이하, 농림지역 50% 이하
녹지지역 100% 이하, 생산관리지역 70% 이하
주거지역 500% 이하, 계획관리지역 100% 이하
상업지역 1200% 이하, 생산관리지역 70% 이하
정답 : ③ 주거지역 500% 이하, 계획관리지역 100% 이하 (2015년2회)
25.
다음 중 일반적인 도시생태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인공적이고 불균형한 물질순환 체계
에너지의 원활한 순환이 가능한 체계
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에너지 흐름
인위적인 생태 시스템
정답 : ② 에너지의 원활한 순환이 가능한 체계 (2015년1회)
26.
다음 중 유네스코 MAB(man and the biosphere programm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핵심지역, 완충지역, 전이지역의 3가지 기본요소로 구분 한다
동·식물 개체군이 일정한 서식환경에서 증가 할 때 환경의 저항을 받아 일정한 상한에 도달해 평형상태를 지속한다는 개체군 성장한계이론을 기본으로 한다.
지속적인 위협을 받고 있는 보호지역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생물권 보전지역을 지정하였다.
생물권에 인간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고 생물권의 파괴를 막기 위하여 출범하였다.
정답 : ② 동·식물 개체군이 일정한 서식환경에서 증가 할 때 환경의 저항을 받아 일정한 상한에 도달해 평형상태를 지속한다는 개체군 성장한계이론을 기본으로 한다. (2015년2회)
27.
다음 중 자연입지적 토지이용유형별 세부관리방안 중에서 산림·계곡환경 관리방안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자연환경자원과 조화되는 건축지침 수립
산과 계곡으로의 경관축과 조망점 설정
생태계 훼손방지 기준 강화
주변 자연경관과 조화되는 대비 색상 기준 도입
정답 : ④ 주변 자연경관과 조화되는 대비 색상 기준 도입 (2015년1회)
28.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 에 의해 지정·관리되는 백두대간보호지역의 구분이 맞는 것은?
핵심구역, 전이구역
핵심구역, 완충구역, 전이구역
핵심구역, 완충구역
핵심구역
정답 : ③ 핵심구역, 완충구역 (2015년1회)
29.
생태공원 조성을 위한 기본 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지속가능성 확보
관리인력 수요 창출
생태적 건정성 확보
생물적 다양성 확보
정답 : ② 관리인력 수요 창출 (2015년1회)
30.
하천 정비사업으로 인한 문제점 및 현상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낙차공, 수중보 등 설치로 인한 하천 유속의 원활
공사 시 토사 유출로 인한 육수생태계 영향
하도정비, 공재채취, 고수부지 조성 등으로 자연환경 훼손
제방축조용 토사 부족시 토취장 개발로 인한 영향
정답 : ① 낙차공, 수중보 등 설치로 인한 하천 유속의 원활 (2015년2회)
31.
다음 중 자연생태복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국토의 보전을 기본 입장으로 하고 있다.
재해의 원인이 되는 비탈면 침식의 방지, 토사유출의 방지, 수질정화, 수자원 보전을 포함하고 있다.
자연생태복원이 어려운 장소에 확실하게 복원하기 위해 식물이 발아·생육하기 적합한 생육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식재종은 훼손지역에 새로운 식물사회를 조성하는 방향으로 선정되어야 한다.
정답 : ④ 식재종은 훼손지역에 새로운 식물사회를 조성하는 방향으로 선정되어야 한다. (2015년1회)
32.

다음 설명의 어느 하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관계행정기관의 장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개발사업등으로서 "환경영향평가법" 제9조에 따른 전략환경영향평가 대상계획, 같은 법 제22조에 따른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 또는 같은 법 제43조에 따라른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에 해당하는 개발사업등에 대한 인·허가 등을 하고자 하는 때에는 당해 개발 사업등이 자연경관에 미치는 영향 및 보전방안 등을 전략환경영향평가의 협의, 환경영향평가 협의 또는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협의 내용에 포함하여 환경부장관 또는 지방환경관서의 장과 협의를 하여야 한다.

