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모델: Y = -2 + X1 + 3X2 - X3 Y: 시각적 선호도 X1: 식생지역의 경계선 길이 X2: 물과 관련된 지역의 면적 X3: 건물이 차지하는 면적 (2) 이 지역의 식생지역의 경계선 길이: 3, 물과 관련된 지역의 면적: 5, 건물이 차지하는 면적: 2
①
4
②
6
③
10
④
14
정답 : ④ 14
33.
이용 후 평가가 도입된 이후 설계 방법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생태계의 원리를 이해함을 말한다.
②
자연 및 인문환경의 철저한 분석을 의미한다.
③
기본계획 보고서 제작을 통해 바람직한 미래상의 청사진적 제시를 말한다.
④
계획수립, 집행, 결과 등을 평가를 토대로 한환류(Feedback)를 포함한 전과정을 말한다.
정답 : ④ 계획수립, 집행, 결과 등을 평가를 토대로 한환류(Feedback)를 포함한 전과정을 말한다.
34.
다음 중 레크레이션 계획의 접근 방법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자원형
②
심리형
③
행태형
④
혼합형
정답 : ② 심리형
35.
인간 행동의 움직임을 부호화한 표시법(motation symbols)을 창안하여 설계에 응용한 사람은?
①
Ian L.McHang
②
Philip Thiel
③
Laurence Halprin
④
Christopher J.Jones
정답 : ③ Laurence Halprin
36.
주차장의 주차구획 기준은 평행주차형식과 그 외의 경우로 구분된다. 평행주차형식 외의 경우 주차장의 주차구획 최소 기준이 맞는 것은?(단, 규격 표현은 너비×길이로 나타낸다.)
①
일반형: 2.5m×5.0m
②
장애인전용: 3.3m×5.0m
③
확장형: 2.8m×5.0m
④
경형: 2.1m×3.5m
정답 : ② 장애인전용: 3.3m×5.0m
37.
시몬스(J.O.Simonds)가 제시하고 있는 공간구성의 4가지 요소 중 제3차 요소에 해당하는 것은?
①
계절
②
담장
③
도로
④
수목
정답 : ④ 수목
38.
다음 중 생태·경관 보전지역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생태·경관관리보전구역
②
생태·경관핵심보전구역
③
생태·경관완충보전구역
④
생태·경관전이보전구역
정답 : ① 생태·경관관리보전구역
39.
다음 중 아파트 단지 내 울타리 조성 방법 중 자연스러운 경관, 둔덕과 조화된 추가된 높이, 한번 설치 후 유지관리비용 절감이 이점이 있는 방법은?
①
벽돌쌓기
②
수목으로 식재하기
③
목재울타리 만들기
④
콘크리트 울타리 만들기
정답 : ② 수목으로 식재하기
40.
생태연못 및 습지의 계획지침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되도록 장축 방향은 동서방향으로 배치한다.
②
호안 모양은 내부면적대비 주연길이가 큰 형태로 조성한다.
③
소형의 다수보다는 대형의 소수가 바람직하다.
④
호안 사면은 1:3 ~ 1:5 이하의 완경사를 이루도록 한다.
정답 : ③ 소형의 다수보다는 대형의 소수가 바람직하다.
조경설계
41.
다음 중 유희시설 설계 시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
①
평탄지, 경사지 등의 지형특성에 맞는 이용을 고려한다.
②
편리성, 예술성보다 안전성을 더욱 고려해야 한다.
③
놀이기구는 가능한 한 다양하게 많은 기구를 배치하도록 한다.
④
이용계층(유아, 소년 등)에 맞는 놀이시설을 배치하도록 한다.
정답 : ③ 놀이기구는 가능한 한 다양하게 많은 기구를 배치하도록 한다.
42.
조경설계기준상 『경사로 』설계 내용으로 옳은 것은?
①
휠체어 사용자가 통행할 수 있는 경사로의 유효폭은 100cm가 적당하다.
②
바닥표면은 휠체어가 잘 미끄러질 재료를 선택하고, 울퉁불퉁하게 마감한다.
③
연속경사로의 길이 50m 마다 1.2m×3m이상의 수평면으로 된 참을 설치하여야 한다.
④
지형조건이 합당한 경우 장애인 등의 통행이 가능한 경사로의 종단기울기는 1/18 이하로 한다.
정답 : ④ 지형조건이 합당한 경우 장애인 등의 통행이 가능한 경사로의 종단기울기는 1/18 이하로 한다.
43.
조경공간의 보도에 포장면 기울기 설명 중 ( )안에 알맞은 것은?
- 보도용 포장면의 종단기울기가 ( )% 이상인 구간의 포장은 미끄럼방지를 위하여 거친 면으로 마무리된 포장재료를 사용하거나 거친 면으로 마감처리 한다. - 투수성 포장인 경우에는 횡단경사를 주지 않을 수 있다.
①
2
②
3
③
4
④
5
정답 : ④ 5
44.
다음 색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파랑 계통은 한색이고, 진출색·팽창색이다.
②
파랑 계통은 난색이고, 후퇴색·팽창색이다.
③
파랑 계통은 난색이고, 진출색·팽창색이다.
④
파랑 계통은 한색이고, 후퇴색·팽창색이다.
정답 : ③ 파랑 계통은 난색이고, 진출색·팽창색이다.
45.
황금분할(golden section)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피보나치(Fibonacci) 급수와는 유사하다.
②
황금비의 항수는 1+ 또는 구형으로 작도할 수 있다.
③
황금분할 비율을 응용으로 달팽이 등의 성장곡선을 작도 할 수 있다.
④
하나의 선분을 대소 두개의 선으로 나눌 때 큰 것과 작은 것의 길이의 비가 전체와 큰 것의 길이 비와 동일하다.
정답 : ② 황금비의 항수는 1+ 또는 구형으로 작도할 수 있다.
46.
다음 중 시각적 선호를 결정짓는 변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물리적 변수
②
사회적 변수
③
상징적 변수
④
추상적 변수
정답 : ② 사회적 변수
47.
다음 설명에 적합한 혼색 방법은?
팽이나 레코드판과 같은 회전원판을 일정면적비의 부채꼴로 나누어 칠해 회전시키면, 표면의 색들은 혼색되어 하나의 새로운 색이 보이게 되며, 이 색은 밝기와 색에 있어서 원래 각 색지각의 평균값으로 나타난다.
①
색광혼색
②
감법혼색
③
중간혼색
④
병치가법혼색
정답 : ③ 중간혼색
48.
인간 척도(human scale)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인간을 기준으로 대상을 측정하는 경우를 말한다.
②
주위에 인간 척도를 가진 대상이 없는 경관은 불안감을 준다.
③
관찰자의 속도가 빠르면 세밀한 경관요소는 보이지 않는다.
④
인간보다 작은 척도가 많은 공간은 웅장해 보인다.
정답 : ④ 인간보다 작은 척도가 많은 공간은 웅장해 보인다.
49.
다음 기하학적 형태 주제 중 그 상징성과 의마가 부드러움, 혼합, 연결, 조화를 나타내는 것은?
①
45˚/90˚ 각의 형태
②
원 위의 원형
③
호와 접선형
④
원의 분할형
정답 : ③ 호와 접선형
50.
다음 환경미학과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주로 예술작품을 연구한다고 볼 수 있다.
②
미학과 환경미학의 관계는 예술가와 환경설계가의 관계로써 설명될 수 있다.
③
종합적으로 미적인 지각과 인지 및 반응에 관계되는 이론 및 응용을 종합적으로 연구한다.
④
환경미학에서도 보다 종합적인 미적경험과 반응에 관심을 두며, 현실적인 환경문제 해결을 지향한다.
정답 : ① 주로 예술작품을 연구한다고 볼 수 있다.
51.
경관분석 시 경관 통제점의 선정 기준에 적합하지 않는 것은?
①
주요 도로 및 산책로
②
이용밀도가 높은 장소
③
주변지형 중 가장 표고가 높은 곳
④
특별한 가치가 있는 경관을 조망하는 장소
정답 : ③ 주변지형 중 가장 표고가 높은 곳
52.
다음 중 조경설계기준상의 『 조경석 놓기』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①
돌을 묻는 깊이는 조경석 높이의 1/4이 지표선 아래로 묻히도록 한다.
②
단독으로 배치할 경우에는 돌이 지닌 특징을 잘 나타낼 수 있도록 관상위치를 고려하여 배치한다.
③
3석을 조합하는 경우에는 삼재미(천지인)의 원리를 작용하여 중앙에 천(중심석), 좌우에 각각 지, 인을 배치한다.
④
5석 이상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삼재미의 원리 외에 음양 또는 오행의 원리를 적용하여 각각의 돌에 의미를 부여한다.
정답 : ① 돌을 묻는 깊이는 조경석 높이의 1/4이 지표선 아래로 묻히도록 한다.
53.
할프린(halprin, 1965)에 의해서 수행된 연속적 경관구성에 관한 연구의 내용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①
건물, 수목, 지형 등의 환경적 요소를 부호화하여 기록
②
공간형태보다는 시계에 보이는 사물의 상대적 위치를 기록
③
장소 중심적인 기록 방법이며, 시각적 요소가 첨가
④
폐쇄성이 비교적 낮은 교외지역이나 캠퍼스 등에 적용이 용이
정답 : ③ 장소 중심적인 기록 방법이며, 시각적 요소가 첨가
54.
형광등 아래서 물건을 고를 때 외부로 나가면 어떤 색으로 보일까 망설이게 된다. 이처럼 조명광에 의하여 물체의 색을 결정하는 광원의 성질은?
①
색온도
②
발광성
③
연색성
④
색순응
정답 : ③ 연색성
55.
독립색재의 평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수목의 전체적인 형태가 아름답고 수피, 잎, 꽃의 색깔이나 질감이 우수하고 무게감이 있는 수목을 독립적으로 식재하는 방법을 독립식재라 한다.
②
지그재그식으로 어긋나게 식재하는 교호식재와 반원형식재, 원형식재는 열식의 응용형태로 식재 폭을 넓히기 위해 변화를 주기 위함이다.
③
군식은 식재기능에 따라 규칙적으로 수목을 배열하는 정형식 군식과 자연스런 모습의 군락을 형성하게 하는 자연형 군식을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④
자연형 군식의 기법은 양적인 식재공간을 조성하면서 엄숙하고 질서정연한 분위기를 조성할 때에 사용하는 수법으로 식재수종, 간격에 따라 군식 된 공간의 느낌이 달라질 수 있다.
정답 : ④ 자연형 군식의 기법은 양적인 식재공간을 조성하면서 엄숙하고 질서정연한 분위기를 조성할 때에 사용하는 수법으로 식재수종, 간격에 따라 군식 된 공간의 느낌이 달라질 수 있다.
56.
다음 중 자연의 이미지를 형태화하기 위한 방법에 해당하는 것은?
①
직해
②
위트
③
유사성
④
표절
정답 : ③ 유사성
57.
다음 투상도의 평면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단, 제 3각법으로 도시하였다.)
①
②
③
④
정답 : ②
58.
조경설계기준상의 쓰레기통 설치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내구성 있는 재질을 사용하거나 내구성 있는 표면마감 방법으로 설계한다.
②
각 단위공간 마다 배치할 필요는 없고, 단위 공간 몇 개를 조합하여 그 중간에 1개소 설치한다.
③
각 단위공간의 의자 등 휴게시설에 근접시키되, 보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고 수거하기 쉽게 배치한다.
④
설계 대상공간의 휴게공간·운동공간·놀이공간·보행공간과 산책로 등 보행동선의 결절점, 관리사무소·상점 등의 건물과 같이 이용량이 많은 지점의 적정위치에 배치한다.