습지보전법 제8조 규정에 의하여 지정된  습지보호지역
생태·경관 보전지역
자연공원법 제2조 제1호 규정에 의한 자연공원
산림보호법에 의한 공익임지
정답 : ④ 산림보호법에 의한 공익임지 (2015년1회)
33.
다음 중 훼손된 자연을 회복시키고자 하는 세가지 단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대치
복원
개발
복구
정답 : ③ 개발 (2015년2회)
34.
국제협력기구 중 그린피스(greenpeace)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세계야생생물기금에서 출발한 비정부기구
기후변화, 국제하천, 오존층 보호 등의 분야를 대상으로 활동
유럽, 북미, 아시아 등이 참여하고 생물다양성과 환경위협에 관심
더 평등하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이끌 사람들에게 권한을 주고 지원하는데 목적
정답 : ③ 유럽, 북미, 아시아 등이 참여하고 생물다양성과 환경위협에 관심 (2015년1회)
35.
도심의 광장 녹지로부터 농촌, 자연지역에 이르는 생태 네트워크의 구축을 위해서 기존의 개발 전략을 변경해야 하는데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경관향상, 에너지 절약, 비오톱 확대를 위해 옥상녹화 및 벽면 녹화를 통한 녹지면적을 최대한 확보한다.
기존 녹지(삼림, 구릉지, 초지 등)를 적극적으로 보전 하고 최대한 계획에 활용한다.
적극적인 우수침투가 가능하게 하여 원활한 수(水) 순환체계를 도모한다.
공원 및 옥외공간 녹화는 다층구조보다는 단층구조가 유리하며 인공적인 식재기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 : ④ 공원 및 옥외공간 녹화는 다층구조보다는 단층구조가 유리하며 인공적인 식재기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15년2회)
36.
환경부장관은 자연환경보전법에 의거하여,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지속가능한 보전·관리를 위하여 생태적 특성, 자연경관 및 지형여건 등을 고려하여, 3가지로 구분하여 지정관리 할 수 있는 바, 다음 중 3가지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생태·경관완충보전구역
생태·경관전이보전구역
생태·경관핵심보전구역
생태·경관유보보전구역
정답 : ④ 생태·경관유보보전구역 (2015년1회)
37.

다음 중 생태도시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국외 생태도시의 대표적인 사례로 일본의 키타큐수, 브라질의 꾸리찌바 등을 들 수 있다.
생태도시란 도시를 유기적 복합체로 보아 다양한 도시활동과 공간구조가 생태계의 속성인 다양성·순환성·안정성 등을 포함하는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도시이다.
우리나라의 생태도시에 대한 논의는 1990년대에 들어서 시작되었으며, 제4차 국토종합개발계획에서 환경보전도시(Ecopolis)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도입하였다.
환경부는 1991년 용인군과 포항시를 환경보전시법사업지역으로 확정하여 환경보전시범도시 조성계획을 작성하였다.
정답 : ③ 우리나라의 생태도시에 대한 논의는 1990년대에 들어서 시작되었으며, 제4차 국토종합개발계획에서 환경보전도시(Ecopolis)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도입하였다. (2015년1회)
38.
생태네트워크 계획에 있어서 비오톱의 조성에 관한 일반원칙이 아닌 것은?
같은 면적이면 분할된 상태가 좋다.
불연속적인 비오톱은 생태적 통로로 연결시키는 것이 좋다.
비오톱은 가능한 넓은 것이 좋다.
비오톱의 형태는 선형보다는 원형이 좋다.
정답 : ① 같은 면적이면 분할된 상태가 좋다. (2015년2회)
39.
다음 중 환경 영행평과 대상사업의 규모(A : 하수도법에 따른 분뇨처리시설, B : 폐기물 중간처분시설 중 소각시설로서 처리능력)로서 처리용량 표시가 맞는 것은?
A : 100㎥/일 이상, B : 100톤/일 이상
A : 100㎥/일 이상, B : 50톤/일 이상
A : 50㎥/일 이상, B : 50톤/일 이상
A : 100㎥/일 이상, B : 100톤/일 이상
정답 : ④ A : 100㎥/일 이상, B : 100톤/일 이상 (2015년2회)
40.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상용도지구의 분류 중 하나인 경관지구는 다시 세가지 종류의 지구로 세분화하여 구분하고 있다. 다음중 경관지구의 종류가 아닌 것은?
시가지경관지구
수변경관지구
자연경관지구
해안경관지구
정답 : ④ 해안경관지구 (2015년2회)