정답 : ② 각 단위공간 마다 배치할 필요는 없고, 단위 공간 몇 개를 조합하여 그 중간에 1개소 설치한다.
59.
인공지반에 자연토양 사용 시 식재된 식물에 필요한 최소 생육 토심이 틀린 것은?(단, 배수경사는 1.5~2.0%로 한다.)
①
교목: 70cm 이상
②
소관목: 30cm 이상
③
대관목: 45cm 이상
④
잔디 및 초화류: 10cm 이상
정답 : ④ 잔디 및 초화류: 10cm 이상
60.
다음 중 경관구성 상 랜드마크(landmark)적 성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에펠탑
②
어린이대공원
③
남대문
④
피라미드
정답 : ② 어린이대공원
조경식재
61.
다음 [보기]의 특징을 갖는 수종은?
- 침엽은 2개씩 나오고 길이 6~12cm이다. - 수피는 붉은 색이고, 뿌리는 심근성이다. - 생장속도가 느린 관목성으로 악센트 식재나 유도식재 등으로 널리 사용된다. - 학명: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①
곰솔
②
금송
③
반송
④
잣나무
정답 : ③ 반송
62.
다음 벤트그라스(Bentgrasses)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
①
불완전 포복형이지만 포복력이 강한 포복경을 지표면으로 강하게 뻗는다.
②
다른 잔디류에 비하여 답압에 매우 강하여, 많이 이용될지라도 그 피해가 적은 편이다.
③
호광성 잔디로 그늘에서는 자랄 수 없으며 특히 건조한 지역에서는 자주 관수를 해 주어야 한다.
④
한지형 잔디로 여름철에는 잘 자라지 못하며 병해가 많이 발생하나 서늘할 때는 그 생육이 왕성한 편이다.
정답 : ② 다른 잔디류에 비하여 답압에 매우 강하여, 많이 이용될지라도 그 피해가 적은 편이다.
63.
거친 돌 조각물을 더욱 돋보이게 하기 위한 배경식재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큰 잎이 넓은 간격으로 소생하는 수종
②
작은 잎이 넓은 간격으로 소생하는 수종
③
작은 잎이 조밀하게 밀생하는 수종
④
잎이 크고 가시가 있는 수종
정답 : ③ 작은 잎이 조밀하게 밀생하는 수종
64.
환경영향평가 항목 중 식생 조사를 할 때 위성 데이터를 활용하면 얻을 수 있는 유리한 점이 아닌 것은?
①
광역성
②
동시성
③
사실성
④
주기성
정답 : ③ 사실성
65.
다음 중 여름(6~9월)에 꽃의 향기를 맡을 수 없는 식물은?
①
치자나무(Gardenia jasminoides)
②
함박꽃나무(Magnolia sieboldii)
③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
④
서향(Daphne odora)
정답 : ④ 서향(Daphne odora)
66.
첨가제에 의한 토양 개량공법 중 물리성의 개량 방법이 아닌 것은?
①
펄라이트 첨가
②
이탄이끼 첨가
③
수피, 톱밥 첨가
④
석회 첨가
정답 : ④ 석회 첨가
67.
다음 중 생리적 기작에서 광보상점(혹은 광포화점)이 가장 낮은 수종은?
①
버드나무
②
금송
③
무궁화
④
소나무
정답 : ② 금송
68.
벽면녹화 설계의 일반사항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벽면녹화 방법은 등반형, 하수형, 기반조성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②
에너지 절약, 구조물 보호, 반사광 방지 등의 기능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③
식물의 생육은 벽면의 방위(방향)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④
기반조성형은 식재기반으로부터 식물을 늘어뜨려 피복하는 방법이다.
정답 : ④ 기반조성형은 식재기반으로부터 식물을 늘어뜨려 피복하는 방법이다.
69.
다음 참나무속(屬) 중 잎 뒷면에 성모(星毛)가 밀생하고, 잎이 대형이며 시원하고, 야성적인 미가 있어 자연풍치림 조성에 적당한 수종은?
①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
②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③
졸참나무(Quercus serrata)
④
떡갈나무(Quercus dentata)
정답 : ④ 떡갈나무(Quercus dentata)
70.
카탈라제(catalas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탄수화물을 환원시키는 효소이다.
②
활동이 클수록 영양생장이 활발해진다.
③
세포 내 호흡작용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④
전자(electron)의 수용체 역할을 하는 특수 효소이다.
정답 : ④ 전자(electron)의 수용체 역할을 하는 특수 효소이다.
71.
흉고 직경이 10cm인 나무의 근원 직경이 흉고 직경보다 2cm 더 컸다면 이 나무의 근원부 둘레는 얼마인가?
수목의 이식 적기는 수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다음 중 이식 시기와 관련된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
①
낙엽활엽수 중 이른 봄에 개화하는 종류는 전년도의 11~12월 중에 이식을 끝마쳐야 한다.
②
가을 이식의 경우 낙엽이 진 후 아직 토양이 얼기 전의 기간을 이용할 수 있다.
③
상록활엽수는 한국과 같이 겨울이 추울 경우 휴면을 고려할 때 봄 이식 보다는 가을 이식이 유리하다.
④
가을철 낙엽이 지기 시작하는 늦가을부터 봄철 새싹이 나오는 이른 봄까지를 휴면기라고 하며, 이때가 이식적기이다.
정답 : ③ 상록활엽수는 한국과 같이 겨울이 추울 경우 휴면을 고려할 때 봄 이식 보다는 가을 이식이 유리하다.
76.
옥상정원(屋上庭圓)의 계획 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내용이 아닌 것은?
①
토양, 수목의 무게 등 하중의 계산
②
관수와 배수 그리고 방수관계
③
전체 건물의 건축계획, 구조계획, 기계설비 계획과의 상호 연관성
④
도시환경 및 기후조절 문제에의 기여성
정답 : ④ 도시환경 및 기후조절 문제에의 기여성
77.
다음 중 자연풍경식 식재 수법으로 많이 이용되는 형식은?
①
정삼각형식
②
이등변삼각형식
③
일직선의 3본형형식
④
부등변삼각형식
정답 : ④ 부등변삼각형식
78.
사고방지를 위한 식재 중 ‘명암순응식재’의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
①
중앙분리대가 넓을 경우 교목의 식재도 가능하다.
②
터널 주위의 명망을 서서히 바꿀 목적으로 식재한 것이다.
③
터널입구로부터 200~300m 구간의 노견과 중앙분리대에 낙엽교목을 식재한다.
④
터널에서의 거리에 따라 밝기를 조절하기 위해 식재밀도의 변화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 : ③ 터널입구로부터 200~300m 구간의 노견과 중앙분리대에 낙엽교목을 식재한다.
79.
식물의 줄기는 단독 또는 잎과 함께 그 모양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는데, 다음 설명은 어떤 형태인가?
잎이 육질화되어 짧은 줄기의 주위에 밑생하는 것으로서 육질의 인편이 기왓장처럼 포개진 것과 바깥쪽의 넓은 인편이 속의 것을 둘러싸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①
지하경(rhizome)
②
인경(bulb)
③
구경(corm)
④
괴경(tuber)
정답 : ② 인경(bulb)
80.
식물명명의 기본원칙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분류군의 학명은 선취권에 따른다.
②
학명은 라틴어화 하여 표기한다.
③
분류군의 명명은 표본이 명명기본이 된다.
④
식물의 학명은 동물의 학명과 관계가 있다.
정답 : ④ 식물의 학명은 동물의 학명과 관계가 있다.
조경시공구조학
81.
정지설계에서 가장 불필요한 도면은?
①
기본도
②
개념도
③
경사분석도
④
지질도와 토양도
정답 : ② 개념도
82.
일반적으로 강은 탄소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비중, 열팽창 계수, 열전도율, 비열, 전기저항 등에 영향을 미친다.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압축강도는 거의 같다.
②
굴곡성은 탄소량이 적을수록 작아진다.
③
탄소량의 증가에 따라 인장강도, 경도는 증가한다.
④
탄소량의 증가에 따라 신율, 수축율은 감소한다.
정답 : ② 굴곡성은 탄소량이 적을수록 작아진다.
83.
토지이용도별 기초유출계수의 표준값 중 표면 형태가 『잔디, 수목이 많은 공원 』에 해당하는 계수 값은?
①
0.10~0.30
②
0.05~0.25
③
0.20~0.40
④
0.40~0.60
정답 : ② 0.05~0.25
84.
포졸란(pozzolan) 반응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블리딩이 감소한다.
②
작업성이 좋아진다.
③
초기강도와 장기강도가 증가한다.
④
발열량이 적어 단면이 큰 대형 구조물에 적합하다.
정답 : ③ 초기강도와 장기강도가 증가한다.
85.
건설공사에 사용되는 『 선급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공사가 완공되어 계약한 공사대금을 발주자가 지불하는 금액이다.
②
정해진 공사기간 내에 공사를 완성하지 못했을 때 도급자가 발주자에게 납부하는 금액이다.
③
공사가 진행되면서 시공이 완성된 부분에 대해 도급자에게 주기적으로 지급하는 대금이다.
④
공사계약이 체결되었을 때 시공 준비를 위해 계약금액의 일정률을 발주자로부터 지급받는 금액이다.
정답 : ④ 공사계약이 체결되었을 때 시공 준비를 위해 계약금액의 일정률을 발주자로부터 지급받는 금액이다.
86.
건설공사의 시방서 기재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건물인도의 시기
②
재료의 종류 및 품질
③
재료에 필요한 시험
④
시공방법의 정도 및 완성에 관한 사항
정답 : ① 건물인도의 시기
87.
모멘트(momen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모멘트란 힘의 어느 한 점에 대한 회전 능률이다.
②
모멘트 작용점으로부터 힘까지의 수선거리를 모멘트 팔이라 한다.
③
회전방향이 시계방향일 때의 모멘트 부호는 정(+)으로 한다.
④
크기와 방향이 같고 작용선이 평행한 한 쌍의 힘을 우력이라 한다.
정답 : ④ 크기와 방향이 같고 작용선이 평행한 한 쌍의 힘을 우력이라 한다.
88.
조경공사 현장에서 공정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기성고 공정곡선에서 A,B,C,D의 공정현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A: 예정공정보다 실적공정이 훨씬 진척되어 있으나 공정관리의 문제점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②
B: 예정공정보다 실적공정이 다소 낮으나 허용한계 하한이내이므로 정상적인 범위에 해당한다.
③
C: 예정공정보다 실적공정이 훨씬 낮아 허용한계 하한을 벗어나므로 공정관리의 위기상황이다.
④
D: 예정공정보다 실적공정이 낮으나 허용한계 하한에 있으므로 공정관리에 최적화되어 있다.
정답 : ④ D: 예정공정보다 실적공정이 낮으나 허용한계 하한에 있으므로 공정관리에 최적화되어 있다.
89.
표준길이보다 3mm 늘어난 50m 테이프로 정사각형의 어떤 지역을 측량하였더니, 면적이 250000㎡이었다. 이 때의 실제면적은 얼마인가?
①
250030㎡
②
260040㎡
③
270050㎡
④
280040㎡
정답 : ① 250030㎡
90.
그림과 같이 외팔보에 하중이 작용할 때 전단력선도로 옳은 것은?
①
②
③
④
정답 : ②
91.
다음 그림에서와 같은 평행력에 있어서 P1, P2, P3, P4의 협력의 위치는 O점에서의 몇 m 거리에 있겠는가?
①
5.4m
②
5.7m
③
6.0m
④
6.4m
정답 : ③ 6.0m
92.
수목 식재공사에서 지주목을 설치하지 않는 기계시공은 식재품의 몇 %를 감하는가?
①
10%
②
20%
③
25%
④
30%
정답 : ② 20%
93.
어느 지역 토양의 공극률(porosity) 측정을 위해 토양 60cm3을 채취하여 고형입자 부피와 수분 부피를 측정하였더니 각각 36cm3와 12cm3였다. 이 직역 토양의 공극률(%)은?
①
10%
②
20%
③
30%
④
40%
정답 : ④ 40%
94.
면적을 계산하는 구적기(Planimeter)의 사용 방법으로 틀린 것은?
①
구적계의 상수를 미리 계산하는 것이 좋다.
②
상하좌우의 이동이 비슷하게 평면을 잡는 것이 좋다.
③
이론적으로 많은 회수의 측정을 할수록 계산이 정확해진다.
④
정방형보다는 세장한 곡선부의 측정에서 정밀도가 높아진다.
정답 : ④ 정방형보다는 세장한 곡선부의 측정에서 정밀도가 높아진다.
95.
등고선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강우 시 배수방향은 등고선에 수직방향이다.
②
기존등고선은 실선, 계획등고선은 점선으로 표시한다.
③
환경사지에서는 등고선 사이의 수평거리가 일정하다.
④
요(, Concave) 경사지에서는 높은 쪽으로 갈수록 등고선 사이의 수평거리가 더 넓다.
정답 : ① 강우 시 배수방향은 등고선에 수직방향이다.
96.
한중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저열시멘트를 사용하는 것을 표준으로 한다.
②
재료를 가열할 경우, 물 또는 시멘트를 가열하는 것으로 한다.
③
물-시멘트 비가 작아지기 때문에, AE감수제 사용을 가급적 피해야 한다.
④
타설할 때의 콘크리트 온도는 구조물의 단면치수, 기상조건 등을 고려하여 5~20℃의 범위에서 정한다.
정답 : ④ 타설할 때의 콘크리트 온도는 구조물의 단면치수, 기상조건 등을 고려하여 5~20℃의 범위에서 정한다.
97.
어느 토양 구조의 양단면적이 A1=100㎡, A2=200㎡이고, 중앙단면적은 120㎡이다. 양단면간의 거리 L=10m일 때, 양단면적평균법(Q), 중앙단면적법(W), 각주공식(E)에 의한 토적(㎥)의 조합으로 옳은 것은?
①
Q: 1200, W: 1300, E: 1400
②
Q: 1300, W: 1400, E: 1500
③
Q: 1400, W: 1300, E: 1600
④
Q: 1500, W: 1200, E: 1300
정답 : ④ Q: 1500, W: 1200, E: 1300
98.
미국농무부 기준의 거친 모래(조사) 굵기는?
①
0.05~0.002mm
②
0.1~0.05mm
③
1~0.5mm
④
2.0~1.0mm
정답 : ③ 1~0.5mm
99.
배수관망의 부설방법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배수관내의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해 가급적 등고선과 직교하지 않게 부설한다.
②
배수지역이 광대하여 배수관망을 한 곳으로 집중시키기 곤란할 경우 방사식 관망부설법을 사용한다.
③
지선을 다수 배치하여 처리하는 것보다 간선을 많이 배치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④
지형에 순응하여 자연 유하선을 따라 관을 부설한다.
정답 : ③ 지선을 다수 배치하여 처리하는 것보다 간선을 많이 배치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100.
벽돌 외벽 시공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가로줄눈의 충전도
②
모르타르의 접착강도
③
세로줄눈의 충전도
④
벽체의 수직·수평도
정답 : ③ 세로줄눈의 충전도
조경관리
101.
질산태질소 화합물에 산성비료를 배합하면 이 때의 반응은?
①
질산으로 휘발된다.
②
조해성이 증가된다.
③
암모니아로 휘발된다.
④
암모니아로 환원된다.
정답 : ① 질산으로 휘발된다.
102.
토양의 질산화작용(nifrifica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토양 중에서 주로 미생물이나 고등식물에 의하여 일어난다.
②
광질산화작용은 미생물에 의한 작용없이 화학적 작용에 의한 것이다.
③
질산화작용은 수분함량이 과도할 때 왕성하며, 공기의 유통이 좋을 때 저해된다.
④
토양 중 또는 비료로서 토양에 사용되는 암모늄태질소가 산화되어 질산태질소로 변하는 것이다.
정답 : ③ 질산화작용은 수분함량이 과도할 때 왕성하며, 공기의 유통이 좋을 때 저해된다.
103.
다음 중 회양목명나방의 설명이 틀린 것은?
①
유충이 거미줄을 토하여 잎을 묶고 그 속에서 잎을 식해한다.
②
포식성 천적인 무당벌레류, 풀잠자리류, 거미류 등을 보호한다.
③
연 2회 발생하나 3회 발생하기도 하며, 유충으로 월동한다.
④
대개 10월 상순경부터 피해가 심하게 나타나며 가해부위에서 번데기가 된다.
정답 : ④ 대개 10월 상순경부터 피해가 심하게 나타나며 가해부위에서 번데기가 된다.
104.
주요 조경시설의 대표적인 중요 관리항목과 보수방법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①
표지판 - 도장의 퇴색 - 재도장
②
음수전 - 배수구의 막힘 - 이물질 제거
③
휴지통 - 수거 횟수 및 수거차량의 선정 - 수거계획의 수립
④
벤치, 야외탁자 - 주변의 물고임 방지 - 포장재료의 교체
정답 : ④ 벤치, 야외탁자 - 주변의 물고임 방지 - 포장재료의 교체
105.
농약의 사용법에 의한 약해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근접살포에 의한 약해
②
동시 사용으로 인한 약해
③
불순물 혼합에 의한 약해
④
섞어 쓰기 때문에 일어나는 약해
정답 : ③ 불순물 혼합에 의한 약해
106.
공사 현장에서의 부주의에 의한 사고방지대책 중 정신적 대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적성 배치
②
스트레스 해소 대책
③
주의력 집중훈련
④
표준작업의 습관화
정답 : ④ 표준작업의 습관화
107.
수목관리를 할 때에 수형의 전체 모양을 일정한 양식에 따라 다듬는 작업은?
①
정자(整姿, trimming)
②
정지(整枝, training)
③
전제(剪除, trailing)
④
전정(剪定, pruning)
정답 : ① 정자(整姿, trimming)
108.
다음 설명하는 파손의 형태는?
아스팔트량의 과잉이나 골재의 입도불량 즉, 아스팔트 침입도가 부적합한 역청재료를 사용하였을 때 나타나며 연질의 아스팔트 사용 및 텍코트의 과잉 사용 때 발생한다.
①
균열
②
국부적 침하
③
박리
④
표면연화
정답 : ④ 표면연화
109.
주민참가에 의한 공원관리 활동 내용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제초, 청소작업
②
사고, 고장 등을 관리주체에 통보
③
레크레이션 행사의 개최
④
전정, 간벌작업
정답 : ④ 전정, 간벌작업
110.
다음 설명의 ( )안에 적합한 용어는?
잡초 개개종의 ( )는 상대적 개체수와 상대적 건물중을 합하여 2로 나눈 값이다.
①
우점도
②
다양도
③
유사도
④
비유사성계수
정답 : ① 우점도
111.
잔디 녹병(Rust)의 방제대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토양 산성화를 방지할 것
②
Rough지역에 잔디의 적정예초 높이를 지킬 것
③
배수를 개선하고 질소질 비료를 균형 시비 하도록 할 것
④
예초된 잔디와 장비(mower) 등을 통한 전염을 예방할 것
정답 : ① 토양 산성화를 방지할 것
112.
옥외 레크레이션 관리체계에서 주요 기능의 부체계 관리요소가 될 수 없는 것은?
①
시설관리(facility management)
②
자원관리(resouce management)
③
이용자관리(visitor management)
④
서비스관리(service management)
정답 : ① 시설관리(facility management)
113.
화학적 반응 및 현상에 의한 토양질소의 변동 과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탈질작용(denitrification)
②
부동화작용(immobilization)
③
질산화작용(nifrification)
④
세탈작용(washing-out)
정답 : ④ 세탈작용(washing-out)
114.
수목의 병해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
①
자낭균에 의한 빗자루병은 벚나무류는 걸리지 않는다.
②
그을음병은 진딧물이나 깍지벌레의 배설물에 곰팡이가 기생하여 생긴다.
③
포플러 잎 녹병은 5~6월에 여름포자가 발생하여 8월 말까지 계속 반복 전염된다.
④
잣나무털녹병은 병든 가지나 줄기 수피는 노란색 또는 갈색으로 변하면서 부푼다.
정답 : ① 자낭균에 의한 빗자루병은 벚나무류는 걸리지 않는다.
115.
다음 중 조경작업장에서 기계사용 관련 재해 발생 시 조치 순서 중 긴급처리의 내용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현장보존
②
잠재위험요인 적출
③
재해자의 응급조치
④
관련 기계의 정지
정답 : ② 잠재위험요인 적출
116.
미끄럼판에 사용되는 F.R.P 제품의 일반적 성질 중 물리적 성질이 아닌 것은?
①
내열성
②
압축강도
③
인장강도
④
내약품성
정답 : ④ 내약품성
117.
다음 특징의 병해가 주로 발생하는 수목은?
- 병에 걸린 잎 모습이 마치 불에 구어 부풀어 오른 찰떡과 같다고 해서 ‘떡병 ’이라 한다. - 나무의 건강에 피해 주기보다 주로 미관에 해를 주어 미관훼손 식물병이다. - 5월 초순경부터 어린잎, 새순, 꽃망울의 일부 또는 전체가 두껍게 부풀어 오르면서 부드러운 다육질 혹을 만드는데, 그 모양은 불규칙하며 일정하지 않다.
①
철쭉
②
개나리
③
사철나무
④
느티나무
정답 : ① 철쭉
118.
다음 중 유희시설과 관련된 설명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①
이용자를 고려하여 정적인 놀이시설과 동적인 놀이시설은 함께 배치하여 관리한다.
②
유희시설의 면모서리, 구석모서리는 둥글게 처리하거나 모따기를 한다.
③
그네, 회전무대 등 충돌의 위험이 많은 시설은 보행동선과 놀이동선이 상충 되거나 가로지르지 않도록 배치한다.
④
시설조립에 사용되는 긴결재는 규정된 도구로만 해체가 가능해야 한다.
정답 : ① 이용자를 고려하여 정적인 놀이시설과 동적인 놀이시설은 함께 배치하여 관리한다.
119.
지주목 관리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
①
결속 끈은 탄력성이 있는 것으로 하고, 일정한 주기로 고쳐 묶기를 해야 한다.
②
가로수 지주목의 횡목(橫木)은 차도와 평행하게 설치하는 것이 좋다.
③
지주목 자체도 통일미와 반복미를 가지므로 재료와 규격을 통일하는 것이 좋다.
④
인공지반에 식재하는 수고 1.2m 이상의 수목은 활착 및 지반의 안정을 위해 1년 후 지지시설을 철거하여야 한다.
정답 : ④ 인공지반에 식재하는 수고 1.2m 이상의 수목은 활착 및 지반의 안정을 위해 1년 후 지지시설을 철거하여야 한다.
120.
조경운영 관리방식 중 직영방식과 비교한 도급방식의 단점에 해당하는 것은?
①
인사정체가 되기 쉽다.
②
전문가를 합리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③
인건비가 필요 이상으로 들게 된다.
④
책임의 소재나 권한의 범위가 불명확하게 된다.
정답 : ④ 책임의 소재나 권한의 범위가 불명확하게 된다.
조경기사 기출문제를 비롯하여 더 많은 국가기술자격증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는 문제풀이닷컴 홈페이지(https://quz.co.kr/)에서 이용가능합니다.