생태복원공학

41.
다음 중 옥상 생물서식공간으로 조성할 지역을 선정할 때 일반적으로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되는 것은?
건축물의 위치와 높이
지역민의 접근성
조기 녹화 가능성
홍보효과
정답 : ① 건축물의 위치와 높이 (2015년2회)
42.
부식(腐植;humus)의 기능과 식생과의 관계를 잘못 설명한 것은?
Ca, Mg, K, NH4등의 염기를 흡착하는 염기치환용량이 크다.
토립을 연결시켜 안정한 입단구조를 형성한다.
호르몬과 비타민을 함유하여 고등생물과 토양미생물의 생육을 자극한다.
토양 중 유효인산의 고정을 증대하여 미생물의 활동을 활발하게 한다.
정답 : ④ 토양 중 유효인산의 고정을 증대하여 미생물의 활동을 활발하게 한다. (2015년1회)
43.
인간의 간섭정도에 의한 생태계 종류 중 다른 하나는?
하천생태계
삼림생태계
경작지생태계
호소생태계
정답 : ③ 경작지생태계 (2015년2회)
44.
생태공학적 측면에서 녹색방음벽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버드나무 등을 활용하여 방음벽을 녹화한다.
태양전지판 등을 설치하여 자연에너지를 설치할 수 있는 발전시설을 겸하는 방음벽을 말한다.
녹색투시형 담장이나 기존방음벽에 녹색으로 도색한 방음벽을 말한다.
식물이 서식 가능한  화분으로 녹화한 방음벽이다.
정답 : ③ 녹색투시형 담장이나 기존방음벽에 녹색으로 도색한 방음벽을 말한다. (2015년1회)
45.
지붕에 식생을 재배하는 것은 다양한 혜택을 준다. 생태적 가치를 높일 뿐 아니라 도시지역 등에서 우수관리에 큰 도움을 준다. 이런 옥상 녹화시 1차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방수방근시스템
서식가능 동물
식생기반토양층
지붕구조
정답 : ② 서식가능 동물 (2015년2회)
46.
연암 및 요철이 심한 경암의 비탈면에 녹화하기 위해  식생기반재 뿜에 붙이기를 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것은?
건식공법이 시공성이 빠르다.
조기녹화에 치중하여 빠르게 피복시키는 공법이다.
사용하는 재료의 성질에 따라 무기질계와 유기질계로 구분되며, 유기질계는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벤토나이트 등의 경량자재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초기 발아가 우수한 외래도입초종들은 생육이 왕성하므로 매끄럽고, 절리가 없는 암반에서도 식생기반재 위에서 생육이 가능하다.
정답 : ③ 사용하는 재료의 성질에 따라 무기질계와 유기질계로 구분되며, 유기질계는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벤토나이트 등의 경량자재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2015년1회)
47.
생물공동체의 길드(guild)에 대한 설명으로 다른 것은?
동일한 생활자원을 비슷한 방법으로 이용하는 생물종의 그룹
성장 단계에 따라 같은 길드에 속하는 다른 종간의 관계는 변화함
길드를 구성하는 종은 고정적이지 않고 생활 패턴 단계에 따라 다름
같은 종은 성장단계에 따라 속하는 길드의 변화가 없음
정답 : ④ 같은 종은 성장단계에 따라 속하는 길드의 변화가 없음 (2015년2회)
48.
다음 중 생태 관련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개체군이란 생물의 생활단위가 되는 집단이다.
자연생태계와 농림생태계, 도시생태계와 같은 각각의 생태계를 소생태계라 한다.
종족의 보전을 위해서는 일정한 개체수가 반드시 필요하다.
다른 종의 생물들이 모여서 이룩된 생물사회를 군집이라 한다.
정답 : ② 자연생태계와 농림생태계, 도시생태계와 같은 각각의 생태계를 소생태계라 한다. (2015년2회)
49.
생태계복원의 근본개념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생물과 인간의 공존방법 구축
생태계 단수화의 촉진
생물생황과 생태계의 파악
생물종다양성의 확대
정답 : ② 생태계 단수화의 촉진 (2015년2회)
50.
생태복원을 위해 다져진 토량 18,000㎥을 성토할 때 운반토량은 얼마인가?
(단, 토량변화율 L=1.25, C=0.9)
22,500㎥
25,000㎥
20,250㎥
20,000㎥
정답 : ② 25,000㎥ (2015년2회)
51.
대시에 포함된 함량은 0.03%에 지나지 않으며, 물속의 생명체의 방향결정, 운동 및 호흡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은 무엇인가?
산소
이산화탄소
질소
일광
정답 : ② 이산화탄소 (2015년2회)
52.
다음의 습지식물 중 정수 식물종은?
물수세미
매자기
부레옥잠
붕어마름
정답 : ② 매자기 (2015년2회)
53.
훼손지비탈면녹화용 식물로 구비하여야 할 요건이라 볼 수 없는 것은?
건조에 강하다.
양분요구가 크다.
척박지에 잘 자란다.
번식이 용이하다.
정답 : ② 양분요구가 크다. (2015년2회)
54.
다음 생태계 중 일반적으로 단위면적당 가장 많은 생물 다양성을 보유할 수 있는 것은?
사막
삼림
초지
습지
정답 : ④ 습지 (2015년1회)
55.
다음 중 식물의 영양번식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조직배양에 의한 번식
종자에 의한 번식
삽목에 의한 번식
접목에 의한 번식
정답 : ② 종자에 의한 번식 (2015년1회)
56.
다음 중 토양 구조(soil structure)별 설명이 틀린 것은?
구상구조 : 유기물이나 석회가 많은 표층에서 많이 발달되며 특히 표토에서 잘 발달하나 토양곡극이 큰 편이라 우수의 흡수도 및 토양침식에 대한 저항성이 나쁘다.
괴상구조 : 면이나 모서리가 잘 발달하여 다면체를 이루는 구조이다.
니상구조 : 부식 함량이 적은 미사질 토양에서 때때로 발견되며, 이 구조는 소공극은 많지만 대공극이 없으므로 통기성 및 투수성이 나쁘다.
단립구조 : 일반적으로 해안의 사질양토에서 발견되며, 거친모래입자가 단일 상태로 접합 되어 있고 특정구조를 나타내지 않는다.
정답 : ① 구상구조 : 유기물이나 석회가 많은 표층에서 많이 발달되며 특히 표토에서 잘 발달하나 토양곡극이 큰 편이라 우수의 흡수도 및 토양침식에 대한 저항성이 나쁘다. (2015년2회)
57.
다음의 골재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천연 경량골재에는 팽창성 혈암, 팽창성 점토, 플라이애시 등을 주원료로 한다.
질량으로 90% 이상을 통과시키는데 체 중에서 최소 치수의 체눈을 체의 호칭 치수로 나타낸 굵은 골재의 치수를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라 한다.
골재의 표면 및 내부에 있는 물의 전체 질량의 절건 상태의 골재질량에 대한 백분율을 골재의 표면수율 이라 한다.
잔 골재의 절건비중은 2.7 미만이다.
정답 : ② 질량으로 90% 이상을 통과시키는데 체 중에서 최소 치수의 체눈을 체의 호칭 치수로 나타낸 굵은 골재의 치수를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라 한다. (2015년2회)
58.
한국 하천습지에 생육하는 수생식물 중 부엽식물이 아닌 것은?
개구리밥
노랑어리연꽃
자라풀
마름
정답 : ① 개구리밥 (2015년2회)
59.
다음 중 비탈면 안전공법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배토공법과 지하수배제공법에 의한 억제공법이 있다.
비탈면에 식물을 도입하고, 피복·보호하는 방법의 총칭이다.
비교적 작은 붕괴에 대해서는 틀공법과 블록공법 등으로 보호할 수 있다.
앵커박기공법과 말뚝박기공법 등의 구조물을 사용하는 억지(抑止)공법이 있다.
정답 : ② 비탈면에 식물을 도입하고, 피복·보호하는 방법의 총칭이다. (2015년1회)
60.
다음 중 건조에 강한 저관리·경량형 옥상녹화용 식물 소재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돌나물
두메부추
은방울꽃
애기기린초
정답 : ③ 은방울꽃 (2015년1회)