정답 : ③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혼합률을 시멘트 중량에 대하여 70% 정도 혼합한 경우 중성화 속도가 보통콘크리트의 1/2정도로 감소된다.
92.
다음 조건을 참고하여 양단면평균법을 사용한 체적은?
A면 각 변 길이 : 7m X 8m
B면 각 변 길이 : 9m X 10m
양단면간의 거리 : 12m
①
568㎥
②
876㎥
③
1136㎥
④
1752㎥
정답 : ② 876㎥
93.
다음 광원(光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백열등 : 광색이 따뜻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휴식공간 조명에 적당하다.
②
형광등 : 관 내벽의 형광물질로 자외선을 발생시켜 빛을 얻으며 광색이 차다.
③
나트륨등 : 적색을 띤 독특한 광색으로 열효율이 낮고 투시성이 수은등에 비하여 낮다.
④
수은등 : 수은증기압을 고압으로 가압하여 고효율의 과원을 얻으며, 큰 광속(光束)으로 가로 조명에 적합하다.
정답 : ③ 나트륨등 : 적색을 띤 독특한 광색으로 열효율이 낮고 투시성이 수은등에 비하여 낮다.
94.
다음 배수관거와 관련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원형관이 수리학상 유리하다.
②
관거의 매설깊이는 동결심도와 상부하중을 고려한다.
③
배수관거의 유속은 1.0 ~ 1.8m/sec가 이상저이다.
④
관거는 간선과 지선이 90˚ 일 때 배수효과가 가장 좋다.
정답 : ④ 관거는 간선과 지선이 90˚ 일 때 배수효과가 가장 좋다.
95.
미장용 정벌 바르기 또는 벽돌쌓기 줄눈 용도로 많이 사용되는 모르타르의 적합한 용적배합비는?
①
1:4
②
1:2
③
1:3
④
1:4
정답 : ③ 1:3
96.
그림과 같은 기둥에서 유효좌굴깊이는?
①
0.5L
②
0.7L
③
1.0L
④
2.0L
정답 : ① 0.5L
97.
다음 중 횡선식 공정표(Bar Chart)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①
복잡한 공사에 사용된다.
②
주공정선의 파악이 힘들어 관리통제가 어렵다.
③
각 공종별 공사와 전체의 공사시기 등이 알기 쉽다.
④
각 공종별의 상호관계, 순서 등이 시간과 관련성이 없다.
정답 : ① 복잡한 공사에 사용된다.
98.
변재(邊材)와 심재(心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수심에 가까운 부위가 변재이다.
②
심재보다 변재가 내후성이 작다.
③
일반적으로 심재는 변재에 비해 강도가 강하다.
④
변재는 심재보다 비중이 적으나 건조하면 변하지 않는다.
정답 : ① 수심에 가까운 부위가 변재이다.
99.
식물의 관수량을 결정하는 요소와 관계가 가장 먼 것은?
①
토양의 침투율(浸透率)
②
토양의 포장용수량(圃場容水量)
③
토양의 위조함수량(萎凋含水量)
④
토양의 유효수분함량(有效水分含量)
정답 : ③ 토양의 위조함수량(萎凋含水量)
100.
다져진 후 토량이 40000㎥, 성토에서 원지반 토량이 25000㎥일 때 흐트러진 상태의 토량은 몇 ㎥이 필요한가? (단, 토량변화율은 L1.30, C=0.85 이다.)
①
1153.85
②
11700
③
22950
④
28676.47
정답 : ④ 28676.47
조경관리
101.
해충의 구제 방법들 중 기계적 방제법에 해당 하는 것은?
①
인공포살(人工捕殺)
②
온도(溫度)처리법
③
접촉살충제살포(接觸殺蟲濟撒布)
④
기생봉(寄生蜂) 이용
정답 : ① 인공포살(人工捕殺)
102.
다음 조경시설물에 보수의 목표(보수시기)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원로, 광장의 아스팔트 포장 균열 보수 : 전면적의 15 ~ 20%의 함몰이 생길 때 (3~5년)
②
원로, 광장의 평판 교체 : 파손장소가 눈에 띌 때(2년)
③
시소의 베어링 보수 : 베어링이 마모되어 삐걱 삐걱 소리가 날 때 (3~4년)
④
목재 벤치의 좌판보수 : 전체의 20% 이상 파손, 부식이 생길 때(5~7년)
정답 : ③ 시소의 베어링 보수 : 베어링이 마모되어 삐걱 삐걱 소리가 날 때 (3~4년)
103.
다음 중 병환부에 직접 살균제를 살포하여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병이 아닌 것은?
①
흰가루병
②
잿빛공팡이병
③
녹병
④
시들음병
정답 : ④ 시들음병
104.
재해원인 분석방법의 통계적 원인분석 중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은?
사고의 유형, 기인물 등 분류항목을 큰 순서대로 도표화한다.
①
관리도
②
파레토도
③
크로스도
④
특성 요인도
정답 : ② 파레토도
105.
조경석 쌓기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경관적 목적 또는 구조적 목적으로 조경석을 쌓아 단을 조성하는 경우에 적용한다.
②
가로쌓기는 설계도면 및 공사시방서에 명시가 없을 경우 높이가 1.5m 이하일 때에는 찰쌓기로 1.5m 이상인 경우와 상시 침수되는 연못, 호수 등은 메쌓기로 한다.
③
뒷부분에는 고임돌 및 뒤채움돌을 써서 튼튼하게 쌓아야 하며, 필욯에 따라 중간에 뒷길이가 0.6~0.9m 정도의 돌을 맞물려 쌓아 붕괴를 방지한다.
④
사전에 지반을 조사하여 연약지반은 말뚝박기 등으로 지반을 보강하고 필요한 경우 콘크리트나 잡석 등으로 기초를 보완하는 등 하중에 의한 침하를 방지하여야 한다.
정답 : ② 가로쌓기는 설계도면 및 공사시방서에 명시가 없을 경우 높이가 1.5m 이하일 때에는 찰쌓기로 1.5m 이상인 경우와 상시 침수되는 연못, 호수 등은 메쌓기로 한다.
106.
운영관리계획 중 양적인 변화에 대응한 관리는?
①
개방된 토양면의 확보로 양호한 수분과 토양 조건을 구축
②
자연 발아된 식생의 증식과 생육에 따른 과밀식생의 이식, 벌채
③
조경공간의 구조적 개량으로 경관관리와 야호한 생태계의 확보
④
레크레이션적 기능에서 어메니티 기능중심으로 구조적 변화
정답 : ② 자연 발아된 식생의 증식과 생육에 따른 과밀식생의 이식, 벌채
107.
레크리에이션 관리의 내용이 아닌 것은?
①
집약적 시설의 제공
②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 방지
③
접근성이 필수적인 활동 허용
④
개인 또는 소집단에 필요한 활동 허용
정답 : ②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 방지
108.
그네, 시소 및 미끄럼틀과 관련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그네 줄 상단의 베어링은 좌우로 흔들리지 않아야 하며 회전에 의해 풀리지 않도록 풀림방지 너트로 고정하고 마모 시에 교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②
미끄럼틀 미끄럼판의 기울기 각도는 설계도면의 기준을 따르고 활주면은 요철이 없으며 미끄러워야 한다.
③
미끄럼틀 최종 활주면은 모래판 및 지면에서 0.6m 미만으로 이격시키고, 활주면 최하단의 앉음판은 0.3m 이상으로 한다.
④
시소의 좌판이 지면에 닿는 부분에 중고 타이어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충격을 줄여야 하며 마모가 심하여 철선이 노출되거나 찢어진것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정답 : ③ 미끄럼틀 최종 활주면은 모래판 및 지면에서 0.6m 미만으로 이격시키고, 활주면 최하단의 앉음판은 0.3m 이상으로 한다.
109.
수목에 시비하는 방법 중 토양 내 시비하는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엽면시비법
②
방사상시비법
③
전면시비법
④
선상시비법
정답 : ① 엽면시비법
110.
다음과 같은 피해현상을 보이는 해충은?
어린 유충은 초본의 줄기 속을 식해하지만 성장한 후에는 나무로 이동하여 수피와 목질부 표면을 환상(環狀)으로 식해하면서 거미줄을 토하여 벌레똥과 먹이 잔해물을 피해부위 바깥에 처리하므로 혹 같아 보인다. 처음에는 인피부를 고리모양으로 식해하지만, 이어 줄기의 중심부로 먹어 들어가며 위와 아래로 갱도를 뚫으면서 식해한다.
①
미국흰불나방
②
참나무재주나방
③
천막벌레나방
④
박쥐나방
정답 : ④ 박쥐나방
111.
잔디초지의 예촌높이는 토양표면으로부터 예초될 잔디의 높이를 말하는데 이를 지배하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잔디의 생육형
②
토양수분
③
해충의 종류
④
잔디의 이용형태
정답 : ③ 해충의 종류
112.
수목관리와 비교한 수림지 관리만의 고유특성이라 분류하기 어려운 것은?
①
천연갱신의 유도
②
생태적 복원력에 의지
③
정상천이계열의 존중
④
수목생장에 따른 보식 및 갱신
정답 : ④ 수목생장에 따른 보식 및 갱신
113.
근로자 2000명이 1일 9시간씩 연간 300일 작업하는 A시설물 제작 작업장에서 1명의 사망자와 의사진단에 의한 60일의 휴업일수를 가져왔다. 이 사업장의 강도율은 약 얼마인가?
①
1.21
②
1.40
③
1.57
④
1.84
정답 : ② 1.40
114.
다음 중 옹벽의 변화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아닌 것은?
①
이음새의 어긋남
②
구조체의 균열
③
침하 및 부등 침하
④
기초의 강도 저하
정답 : ④ 기초의 강도 저하
115.
빛의 조절이나 통제가 용이하며 색채연출이 우수하고, 고출력의 높은 전압에서만 작동이 가능한 옥외 조명의 광원은?
①
나트륨등
②
수은등
③
백열등
④
금속 할로겐등
정답 : ④ 금속 할로겐등
116.
식물생육에 필요한 양분 중에서 공기로부터 얻을 수 있는 필수원소는?
①
P
②
K
③
Ca
④
C
정답 : ④ C
117.
그 자체만으로는 약효가 없으나 농약제품에 첨가할 경우 농약의 약효에 대해 상승작용을 나타내는 보조제는?
①
협력제
②
유화제
③
유기용제
④
증량제
정답 : ① 협력제
118.
벚나무 빗자루병의 병원체가 속하는 분류 그룹은?
①
자낭균
②
난균
③
담자균
④
불완전균
정답 : ① 자낭균
119.
지롯가 0.5%인 퇴비(이용율 20%) 40톤 중에 유효한 지롯량은 몇 kg 인가?
①
10
②
20
③
30
④
40
정답 : ④ 40
120.
콘크리트 포장 보수를 위한 패칭(patching) 공법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포장의 파손 부분을 쓸어낸다.
②
깨끗이 쓸어낸 뒤 텍코팅 한다.
③
슬래브 및 노반의 면 고르기를 한다.
④
필요기간 동안 충분히 양생작업을 한다.
정답 : ② 깨끗이 쓸어낸 뒤 텍코팅 한다.
조경기사 기출문제를 비롯하여 더 많은 국가기술자격증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는 문제풀이닷컴 홈페이지(https://quz.co.kr/)에서 이용가능합니다.
문제풀이닷컴에 입력되어 있는 기출문제 자료들를 활용하여 조경기사 필기 자격증 기출문제를 랜덤(무작위)하게 뽑아내었습니다.
각 문제 하단에 버튼을 클릭하면 정답 및 해당문제의 출제년도 및 회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타 및 오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알려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채점 및 결과 확인 기능은 블로그에서는 어려우니 홈페이지(https://quz.co.kr/)에서 문제풀이를 이용하시면 확인가능합니다.
조경기사 필기 시험과목은 " 조경사, 조경계획, 조경설계, 조경식재, 조경시공구조학, 조경관리 " 총 6 과목으로 되어 있으며 과목당 40점이상,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아래 링크(문제풀이닷컴홈페이지)에서는 조경기사 기출문제 문제풀이를 회차별 또는 랜덤으로 회원가입등이 없이 문제풀이를 맘껏 풀이 해볼수 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조경기사 필기
조경사
1.
회유식 정원을 기본으로 하여 경도풍(京都風)의 경원에 자연풍(自然風)의 기법을 가미하여 꾸며 졌으며, 중국적인 조경요소인 소여산(小廬山) · 원월교(圓月橋) · 서호제(西湖堤)가 배치되어 있는 일본 정원은?
①
수학원 이궁(修學院離宮)의 상다옥원(上茶屋園)
②
육의원(六義園)
③
대선원(大仙院) 서원
④
소석천 후락원(小石川 後樂園)
정답 : ④ 소석천 후락원(小石川 後樂園) (2009년2회)
2.
정원양식에 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이탈리아 노단건축 양식은 경사진 지형을 활용하여 조망 경관을 중요시 하였다.
②
영국 자연풍경식 정원은 풍경화와 당대 문학 작품 및 중국의 영향을 받았다.
③
프랑스 평면기하학식 양식은 이탈리아의 영향과는 관련이 없다.
④
파티오가 발달한 곳은 스페인이다.
정답 : ③ 프랑스 평면기하학식 양식은 이탈리아의 영향과는 관련이 없다. (2016년2회)
3.
통일신라시대의 대표적 산지사찰인 화엄사(華嚴寺)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계곡의 방향과 일치하는 동서축선을 기준으로 한 점
②
대웅전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이 아닌 점
③
입체적으로 형성된 공간구성
④
회랑이 없는 점
정답 : ① 계곡의 방향과 일치하는 동서축선을 기준으로 한 점 (2012년4회)
4.
양산보의 소쇄원(瀟灑園)의 성격과 거리가 먼 것은?
①
방지방도(方池方島)형
②
석가산 수법
③
직선적인 단상(段狀)처리
④
계류중심의 위락공간
정답 : ① 방지방도(方池方島)형 (2012년1회)
5.
양화소록(養花小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인제(仁齊)가 양화(養花)하는 목적은 단순한 흥미를 충족시키는 것이 아니라 화목에서 뜻을 찾고 수심양성하려는데 있다.
②
농가생활에 필요한 경작법이 기록된 하나의 백과사전이다.
③
대표적인 조경관련 저술서로 정원식물의 특성과 번식법 등이 설명되어 있다.
④
조선 세조 때 출간되었다.
정답 : ② 농가생활에 필요한 경작법이 기록된 하나의 백과사전이다. (2009년1회)
6.
동양의 조경 관련 옛 문헌과 저자의 연결이 틀린 것은?
①
귤준망 - 작정기
②
문진형 - 장물지
③
서유구 - 임원경제지
④
소굴원주 - 축산정조전
정답 : ④ 소굴원주 - 축산정조전 (2017년1회)
7.
현대어인 “Garden” 이란 낱말을 히브리어(the Hebrew)로 분석했을 때 가장 옳게 표현된 것은?
①
채소와 과일나무를 심은 실용적이면서도 관상 목적을 지닌 뜰이다.
②
고대 서부아시아에서 조성된 공중정원을 의미한다.
③
옛날 메소포타미아 지방의 왕들이 조영한 수렵지(Park)이다.
④
정신적인 즐거움과 기쁨을 주기 위하여 울타리로 둘러싼 토지를 의미한다.
정답 : ④ 정신적인 즐거움과 기쁨을 주기 위하여 울타리로 둘러싼 토지를 의미한다. (2015년1회)
8.
고대 로마에서 규모가 큰 집에 5점식재나 화초와 관목의 군식 또는 과수원과 소채원 등이 꾸며진 후원은?
①
아트리움(atrium)
②
클로이스터 가든(cloister garden)
③
지스터스(xystus)
④
페리스틸리움(peristylium)
정답 : ③ 지스터스(xystus) (2009년2회)
9.
보길도 윤선도 원림 낙서재에 위치한 지형지물로 고산의 시에 언급된 사령의 하나인 것은?
①
월암
②
칠암
③
석양
④
귀암
정답 : ④ 귀암 (2016년2회)
10.
고대 그리스 아도니스원(Adonis Garden)은 어느 정원 형태의 원형인가?
①
중세의 수도원 정원
②
옥상정원
③
파티오(patio)식 정원
④
고대 로마의 페리스틸리움
정답 : ② 옥상정원 (2012년2회)
11.
다음 중 발굴 조사를 통해 밝혀진 경주 동궁월지(안압지)의 조경 수법은?
①
연못은 큰 섬에서는 모래를 사용한 평정고산수 수법으로 꾸몄다.
②
넓은 바다를 연상할 수 있도록 조성하였고, 수위(水位)를 조절하였다.
③
회유식(回遊式) 정원의 수법을 도입하여 산책로의 기능을 강화하였다.
④
좌우 대칭의 기하학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정답 : ② 넓은 바다를 연상할 수 있도록 조성하였고, 수위(水位)를 조절하였다. (2015년2회)
12.
조선의 능(陵)은 자연의 지세와 규모에 따라 봉분의 형태가 다른데 가장 관계가 먼 것은?
①
향궐망배
②
우왕좌비
③
국조의례의
④
상왕하비
정답 : ① 향궐망배 (2015년2회)
13.
일본의 작정기(作庭記)가 쓰여진 연대에 일본에서 유행하던 정원양식은?
①
정토정원
②
고산수정원
③
침전조정원
④
임천식정원
정답 : ③ 침전조정원 (2016년1회)
14.
티볼리의 빌라 데스테 (Villa d’Este of Tivoli)의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리고리오(Pirro Ligorio)는 근본적으로 명확한 중심축선을 따른 일련의 테라스를 빌라의 기념적 매스(mass)에 이르게 하였다.
②
최저노단의 네 개의 연못들 뒤에는 짙푸른 감탕나무의 총림이 자리잡아 다시 명암의 대비를 이룬다.
③
6개의 테라스 가든으로 만들었고 각 테라스는 화강석 계단으로 연결하였다.
④
성관(城館) 자체는 매우 간소하고 평범한 전원형 별장이다.
정답 : ③ 6개의 테라스 가든으로 만들었고 각 테라스는 화강석 계단으로 연결하였다. (2015년2회)
15.
광주 경렴정(景濂亭) 별서정원과 관련 없는 것은?
①
탁광무가 조성하였다.
②
조선시대 조성된 별서정원이다.
③
뜰에는 채소원이 조성되어 있다.
④
연못 안에 섬을 만들었다.
정답 : ② 조선시대 조성된 별서정원이다. (2014년1회)
16.
다음 중 고대 로마의 공공광장(公共廣場)인 포름(Forum)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기념비적이고 초인간적 스케일을 적용하였다.
②
사람들이 많이 모이기에 교역의 장소로 발달하였다.
③
지배계급을 위한 상징적 공간이다.
④
그리스의 아고라와 같은 대화의 광장이다.
정답 : ② 사람들이 많이 모이기에 교역의 장소로 발달하였다. (2011년4회)
17.
도시의 문제점들을 시간, 위치 규모의 관점에서 잘 예측하고, 인식하여 이루어진 근대 도시공원 계획은?
①
에르메농빌르(Ermenonville)계획
②
그린스워드(Greensward)계획
③
시뵈베르(Schwobber)계획
④
파라다이스(Paradise)계획
정답 : ② 그린스워드(Greensward)계획 (2011년4회)
18.
백제 정림사지(址)에 관한 설명 중 가장 관계가 먼 것은?
①
원내 방지의 도입
②
5층 석탑을 배치
③
1탑 1금당식
④
구릉지 남사면에 위치
정답 : ④ 구릉지 남사면에 위치 (2016년2회)
19.
경복궁 교태전 후원의 아미산과 관련 없는 것은?
①
아미산은 중국 선산(仙山)의 이름을 따옴
②
커다란 흰 바탕의 직사각형에 길상의 세계인 십장생이 조각된 굴뚝 배치
③
장대석으로 축조된 화계
④
향원지를 파낸 흙으로 만든 인공산
정답 : ④ 향원지를 파낸 흙으로 만든 인공산 (2014년4회)
20.
스페인의 알함브라 궁원의 파티오 중 가장 규모가 작고, 바닥은 자갈로 무늬가 그려져 있으며 구석진 자리에 4그루의 사이프레스가 심어져 있는 곳은?
①
사자의 파티오(Count of Lions)
②
다라하의 파티오(Patio de Daraxa)
③
레하의 파티오(Patio de la Reja)
④
연못의 파티오(Count of the Myrtles)
정답 : ③ 레하의 파티오(Patio de la Reja) (2016년4회)
조경계획
21.
다음 [보기]의 설명에 해당하는 곳은?
[보기] - 갓길, 비탈면, 노반에 이르기까지 적극적인 조경을 하고 야간운행에 유리하도록 시설을 설치해야 한다. - 주위의 경관과 독특하게 뛰어나는 녹지를 유도하되 균질성을 갖도록 한다. - 시계보다 아래에 시설물을 설치하고 시선의 높이에는 수평적인 경관이 유도되도록 한다.
①
산지 직선부
②
평지 직선부
③
평지 곡선부
④
시가지 곡선부
정답 : ③ 평지 곡선부 (2015년2회)
22.
자연휴양림의 조성과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시·도지사는 관련 규정에 따라 자연휴양림조성계획을 승인한 때에는 산림청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②
자연휴양림으로 지정된 산림에 휴양시설의 설치 및 숲 가꾸기 등을 하고자 하는 자는 농림축산식품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휴양시설 및 숲가꾸기 등의 조성계획을 작성하여 시·도지사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③
자연휴양림을 조성하는 경우에는 「산지기본법」관련 규정에 따라 산지전용신고를 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 30일 이내에 신고한다.
④
신림청장은 자연휴양림조성계획에 따라 자연휴양림을 조성하는 자에게 그 사업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보조하거나 융자할 수 있다.
정답 : ③ 자연휴양림을 조성하는 경우에는 「산지기본법」관련 규정에 따라 산지전용신고를 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 30일 이내에 신고한다. (2017년1회)
23.
『자연공원법』 상의 공원용도지구 중 “공원자연보존지구의 완충공간(緩衝空間)으로 보전할 필요가 있는 지역”은?
①
공원자연환경지구
②
공원집단시설지구
③
공원문화유산지구
④
공원밀집취락지구
정답 : ① 공원자연환경지구 (2015년4회)
24.
도시·군계획 수립 대상지역의 일부에 대하여 토지 이용을 합리화하고 그 기능을 증진시키며 미관을 개선하고 양호한 환경을 확보하며, 그 지역을 체계적·계획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수립하는 도시관리계획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상세지구계획
②
광역도시계획
③
도시·군기본계획
④
지구단위계획
정답 : ④ 지구단위계획 (2015년4회)
25.
우리나라의 스키장 입지에 가장 좋지 못한 조건은?
①
남서 사면
②
관련시설을 포함하여 최소 10ha 이상
③
정상부 급경사, 하부 완경사
④
500 ~ 1700m의 표고
정답 : ① 남서 사면 (2011년1회)
26.
미국조경가협회(ASLA)에서 정의하는 조경업무의 유형이 아닌 것은?
①
interior landscapes
②
infrastructure
③
urban design
④
monuments
정답 : ② infrastructure (2015년4회)
27.