경관생태학

61.
인위적인 자연적 방해 작용으로 군집의 속성이 보다 단순하고 획일화되는 천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진행적 천이
퇴행적 천이
중성 천이
건성 천이
정답 : ② 퇴행적 천이 (2015년1회)
62.

경관의 기능가 관련하여 수직적 구조를 복합적으로 표현 하는 방법 중 틀린 것은?

수직적 구조를 표현하는 방법으로는 표면 기복도와 표면적지수 등이 있다.
표면적지수는 단위면적에서 공기에 노출된 표면의 넓이로 정의할 수 있다.
단위면적에 들어가는 전체 등고선 길이는 지형의 변화정도를 표현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기복도를 나타낸다.
경관의 표면적과 표면 거칠기가 증가하면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정답 : ④ 경관의 표면적과 표면 거칠기가 증가하면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2015년1회)
63.

가장자리(edge)의 특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경관조각(patch)의 크기가 클수록 가장자리 종의 수는 감소한다.
가장자리는 생물학적 풍요의 상징이다.
가장자리에서는 높은 종 풍부도와 밀도를 나타낸다.
대체적으로 굴곡과 변화가 많아 구조가 복잡한 가장자리에서 종다양성과 생태적 잠재력이 높다.
정답 : ① 경관조각(patch)의 크기가 클수록 가장자리 종의 수는 감소한다. (2015년1회)
64.
다음 동물의 다양한 형태 움직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이주(migration) - 철새같이 계절적으로 움직이는 것
행동권 이동(home range movement) - 다른 개체군으로 서식지를 변경하는 것
돌발적 이동(eruption movement) - 갑작스런 기후 또는 환경변화로 움직이는 것
이동(dispersal) - 새로운 서식처로 움직이는 것
정답 : ② 행동권 이동(home range movement) - 다른 개체군으로 서식지를 변경하는 것 (2015년1회)
65.

원격탐사(remote sensing)의 특징에 대힌 설명 중 틀린 것은?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센서, 열적외선 센서 등 복수의 전자파를 이용하여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항공사진 크긱의 넓은 면적을 커버하기 위해서는 여러번 촬영하여야 한다.
위성의 회귀일수별로 주기적인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지상이나 항공기 등에서 관측하는 것과는 달리 위성의 종류에 따라서 수백 km2 에서 수천 km2 에이르기까지 넓은 지역에 대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정답 : ② 항공사진 크긱의 넓은 면적을 커버하기 위해서는 여러번 촬영하여야 한다. (2015년1회)
66.
다음 중 알베도(Albedo)의 정의로 맞는 것은?
생산성에서 소비되는 양을 제한 순 에너지
생태계를 통해 손실되는 에너지의 양
경관요소로 들어오는 태양에너지에 대해 반사되는 에너지의 비
토양을 통해 유입되는 에너지의 총량
정답 : ③ 경관요소로 들어오는 태양에너지에 대해 반사되는 에너지의 비 (2015년2회)
67.
다음 그림은 보호구를 도서생물지리학을 고려하여 패치의 크기, 위치, 형태로 구분하여 좋은 것(Better) / 나쁜 것(Worse)으로 분류한 것이다. 그 분류가 옳지 않은 것은?
2015년1회자연생태복원기사A형63번.gif

정답 : ④ ㄴ (2015년1회)
68.
다음 중 코리더(Corridor)의 기능이 아닌 것은?
이통통로
서식처
여과기능
모자이크
정답 : ④ 모자이크 (2015년2회)
69.
항공 탑재체에 의한 원격탐사 종류가 아닌 것은?
항공기
조류탑재기
기구 및 위성
육안관찰
정답 : ④ 육안관찰 (2015년2회)
70.
비오톱을 지속적으로 보전 관리해야 하는 이유중 하나는 그것이 한번 훼손되면 원상태로 재생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다음의 비오톱 타입 중 훼손 후 재생에 가장 오랜시간이 소요되는 것은?
부영양수역의 식생
빈영양단경초지
빈영양수역의 식물
동굴에만 서식하는 생물종
정답 : ④ 동굴에만 서식하는 생물종 (2015년2회)
71.
다음 중 가장자리 관리지침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많은 생물종에게 중요한 초본층을 식재해야 한다.
종다양성을 높이기 위해 가능한 한 외래종 중심으로 식재한다.
수평적 수직적 구조가 복합적이어야 한다.
숲 가장자리를 다른 가장자리 서식처와 연결 해야 한다.
정답 : ② 종다양성을 높이기 위해 가능한 한 외래종 중심으로 식재한다. (2015년2회)
72.
해양경관적 측면에서 해양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
암반해안 : 해파에 의한 침식해안의 한 예로서, 주로 파도의 침식작용의 결과로 형성된다.
사빈 : 여름에 해수욕장으로 이용되며, 파랑의 작용에 의하여 해안에 모래가 퇴적된 지형임
혼합갯벌 : 모래나 펄이 각각 50% 미만으로 섞여있는 퇴적물로 구성된 것을 말함
사구 : 해안사구는 육지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 양을 조절하여 해안을 보호하고, 해안의 특유한 식생이 서식하여 중요한 서식처 지역임
정답 : ③ 혼합갯벌 : 모래나 펄이 각각 50% 미만으로 섞여있는 퇴적물로 구성된 것을 말함 (2015년2회)
73.

등질지역과 결절지역을 개념적으로 구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이것은 등질지역이라 봐야하는지 결절지역이라 봐야하는지에 관해서는 종종 혼란이 있다. 이러한 혼란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지역구분의 기준이 될 수 있는 것은?