경관의 미적반응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의 유형과 그 예를 잘못 설명한 것은?
①
순서척 - 리커트 척도(Likert scale)
②
비례척 - 부피
③
명목척 - 운동선수의 등번호
④
등간척 - 어의구별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
정답 : ① 순서척 - 리커트 척도(Likert scale) (2009년1회)
28.
다음 중 하천(수변)공간을 공원으로 계획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수변공간에는 식생부도(浮島), 녹화용 포대 등 물 환경 조건을 고려하여 수생식물 서식기반의 도입을 계획한다.
②
하천생태계 기능평가를 통해 표준적인 생태 기능과 가치를 지니는 표준 하천을 계획모형으로 선정한다.
③
수변은 다양한 야생동물이 서식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많은 양분을 공급해 줄 계획을 수립한다.
④
수변공간과 육상공간과의 연계성 확보는 수변생태계의 교란을 최소화하도록 고려한다.
정답 : ③ 수변은 다양한 야생동물이 서식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많은 양분을 공급해 줄 계획을 수립한다. (2015년2회)
29.
자연공원법상 공원구역에서 공원사업 외의 행위로 공원 관리청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경관을 해칠 우려가 있는 건축물의 용도 변경
②
물건을 쌓아 두거나 묶어 두는 행위
③
1000명 이상의 사람이 단체로 등산하는 행위
④
나무를 베거나 야생식물을 채취하는 행위
정답 : ③ 1000명 이상의 사람이 단체로 등산하는 행위 (2010년1회)
30.
자연공원법에 의한 공원위원회의 심의를 생략할 수 있는 공원계획의 경미한 사항의 변경에 해당하는 것은?
①
공원집단시설지구를 공원자연마을지구로 변경하는 경우
②
공원마을지구를 공원자연보존지구로 변경하는 경우
③
공원집단시설지구 외의 지구에 계획된 공원시설을 공원집단시설지구로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④
공원자연보존지구를 공원자연환경지구로 변경하는 경우
정답 : ② 공원마을지구를 공원자연보존지구로 변경하는 경우 (2014년4회)
31.
산·하천·내륙습지·호소(湖沼)·농지·도시 등에 대하여 자연환경을 생태적 가치, 자연성, 경관적가치 등에 따라 등급화하여 규정에 의해 작성된 지도는 (단, 자연환경보전법을 적용한다.)
①
경관가치도
②
생태·자연도
③
자연환경도
④
녹지자연도
정답 : ② 생태·자연도 (2016년4회)
32.
이용후 평가(postoccupancy evaluation)를 시행함에 있어, 프리드만(Friedmann)이 주로 옥외공간을 대상으로 한 설계 평가시 분석한 관련 사항들 중 연관성이 없는 사항은?
①
주변 환경 분석
②
관찰자 분석
③
물리 · 사회적 분석
④
설계과정 분석
정답 : ② 관찰자 분석 (2009년4회)
33.
다음 중 용도지역과 그 지정목적의 연결이 옳은 것은?
①
준공업지역 : 환경을 저해하지 아니하는 공업의 배치를 위하여 필요한 지역
②
제1종 전용주거지역 : 저층주택을 중심으로 편리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③
보전녹지지역 : 도시의 자연환경 · 경관 · 산림 및 녹지공간을 보전할 필요가 있는 지역
④
근린상업지역 : 일반적인 상업기능 및 업무기능을 담당하게 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정답 : ③ 보전녹지지역 : 도시의 자연환경 · 경관 · 산림 및 녹지공간을 보전할 필요가 있는 지역 (2011년1회)
34.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상 독립적 구성일 경우 근린공원으로 조성할 수 있는 최소 규모 기준은? (단, 근린생활권근린공원으로 구분되는 것을 의미한다.)
①
10000 제곱미터
②
5000 제곱미터
③
100000 제곱미터
④
1500 제곱미터
정답 : ① 10000 제곱미터 (2009년2회)
35.
조경계획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조경계획에 있어서는 창조적 구상이, 조경설계에 있어서는 합리적 사고가 더욱 요구된다.
②
계획이란 어떤 목표를 설정해서 이에 도달할 수 있는 행동과정을 마련하는 것이다.
③
계획은 계획가의 독자적인 작업이 아니라 사용자, 사용주와의 대화를 통하여 이룩되는 양방향과정(two-way process)이다.
④
조경계획은 전 과정을 통하여 문제의 발견에 관련하고, 설계는 문제의 해결에 관련한다.
정답 : ① 조경계획에 있어서는 창조적 구상이, 조경설계에 있어서는 합리적 사고가 더욱 요구된다. (2009년1회)
36.
다음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시·도지사는 직접 또는 관계 행정기관의 장의 요청을 받아 도시지역과 그 주변지역의 무질서한 시가화를 방지하고 계획적·단계적인 개발을 도모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 동안 시가화를 유보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면 시가화조정구역의 지정 또는 변경을 도시·군관리계획으로 결정할 수 있다.
①
10년 이상 20년 이내
②
5년 이상 20년 이내
③
3년 이상 10년 이내
④
1년 이상 5년 이내
정답 : ② 5년 이상 20년 이내 (2016년2회)
37.
어떤 프로젝트가 시공되고 얼마동안의 이용기간을 거친 후 그 설계 혹은 계획에 대한 평가를 함으로써 설계 의도가 그대로 반영되고 있는지, 이용자의 행태에 적합한 공간 구성이 이루어졌는지 등을 알아보고자 하는 평가는?
①
설계대안평가(design alternatives evaluation)
②
시각자원평가(visual resource assessment)
③
환경영향평가(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④
이용 후 평가(post occupancy evaluation)
정답 : ④ 이용 후 평가(post occupancy evaluation) (2010년1회)
38.
영역성(territoriality)과 가장 관계 깊은 학자는?
①
알트만(Altman)
②
린치(Lynch)
③
리톤(Litton)
④
라포포트(Rapoport)
정답 : ① 알트만(Altman) (2010년2회)
39.
1875년 영국에서 불결한 도시주거환경을 제거하기 위해 새로이 건설되는 주택의 상하수도 시설과 정원 크기 및 주변 도로의 폭등 주거환경기준을 규제하는 목적으로 제정된 법은?
①
단지조성법(site planning act)
②
건축법(building code)
③
미관지구에 관한 법(law of neautification district)
④
공중위생법(public health act)
정답 : ④ 공중위생법(public health act) (2017년2회)
40.
자전거 이용시설의 구조 · 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상 자전거 도로의 폭은 하나의 차로를 기준으로 몇 미터 이상으로 하는가? (단, 지역 상황 등에 따라 부득이하다고 인정되는 경우는 제외한다.)
①
1.25m
②
3.0m
③
1.95m
④
1.5m
정답 : ④ 1.5m (2012년4회)
조경설계
41.
조경제도의 척도에 관한 용어 중 대상물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도형을 그릴 때의 용어는?
①
축척
②
배척
③
현척
④
감척
정답 : ① 축척 (2011년4회)
42.
문화재 및 사적지 조경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자연지형의 변화 및 훼손이 없는 범위 내에서 설계하여야 하므로 재료는 사적지 주변지역의 것을 활용하지 않도록 한다.
②
민속촌의 입지는 풍수의 개념을 고려하여 정하고, 민속 시설물과 공간구성은 우리나라 고유 건축의 외부공간 특성을 반영한다.
③
사적의 복원 및 재현은 역사성에 맞게 하되 주변지역도 역사성에 맞게 식재하고 시설물들이 조화롭게 설계되어야 한다.
④
역사 문화유적의 시대적 배경에 부합하도록 역사성에 어울리는 소재, 디자인 요소, 마감방법 등을 고려한다.
정답 : ① 자연지형의 변화 및 훼손이 없는 범위 내에서 설계하여야 하므로 재료는 사적지 주변지역의 것을 활용하지 않도록 한다. (2015년1회)
43.
자연주의적 형(shape)의 특징과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①
감정적
②
비조형적
③
사진적
④
정적
정답 : ① 감정적 (2011년2회)
44.
형식미학(形式美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환경적 자극으로부터 연상되는 의미를 전달받는 2차적 지각의 영역에 해당된다.
②
상징미학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③
형식(form)은 내용(content)에 상대되는 개념이다.
④
형태로부터 느껴지는 감정이나 의미에 관심을 갖는다.
정답 : ③ 형식(form)은 내용(content)에 상대되는 개념이다. (2014년4회)
45.
케빈 린치(Kevin Lynch)는 도시경관을 분석함에 있어 도시의 이미지를 5가지 요소로 기호화하여 사용하였는데 그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도로(paths)
②
랜드마크(landmarks)
③
하천(river)
④
경계(edges)
정답 : ③ 하천(river) (2009년2회)
46.
상층이 나무 숲으로 덮여 있고 하층은 관목이나 어린 나무들로 이루어져 있는 공간은 산림경관의 분류상 어디에 속하는가?
①
관개경관
②
초점경관
③
세부경관
④
위요공간
정답 : ① 관개경관 (2011년2회)
47.
자연경관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변화되는 형태, 색채, 선, 소리 등은 다음 중 어떠한 형식미의 원리인가?
①
운율미(rhythm)
②
비례미(proportion)
③
변화미(variety)
④
통일미(unity)
정답 : ① 운율미(rhythm) (2014년4회)
48.
친환경적 도시시설 중에는 자전거전용도로가 가장 효율적인 시설 중의 하나이다. 다음 중에서 자전거 전용도로 설계 시 양측의 여유를 고려한 1차선 폭은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단, 지역상황 등에 따라 부득이하다고 인정되는 경우는 고려하지 않음.
①
180cm
②
150cm
③
100cm
④
120cm
정답 : ② 150cm (2017년2회)
49.
E. T. Hall은 4종류의 대인간격을 구분하였다. 이 중 친한 친구들 간의 일상적 대화에서 유지되는 거리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개인적거리(personal distance)
②
친밀한거리(intimate distance)
③
사회적거리(social distance)
④
공적거리(public distance)
정답 : ① 개인적거리(personal distance) (2009년2회)
50.
시각적 선호도 측정방법 중 정신생리 측정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주로 오스굳(Osgood)의 어의구별 척도를 사용한다.
②
이용자의 관찰시간 측정에 의한 주의집중 밀도 파악이 가능하다.
③
심리적 상태에 따라 나타나는 생리적 현상을 측정하는 것이다.
④
여러 대상물을 2개씩 맞추어 서로 비교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정답 : ③ 심리적 상태에 따라 나타나는 생리적 현상을 측정하는 것이다. (2016년2회)
51.
Litton이 제시한 산림경관의 기본적 유형(fundamental types)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전경관(Panoramic Landscape)
②
일시경관(Ephemeral Landscape)
③
지형경관(Feature Landscape)
④
위요경관(Enclosed Landscape)
정답 : ② 일시경관(Ephemeral Landscape) (2011년4회)
52.
교통표지나 광고물 등에 사용될 색을 선정할 때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점은?
①
색의 명시성
②
색의 온도감
③
색의 수축성
④
색의 원근감
정답 : ① 색의 명시성 (2010년4회)
53.
다음 선의 종류와 용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이점쇄선은 물체의 절단한 위치 및 경계를 표시하는 선이다.
②
실선은 물체가 보이는 부분을 나타내는 선이다.
③
일점쇄선은 물체의 중심축, 대칭축을 나타내는 선이다.
④
파선은 물체가 보이지 않는 모양을 표시할 때 쓰이는 선이다.
정답 : ① 이점쇄선은 물체의 절단한 위치 및 경계를 표시하는 선이다. (2010년4회)
54.
자전거 이용시설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상의 자전거 도로의 설계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자전거도로의 차선은 중앙분리선은 노랑색, 양 측면은 흰색으로 표시한다.