방향
공간범위
종류
연결
정답 : ② 공간범위 (2015년1회)
74.
댐건설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아닌 것은?
미기상의 변화 및 수면을 이용하는 생물이 증가한다.
식생 파괴, 동물 서식지역 감소 및 분리현상이 나타난다.
호수 안에  식생 유입이 원활하다.
유입하천의 하상이 증가한다.
정답 : ③ 호수 안에  식생 유입이 원활하다. (2015년1회)
75.
하천은 경관요소에서 코리더(Corridor)로서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한다. 다음 하천 코리더에 대한 설명 중 거리가 먼 것은?
하천은 선형(Line) 또는 대형(Strip)의 코리더로서 야생동물의 서식처 기능을 갖는다.
하천코리더는 서식처로서의 기능, 이동통로로서의 기능, 오염물질의 여과기능, 장벽의 기능, 종의 공급원 및 수요처 기능 등 생태적으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선형(Line)의 하천코리더에는 주연부종이나 일반종보다 희귀종이나 멸종위기종의 서식가능성이 높다.
하천코리더는 물, 침전물, 유기물, 영양물질등이 중력에 따라 이동함은 물론 야생동물도 일정한 행동권 범위 내에서 하천 코리더를 따라 이동한다.
정답 : ③ 선형(Line)의 하천코리더에는 주연부종이나 일반종보다 희귀종이나 멸종위기종의 서식가능성이 높다. (2015년2회)
76.
경관조각의 형태적 특성을 결정짓는 요소로 볼수 없는 것은?
굴곡성
선장성
개체군의 크기
내부면적
정답 : ③ 개체군의 크기 (2015년2회)
77.
섬생물지리학에 기반한 자연보전지구 설계지침이 아닌 것은?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보다 보존지역들이 서로 가까이 있는 경우가 낫다.
파편화되지 않은 경우가 파편화된 것보다 더 낫다.
큰 패치는 작은 패치보다 더 낫다.
전체유역, 이주로, 섭식장소(feeding grounds)등은 보전지역 내부보다 외부에 있는 것이 낫다.
정답 : ④ 전체유역, 이주로, 섭식장소(feeding grounds)등은 보전지역 내부보다 외부에 있는 것이 낫다. (2015년2회)
78.
거시적 측면에서 자연생태경관의 유형으로 볼수 없는 것은?
농촌경관
자연 산림 경관
해안경관
자연보전지역
정답 : ① 농촌경관 (2015년2회)
79.
조각 모양의 규칙성과 불규칙성을 고려하는 지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조각면적과 둘레원면적 비는 조각모양이 불규칙할수록 1에 가까워진다.
둘레 : 면적비 값은 모양이 일정하더라도 크기가 증가하면 작아진다.
둘레 : 면적비 변형지수는 불규칙한 모양에 대해서는 값이 무한대로 커진다.
프랙털 차원은 분절법, 격자법, 둘레/면적법 등으로 계산할수 있다
정답 : ① 조각면적과 둘레원면적 비는 조각모양이 불규칙할수록 1에 가까워진다. (2015년2회)
80.
다음 해양건축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해양건축물은 자연환경보전법 제5조에 "공유수면 또는 공유 수면 밑의 지하에 설치되거나 공유수면에 부유하는 조립식 가건물"로 정의되어 있다.
건축의 대상지는 연안, 수변공간이라 부르는 바다에 면한 육지, 해상, 해중, 해저 고간 등이 해당된다.
연안 및 해양에 들어서는 건축물에는 사회기반시설로서 해상공항, 항만시설물 등이 대표적이며, 해양관관ㅇ 및 레크리에이션 시설들이 있다.
해양건축물은 바다가 갖는 독특한 자연현상, 바다에서의 기상상태, 바다의 지형 등을 잘 화용하여 해양경관을 창조하는 것을 지향한다.
정답 : ① 해양건축물은 자연환경보전법 제5조에 "공유수면 또는 공유 수면 밑의 지하에 설치되거나 공유수면에 부유하는 조립식 가건물"로 정의되어 있다. (2015년1회)

자연환경관계법규

81.
가음은 습지보전법령상 국가습지심의위원회의 고성및 운영 등에 관한 사항이다.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국가습지심의위원회의 위원 중 위촉위원위 임기는 ( ㉠ ) 으로 하고, 위원장이 회의를 소집하려는 때에는 회의 개 최 ( ㉡ )까지 회의의 일시 및 심의안건을 위원회의 위 원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 2년, ㉡ 7일전
㉠ 3년, ㉡ 7일전
㉠ 3년, ㉡ 14일전
㉠ 2년, ㉡ 14일전
정답 : ② ㉠ 3년, ㉡ 7일전 (2015년2회)
82.
자연환경보전법상 용어의 정의로 거리가 먼 것은?
"자연환경의 지속가능한 이용"이라 함은 자연환경을 체계적으로 보존·보호 또는 복원하고 생물다양성을 높이기 위하여 자연을 조성하고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자연환경"이라 함은 지하·지표(해양을 제외한다) 및 지상의 모든 생물과 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비생물적인 것을 포함한 자연의 상태(생태계 및 자연경관을 포함한다)를 말한다.
"생물다양성"이라 함은 육상생태계 및 수생생태계(해양생태계를 제외한다)와 이들의 복합생태계를 포함하는 모든 원천에서 발생한 생물체의 다양성을 말하며, 종내·종간 및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한다. 
"자연생태"라 함은 자연의 상태에서 이루어진 지리적 또는 지질적 환경과 그 조건 아래에서 생물이 생활하고 있는 일체의 현상을 말한다.
정답 : ① "자연환경의 지속가능한 이용"이라 함은 자연환경을 체계적으로 보존·보호 또는 복원하고 생물다양성을 높이기 위하여 자연을 조성하고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2015년1회)
83.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상 특정도서에서 인화물질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야영을 한 자에 대한 과태료 부과기준으로 옳은 것은?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정답 : ③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2015년2회)
84.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규상 멸종위기 야생생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감돌고기
고라니
수달
참수리
정답 : ② 고라니 (2015년1회)
85.
국토기본법령상 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시·도지사가 수립하는 국토종합계획 실행을 위한 소관별 실천계획은 몇 년 단위로 작성하는 가?
5년
3년
1년
10년
정답 : ① 5년 (2015년1회)
86.
다음은 자연공원법규상 공원관리청이 규정에 의해 징수하는 점용료 등의 기준요율에 관한 사항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점용 또는 사용의 종류가 건축물 기타 공작물의 신축 · 증축 · 이축이나 물건의 야적 및 계류인 경우 기준요율 은 ( ㉠ )으로 하며, 토지의 개간인 경우 ( ㉡ )으로 한 다.
㉠ 인근 토지 임대료 추정액의 100분의 50이상
㉡ 수확예상액의 100분의 10이상
㉠ 인근 토지 임대료 추정액의 100분의 50이상
㉡ 수확예상액의 100분의 25이상
㉠ 인근 토지 임대료 추정액의 100분의 25이상
㉡ 수확예상액의 100분의 25이상
㉠ 인근 토지 임대료 추정액의 100분의 25이상
㉡ 수확예상액의 100분의 10이상
정답 : ② ㉠ 인근 토지 임대료 추정액의 100분의 50이상
㉡ 수확예상액의 100분의 25이상 (2015년2회)
87.
다음은 환경정책기본법상 용어의 정의이다.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이라 함은 사업활동 및 그 밖의 사람의 활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대기오며, 수질오염, 토양오염, 해양오염, 방사능오염, 소음·진동, 악취, 일조방해 등으로서 사람의 건강이나 환경에 피해를 주는 상태를 말한다.
환경용량
환경오염
환경파괴
환경훼손
정답 : ② 환경오염 (2015년1회)
88.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보호지역중 완충구역에서의 허용행위에 관한 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완충구역안에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규모 이하의 농림어 업인의 주택 및 종교시설의 증축 또는 개축은 허용되는 데, 여기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이하”는 1. 증축의 경우 : 종전 것을 포함하여 종전규모(연면적을 기준으로 한다)의 ( ㉠ ) 2. 개축의 경우 : 종전 것을 포함하여 종전규모(연면적을 기준으로 한다)의 ( ㉡ )
㉠ 100분의 100, ㉡ 100분의 150
㉠ 100분의 130, ㉡ 100분의 100
㉠ 100분의 150, ㉡ 100분의 100
㉠ 100분의 100, ㉡ 100분의 130
정답 : ② ㉠ 100분의 130, ㉡ 100분의 100 (2015년2회)
89.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아황산가스(SO2)의 대기환경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1시간평균치)
0.02ppm 이하
0.10ppm 이하
0.06ppm 이하
0.15ppm 이하
정답 : ④ 0.15ppm 이하 (2015년1회)
90.
농지법규상 농지 전용허가신청서에 첨부하여야할 서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해당농지의 전용이 농지개량시설 또는 도로의 폐지 변경이나 토사의 유출, 폐수의 배출, 악취의 발생 등을 수반하여 인근농지의 농업경영과 농어촌 생활환경의 유지의 피해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대체시설의 설치 등 피해방지계획서
전용하려는 농지의 소유권을 입증하는 서류(토지등기사항 증명서로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 한정한다.) 는 사용승낙서 · 사용승낙의 뜻이 기재된 매매계약서 등 사용권을 가지고 있음을 입증하는 서류
전용예정구역이 표시된 지적도 등본 또는 임야도 등본과 지형도
전용목적, 시설물의 활용계획등을 명시한 농지전용 고서
정답 : ④ 전용목적, 시설물의 활용계획등을 명시한 농지전용 고서 (2015년2회)
91.
환경정책기본법령상 대기환경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일산화탄소(CO) : 1시간 평균치 25ppm 이하
이산화질소(NO2) : 24시간 평균치 0.06ppm 이하