②
자전거도로의 포장면에는 물이 고이지 아니하도록 2퍼센트 이상 3퍼센트 이하의 횡단경사를 설치하여야 한다.
③
자동차의 횡단을 허용하는 자전거도로의 포장구조는 자동차의 중량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④
자전거도로의 색상은 별도의 색상 포장없이 포장재 고유의 색상을 유지한다.
정답 : ② 자전거도로의 포장면에는 물이 고이지 아니하도록 2퍼센트 이상 3퍼센트 이하의 횡단경사를 설치하여야 한다. (2014년2회)
55.
다음에서 대칭 균형 원리의 예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①
낙선재
②
독립문
③
불국사 대웅전
④
파르테논신전
정답 : ① 낙선재 (2017년2회)
56.
관람자가 고정된 위치에서 보았을 때 대상경관이 회화적 구도를 가지도록 정적인 설계를 하는 시각구조 조작기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은폐(camouflage)
②
틀짜기(frame)
③
착시(illusion)
④
여과(filter)
정답 : ② 틀짜기(frame) (2011년4회)
57.
다음 그림은 무엇을 하기 위한 과정인가?
①
직선을 주어진 비로 나누기
②
삼각형의 각도 나누기
③
직선을 n 등분 하기
④
삼각형을 n 등분 하여 나누기
정답 : ③ 직선을 n 등분 하기 (2012년1회)
58.
친환경적 도시시설 중에는 자전거전용도로가 가장 효율적인 시설 중의 하나이다. 다음 중 자전거전용도로 설계시 양측의 여유를 고려한 1차선 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150㎝
②
100㎝
③
180㎝
④
120㎝
정답 : ① 150㎝ (2009년2회)
59.
어두운 곳에서 빛의 파장이 긴 적색이나 황색은 희미하게, 파장이 짧은 청색이나 녹색은 밝게 보이는 현상은?
①
잔상
②
밝기의 항상성
③
푸르키니에 현상
④
색순응
정답 : ③ 푸르키니에 현상 (2016년1회)
60.
K. Lynch가 주장한 도시경관의 시각적 명료성을 분석하기 위한 5가지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지역(district)
②
결절점(node)
③
근린주구(neighborhood unit)
④
도로(path)
정답 : ③ 근린주구(neighborhood unit) (2010년1회)
조경식재
61.
다음 중 산성토양에서 가장 잘 견디는 수종은?
①
Fagus engleriana Seemen ex Diels
②
Juglans regia Dode
③
Lindera obtusiloba Blume
④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정답 : ④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2012년1회)
62.
식물 군락(群落)을 성립시키는 외적 환경요인과 관계없는 것은?
①
토양 요인
②
유전적 요인
③
기후 요인
④
생물적 요인
정답 : ② 유전적 요인 (2009년4회)
63.
다음 중 지표(指標) 식재의 기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존재 위치를 알려주는 것
②
식물 생육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
③
도로의 경관을 높이는 것
④
바람이 부는 방향과 세기를 알리는 것
정답 : ③ 도로의 경관을 높이는 것 (2014년2회)
64.
다음 지피식물(地被植物) 가운데 석죽과로 7 ~ 8월에 분홍색 꽃이 피며, 척박토의 양지에 생육한다. 생육가능 지역 및 특성은 노출지이고, 이용형태는 평면인 것은?
①
송악
②
술패랭이
③
꽃잔디
④
맥문동
정답 : ② 술패랭이 (2011년1회)
65.
도심지 내 쾌적한 환경을 창출하기 위한 소생물권(Biotope) 확보를 위한 방안이 아닌 것은?
①
도심지 하천의 둔치에는 수목만으로 배식해야 한다.
②
하천이 가진 고유의 역할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굴곡이나 수심이 있는 공간을 조성하도록 한다.
③
외래식물보다 자생식물을 많이 이용하여 배식해야 한다.
④
야생 조류들을 유인할 수 있는 식이식물을 배식한다.
정답 : ① 도심지 하천의 둔치에는 수목만으로 배식해야 한다. (2015년4회)
66.
다음 중 내습성 수종으로만 구성된 것은?
①
오리나무, 낙우송
②
피나무, 물오리나무
③
향나무, 진달래
④
굴피나무, 귀룽나무
정답 : ① 오리나무, 낙우송 (2016년4회)
67.
다음 특징 설명으로 맞는 것은?
- 남아메리카 원산의 꿀풀과 식물로서 가을이 되면 붉은색의 꽃이 아름답다. - 네모난 줄기에 잎이 마주 난다. - 꽃씨는 봄에 뿌린다. - 여러 번 이식할수록 뿌리가 좋아진다. - 산성 땅을 싫어하고 유기질이 있는 부드러운 흙을 좋아한다.
①
샐비어
②
천일홍
③
맨드라미
④
향유
정답 : ① 샐비어 (2011년1회)
68.
수분 요구도별 식물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부엽식물은 뿌리가 물 밑 땅속에 고착하고 잎은 수면에 띄우며, 연꽃이 해당된다.
②
습생식물은 주로 토양이 축축한 습지에서 생활하며, 바위솔이 해당된다.
③
건생식물은 증산작용을 억제하기 위해 잎의 표피조직이 두껍게 발달되며, 세덤(Seduum)속이 해당된다.
④
침수식물은 뿌리가 물 밑 땅속에 고착하고 식물체의 전부가 수면 하에 있으며, 이삭물수세미가 해당된다.
정답 : ② 습생식물은 주로 토양이 축축한 습지에서 생활하며, 바위솔이 해당된다. (2017년2회)
69.
다음 중 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①
우리나라에서 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에도 자생한다.
②
암수한그루이다.
③
속명 Chionanthus은 Chion 눈(雪)과 anthos 꽃의 합성어이다.
④
과명은 물푸레과이다.
정답 : ② 암수한그루이다. (2014년2회)
70.
사실(寫實)적 식재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대표적인 것이 스페인의 중정이다.
②
식물생태를 존중하는 군락식재를 행한다.
③
실존하는 자연경관을 충분히 모사하는 수법이다.
④
영국의 William Robinson이 제창한 야생원이 이에 속한다.
정답 : ① 대표적인 것이 스페인의 중정이다. (2012년2회)
71.
초원과 같이 거의 균질한 식생이 광대한 면적에 걸쳐 이루어진 경우에 적용하기 가장 좋은 표본 추출법은?
①
대상추출법
②
계통추출법
③
전형표본추출법
④
무작위추출법
정답 : ④ 무작위추출법 (2009년4회)
72.
다음 ( )안에 적합한 용어는?
Lindera obtusiloba Blume var. obtusiloba 의 꽃은 이가화이며, 3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황색으로 화경이 없는 ( )화서에 많이 달린다. 소화경은 짧으며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깊게 6개로 갈라진다.
①
원추
②
산방
③
산형
④
총상
정답 : ③ 산형 (2009년2회)
73.
다음 [보기]의 설명에 해당하는 초본류는?
[보기] - 미나리아재비과이다. - 잎 및 주기의 높이는 50 ~ 100 ㎝ 정도 자라며, 잎은 2회 3출엽으로 2 ~ 3개씩 얕게 갈라진다. - 개화기는 6 ~ 7월로 줄기와 가지끝에서 붉은 자갈색의 꽃이 아래를 향하여 핀다. - 잔뿌리가 사방으로 뻗어 있다. - 연못이나 개울가와 같이 습기가 있는 정원에 심어 관상한다.
①
술패랭이
②
원추리
③
맥문동
④
매발톱꽃
정답 : ④ 매발톱꽃 (2016년2회)
74.
우점도(dominance, D)를 산출하는 공식으로 맞는 것은?
①
우점도 = 1 - 피도지수
②
우점도 = 1 - 균제도지수
③
우점도 = 1 - 다양도지수
④
우점도 = 1 - 밀도지수
정답 : ② 우점도 = 1 - 균제도지수 (2012년1회)
75.
다음 중 접목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동일 품종의 일시적 다량 생산
②
개화 결실 촉진
③
클론의 보존
④
돌연변이 유발
정답 : ④ 돌연변이 유발 (2010년1회)
76.
조경설계기준에서 인공지반에 식재된 대관목의 생육에 필요한 식재 최소 토심 기준은? (단, 자연토양을 사용하고, 배수경사는 1.5 ~ 2.0%이다.)
①
30 ㎝
②
45 ㎝
③
70 ㎝
④
90 ㎝
정답 : ② 45 ㎝ (2016년2회)
77.
다음 중 우리나라 특산수종이 아닌 것은?
①
구상나무
②
계수나무
③
개느삼
④
미선나무
정답 : ② 계수나무 (2017년1회)
78.
대량번식이 가능하고, 교잡에 의해 새로운 식물체를 만들 수 있는 번식방법은?
①
삽목
②
취목
③
실생
④
접목
정답 : ③ 실생 (2017년1회)
79.
일반적으로 식재설계는 식물의 생리생태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식재해야 하는데 다음 중 옳은 것은?
CPM은 신규 및 경험이 없는 건설공사에 이용되나 PERT는 경험이 있는 공사에 이용된다.
③
CPM은 소요시간 추정에서 1점 추정인 반면 PERT는 3점 추정으로 한다.
④
CPM은 화살선으로 작업을 표시하나 PERT는 원으로 작업을 표시한다.
정답 : ③ CPM은 소요시간 추정에서 1점 추정인 반면 PERT는 3점 추정으로 한다. (2011년1회)
82.
다음 중 덤프트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적재기계를 고려하여 적재용량을 결정한다.
②
운반도로의 조건이 작업량에 영향을 준다.
③
무한궤도식은 이동속도가 느리다.
④
적재함을 기울여 흙을 방출한다.
정답 : ③ 무한궤도식은 이동속도가 느리다. (2014년2회)
83.
다음 중 시방서에 포함될 수 없는 것은?
①
검사 결과의 보고에 관한 사항
②
적용 범위에 관한 사항
③
재료의 인수시기에 관한 사항
④
시공 완성 후 뒤처리에 관한 사항
정답 : ③ 재료의 인수시기에 관한 사항 (2010년1회)
84.
다음 중 원가계산에 의하여 공사비 구성항목을 분류할 때 순공사원가에 속하는 경비 항목이 아닌 것은?
①
복리후생비
②
일반관리비
③
가설비
④
연구개발비
정답 : ② 일반관리비 (2012년1회)
85.
각 등고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이 다음과 같을 때 195 m 등고선 위의 토량을 평균단면법으로 구한 값은? (단, 등고선의 수치 단위는 m 이며, 정상은 평평한 것으로 가정한다.)
①
50268.0 ㎥
②
33295.8 ㎥
③
20000.8 ㎥
④
25134.0 ㎥
정답 : ① 50268.0 ㎥ (2015년4회)
86.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 집중하중이 작용할 때 최대 굽힘모멘트는 얼마인가?
①
PL
②
2Pa
③
Pa
④
2PL
정답 : ③ Pa (2012년1회)
87.
지름이 d인 원형단면의 단면 2차 반지름은?
①
②
③
④
정답 : ② (2012년1회)
88.
다음 중 자동차를 도시내의 한곳에서 다른 곳으로 가는 장거리 이동 교통을 대량 수송케 하며, 토지 또는 건물에의 출입이 제한되고, 교통조절은 신호등, 교차로에 의한다. 또한 도시의 Open - Space 로서의 역할을 주로 하여 대규모의 도시경관 설계를 할 수 있는 도로는?
①
집산도로(collector road)
②
간선도로(arterial road)
③
지역간도로(freeway)
④
고속도로(expressway)
정답 : ② 간선도로(arterial road) (2011년4회)
89.
도로에서 곡선부의 길이가 짧거나 교각이 작을 경우 생길 수 있는 현상이 아닌 것은?