오존(O3) : 1시간 평균치 0.1ppm 이하
벤젠 : 연간 평균치 0.5 이하
정답 : ④ 벤젠 : 연간 평균치 0.5 이하 (2015년2회)
92.
다음은 자연공원법규상 공원계획변경시의 자연환경영향평가 대상에 관한 사항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공원관리청은 공원관리계획을 결정하거나 공원계획 중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중요사항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그 계획이 자연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미리 평가하여 이를 반영해야 하는 데, 여기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중요사항을 변경하는 경우" 란 다음의 경우이다.
1. 부지면적 (㉠) 이상 (공원자연보존지구는 5천제곱 미터이상)의 공원시설을 신성· 확대 또는 위치변경 하는 경우
2. 공원시설 중 도로·궤도 등 교통·운수시설을 (㉡)이상 신설·확장 또는 연장하는 경우
㉠ 5천5백제곱미터, ㉡ 1킬로미터
㉠ 7천5백제곱미터, ㉡ 1킬로미터
㉠ 7천5백제곱미터, ㉡ 5백미터
㉠ 5천5백제곱미터, ㉡ 5백미터
정답 : ② ㉠ 7천5백제곱미터, ㉡ 1킬로미터 (2015년1회)
93.
다음은 자연공원법상 매수청구의 절차 등에 관한 사항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공원관리청은 토지의 매수를 청구받은 날부터 (㉠) 매수대상 여부 및 매수예상가격 등을 매수 청구인에게 통보하여야 하고, 공원관리청은 이에 따라 매수대상임을 통보한 경우에는 (㉡) 매수계획을 수립하여 그 매추대상토지를 매수하여야 한다.
㉠ 2개월 이내에, ㉡ 5년 내에
㉠ 2개월 이내에, ㉡ 3년 내에
㉠ 3개월 이내에, ㉡ 5년 내에
㉠ 3개월 이내에, ㉡ 3년 내에
정답 : ③ ㉠ 3개월 이내에, ㉡ 5년 내에 (2015년1회)
94.
국토기본법령상 국토교통부장관이 국토에 관한 계획 또는 정책수립 등을 위해 행하는 국토조사 사항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그 밖에 국토해양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등은 제외)
농림·해양·수산에 관한 사항
방재 및 안전에 관한 사항
지형·지물 등 지리정보에 관한 사항
자연생태에 관한 사항
정답 : ④ 자연생태에 관한 사항 (2015년1회)
95.
국토기본법에 명시된 “ 환경친화적 국토관리”를 위하여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해야 할 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국제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국토여건을 조성함으로써 대륙과 해양을 잇는 국토의 지리적 특성이 최대한 발휘되도록 하여야 한다.
국토의 무질서한 개발을 방지하고 국민생활에 필요한 토지를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토지이용에 관한 종합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따라 국토공간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국토에 관한 계획 또는 사업을 수립 · 집행할 때에는 자연환경과 생활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고려하여야 하며,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산, 하천, 호수, 늪, 연안, 해양으로 이어지는 자연생태계를 통합적으로 관리 · 보전하고 훼손된 자연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책을 추진한다.
정답 : ① 국제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국토여건을 조성함으로써 대륙과 해양을 잇는 국토의 지리적 특성이 최대한 발휘되도록 하여야 한다. (2015년2회)
96.
환경정책기본법령상 하천에서의 "디클로로메탄"의 수질 및 수생태계 기준(mg/L)으로 옳은 것은?
(단, 사람의 건강보호 기준)
0.02 이하
0.01 이하
0.05 이하
0.008 이하
정답 : ① 0.02 이하 (2015년1회)
97.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기반시설의 분류 중 "방재시설"에 해당하는 것은?
유수지
하수도
유류저장 및 송유설비
공동구·시장
정답 : ① 유수지 (2015년1회)
98.
다음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란 법률상 용어의 뜻이다.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 )(이)란 중 토지의 이용 및 건축물의 용도, 건폐율, 용적률, 높이 등을 제한함으로써 토지를 경제적·효율적으 로 이용하고 공공복리의 증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서로 중복되지 아니하게 도시·군관리계획으로 결정하는 지역을 말한다.
용도지역
용도지구
개발밀도관리구역
용도구역
정답 : ① 용도지역 (2015년2회)
99.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령상 개발제한구역을 조정 또는 해제할 수 있는 지역과 거리가 먼 것은?
개발제한구역에 대한 환경평가 결과 보존가치가 낮게 나타나는 곳으로서 도시용지의 적절한 공급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
도로(국토교통부장관과 환경부장관이 지정하는 규모의 도로만 해당)·철도 또는 하천개수로를 설치함에 따라 생겨난 2만제곱미터의 소규모 단절토지
주민이 집단적으로 거주하는 취락으로서 주거환경 개선 및 취락정비가 필요한 지역
도시의 균형적 성장을 위하여 기바시설의 설치 및 시가화 면적 조정 등 토지이용의 합리화를 위하여 필요한 지역
정답 : ② 도로(국토교통부장관과 환경부장관이 지정하는 규모의 도로만 해당)·철도 또는 하천개수로를 설치함에 따라 생겨난 2만제곱미터의 소규모 단절토지 (2015년1회)
100.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 시행규칙상 환경부장관이 이 법에 따라 특정도서를 지정하거나 해제 · 변경한 경우에는 지정일 또는 해제 · 변경일로부터 얼마이내(기준)에 관보에 이를 고시하여야 하는가?
15일 이내
30일 이내
10일 이내
5일 이내
정답 : ② 30일 이내 (2015년2회)

 

 

자연생태복원기사 필기 기출문제를 비롯하여 더 많은 국가기술자격증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는 문제풀이닷컴 홈페이지(https://quz.co.kr/)에서 이용가능합니다.

Posted by 문제풀이닷컴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