①
운전자에게 도로가 끊어진 것처럼 보인다.
②
운전자의 핸들조작이 빨라져 운전 쾌적도가 저하된다.
③
고속의 경우 사고의 위험성이 증가한다.
④
운전자에게 곡선의 길이가 실지보다 길게 느껴진다.
정답 : ④ 운전자에게 곡선의 길이가 실지보다 길게 느껴진다. (2014년4회)
90.
담장시공에서 전도(轉倒)의 위험성 고려시 가장 중요한 것은?
①
수직등분포하중
②
설(雪)하중
③
풍(風)하중
④
자중(自重)
정답 : ③ 풍(風)하중 (2011년2회)
91.
다음 식재품 중 건설공사시 표준품셈에 수록되어 있지 않은 것은?
①
나무높이 (수고) 에 의한 식재
②
유지관리를 위한 가로수 전정
③
초류종자 살포 (기계살포)
④
뿌리분 크기에 의한 식재
정답 : ④ 뿌리분 크기에 의한 식재 (2014년1회)
92.
수중콘크리트에 대한 다음 설명 중 A와 B에 알맞은 것은?
현장 타설 콘크리트말둑 및 지하역속변 콘크리트는 수중에서 시공할 때 강도가 대기중에서 시공할 때 강도의 ( A )배, 안정액중에서 시공할 때 강도가 대기 중에서 시공할 때 강도의 ( B )배로 하여 배합강도를 설정하여야 한다.
①
A: 0.8 , B: 0.7
②
A: 1.2 , B: 1.4
③
A: 0.7 , B: 0.8
④
A: 0.7 , B: 0.7
정답 : ① A: 0.8 , B: 0.7 (2017년1회)
93.
옥상녹화 시스템의 식재기반 구성요소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①
배수층
②
식재기반층
③
집적층
④
방수층
정답 : ③ 집적층 (2017년1회)
94.
곡선반경이 R인 곡선부에서 차량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곡선반경(R)과 횡활동 미끄럼마찰계수(f)를 이용해서 편구배를 계산할 때의 공식으로 옳은 것은? (단, 설계속도는 V 이다.)
①
②
③
④
정답 : ① (2012년1회)
95.
시멘트의 수화반응에 의해 생성된 수산화칼슘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pH를 저하시키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염해
②
중성화
③
동결융해
④
알칼리-골재반응
정답 : ② 중성화 (2016년1회)
96.
지형도에서 등고선이 높아질수록 밀집하여 있으며, 반대로 낮은 등고선에서는 간격이 멀어져 있는 경우는 다음 중 어느 것이 가장 적당한가?
①
경사
②
평사면
③
급경사
④
현애
정답 : ① 경사 (2010년1회)
97.
다음 공사계약방식 중 공사수행방식에 따른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설계 · 시공일괄계약
②
실비정산보수가산계약
③
턴키계약
④
설계 · 시공분리계약
정답 : ④ 설계 · 시공분리계약 (2012년4회)
98.
평판측량의 방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교회법에서는 미지점까지의 거리관측이 필요하지 않다.
②
현장에서는 방사법, 전진법, 교회법 중 몇 가지를 병용하여 작업하는 것이 능률적이다.
③
방사법은 골목길이 많은 주택지의 세부측량에 적합하다.
④
전진법은 평판을 옮겨 차례로 전진하면서 최종 측점에 도착하거나 출발점으로 다시 돌아오게 된다.
정답 : ③ 방사법은 골목길이 많은 주택지의 세부측량에 적합하다. (2010년2회)
99.
각종 금속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알루미늄은 비중이 철의 1/3 정도로 경량이며 열·전기 전도성이 크다.
②
청동은 구리와 주석을 주체로 한 합금으로 건축장식 부품 또는 미술공예 재료로 사용된다.
③
납은 비중이 비교적 작고 융점이 높아 가공이 어렵다.
④
동은 건조한 공기 중에서는 산화하지 않으나, 습기가 있거나 탄산가스가 있으면 녹이 발생한다.
정답 : ③ 납은 비중이 비교적 작고 융점이 높아 가공이 어렵다. (2014년1회)
100.
다음 보에 걸리는 휨 모멘트(bending moment)에 대한 해설로 옳은 것은?
①
보의 상부는 인장력, 하부는 압축력을 받으며, 정(+)의 힘으로 작용한다.
②
보의 상부는 압축력, 하부는 인장력을 받으며, 정(+)의 힘으로 작용한다.
③
보의 상부는 압축력, 하부는 인장력을 받으며, 부(-)의 힘으로 작용한다.
④
보의 상부는 인장력, 하부는 압축력을 받으며, 부(-)의 힘으로 작용한다.
정답 : ② 보의 상부는 압축력, 하부는 인장력을 받으며, 정(+)의 힘으로 작용한다. (2012년4회)
조경관리
101.
공정과 공사 단위당 원가와의 관계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단, Y축은 원가, X축은 공정을 나타낸다.)
①
②
③
④
정답 : ② (2009년4회)
102.
다음 [보기]에 대한 설명은 조경관리의 종류 중 어느 것인가?
[보기] 시설관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이용 가능한 구성요소를 더 효과적이며 안전하게 그리고 더 많이 이용하게 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것이다. 또, 적절한 관리를 위한 조직의 구성과 사업분담도 중요하며 각 조직간의 협조체계도 수립되어야 한다.
①
유지관리
②
이용관리
③
사전관리
④
운영관리
정답 : ④ 운영관리 (2014년1회)
103.
양이온 치환용량 (CEC) 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토양의 pH가 낮아질수록 CEC는 크다.
②
토양이 미세할수록 CEC는 크다.
③
CEC가 크면 대체로 토양의 비옥도가 높다.
④
유기물이 많은 토양은 대체로 CEC가 크다.
정답 : ① 토양의 pH가 낮아질수록 CEC는 크다. (2014년1회)
104.
사철나무 흰가루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햇빛이 잘 들지 않고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곳에 있는 수종에 잘 발생한다.
②
휴면기 12 ~ 2월에는 석회황합제로 방제한다.
③
한번 발생한 나무에서는 거의 매년 되풀이해서 발생한다.
④
병에 걸린 나무의 접수나 분주묘와 같은 영양번식체를 통해서 전염된다.
정답 : ④ 병에 걸린 나무의 접수나 분주묘와 같은 영양번식체를 통해서 전염된다. (2016년1회)
105.
광장이나 녹지의 적절한 유지관리를 위한 배수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콘크리트 측구는 L, V, 사다리꼴형 등을 적절하게 이용하게 한다.
②
도로와 광장의 배수는 물매를 붙여 측구를 통해 맨홀에 모이게 한다.
③
지하수위가 높은 저습지는 배수시설이 필요하지 않다.
④
일반적으로 배수시설에는 표면에 노출하는 개거식과 지하에 매설하는 암거식 두 가지로 분류한다.
정답 : ③ 지하수위가 높은 저습지는 배수시설이 필요하지 않다. (2015년1회)
106.
아스팔트 포장의 파손부분을 사각형 수직으로 따내고 보수하는 공법으로 포장이 균열되었거나 국부적 침하, 부분적 박리일 때 적용하는 공법은?
①
혈매 공법
②
덧씌우기 공법
③
패칭 공법
④
표면처리 공법
정답 : ③ 패칭 공법 (2011년2회)
107.
병원체가 기주조직 내에 침입하고 정착하여 기생관계가 성립되는 과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발병
②
병징
③
감염
④
표징
정답 : ③ 감염 (2016년1회)
108.
공원 녹지 내 특별 행사(Event) 개최 목적이 아닌 것은?
①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의 도모
②
주민 간 공감을 통한 문화적 유대감 증대
③
행정 주도형 공원 녹지의 추구
④
공원 녹지 이용의 다양화 유도
정답 : ③ 행정 주도형 공원 녹지의 추구 (2017년1회)
109.
제초제 살포작업 시 일반적인 유의사항으로 옳은 것은?
①
일조량이 적고 바람이 강한 날 실시하는 것이 효과면에서 좋다.
②
제초제나 살균제 처리는 기온이 5℃이상 30℃이하에서 시행하는 것이 좋다.
③
제초제에 섞는 물은 산도가 높거나(pH4 ~ 5이상), 센물(경수)이 좋다.
④
약제를 섞어야 할 경우 유제 → 전착제 → 액화제 → 가용 성분제 → 수화제 순서로 섞어 조제한다.
정답 : ② 제초제나 살균제 처리는 기온이 5℃이상 30℃이하에서 시행하는 것이 좋다. (2016년4회)
110.
식물병의 주요한 표징 중 영양기관에 의한 것은?
①
포자(胞子)
②
분생자병(分生子炳)
③
자낭각(子囊殼)
④
균핵(菌核)
정답 : ④ 균핵(菌核) (2017년2회)
111.
수목병의 원인 중 뿌리혹병, 불마름병 등의 원인이 되는 생물적 원인은?
①
선충
②
바이러스
③
세균
④
곰팡이
정답 : ③ 세균 (2014년2회)
112.
식재한 조경수목을 보호하기 위하여 나무의 뿌리분 위의 둘레에 짚, 낙엽 등으로 피복하여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아닌 것은?
①
토양수분 증산억제
②
관수작업의 용이
③
잡초발생 억제
④
유기질 비료제공
정답 : ② 관수작업의 용이 (2014년2회)
113.
다음의 자연공원 관리기법 중 레크리에이션 이용의 강도와 특성의 조절을 위한 직접적인 이용제한의 구체적인 조절기법이 아닌 것은?
①
구역감시의 강화
②
비이용 지역으로의 접근성 제고
③
예약제의 도입
④
이용시간의 제한
정답 : ② 비이용 지역으로의 접근성 제고 (2009년4회)
114.
비료의 질소함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며, 오래전부터 사용하고 있는 분석방법은?
①
Kjedahl 증류법
②
Walkley black 법
③
Tyurin 법
④
Lancast 법
정답 : ① Kjedahl 증류법 (2015년2회)
115.
크레인으로 얽어매는 작업 시 유의사항이 아닌 것은?
①
물체의 진동을 손으로 정지시키지 말 것
②
얽어매는 용구는 능력에 충분한 여유가 있는 것을 사용할 것
③
중심 위치에 훅을 걸 것
④
긴 물건은 원칙적으로 세로로 맬 것
정답 : ④ 긴 물건은 원칙적으로 세로로 맬 것 (2015년4회)
116.
질소질 비료의 형태에서 토양광물 콜로이드(colloid)에 가장 잘 흡착되는 것은?
①
시안아미드태
②
유기태
③
암모니아태
④
질산태
정답 : ③ 암모니아태 (2011년4회)
117.
탄저병 예방약제인 Mancozeb는?
①
유기 수은제 농약
②
유기 유황계 농약
③
무기 유황계 농약
④
구리 화합물계 농약
정답 : ② 유기 유황계 농약 (2012년2회)
118.
2,4-D 의 작용특성에 속하는 것은?
①
호흡 억제
②
동화작용 증진
③
세포분열의 이상유발
④
저온에서 작용력 증진
정답 : ③ 세포분열의 이상유발 (2017년1회)
119.
녹병균 중에서 기주교대(寄主交代)는 다음 어느 경우에 이루어지는가?
①
이주(異珠)기생성
②
수종(數種)기생성
③
이종기생성
④
동종기생성
정답 : ③ 이종기생성 (2011년1회)
120.
보수력이 가장 큰 토양의 토성은?
①
양토
②
사토
③
사양토
④
식토
정답 : ④ 식토 (2016년1회)
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를 비롯하여 더 많은 국가기술자격증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는 문제풀이닷컴 홈페이지(https://quz.co.kr/)에서 이용가능합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