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기사 필기 시험일이 곧 다가오네요. 그동안 준비 잘하셨겠죠? 방대한 이론과목 조경사, 조경식재, 조경설계, 조경관리, 조경시공구조, 조경관리 6과목은 정말 범위도 그렇고 공부할 분량이 너무 많습니다. 이제 남은 기간은 고작 한달남짓인데요. 남은 기간 동안 최단기간에 점수를 올릴 수 있는 방법은 아무래도 문제풀이, 과년도 기출문제풀이 일것입니다.
문제풀이닷컴에서는 합리적이고 부담없는 수강료로 단기간(30일)에 이용하실 수 있도록 과년도기출문제 풀이 해설 과정을 동영상 강의(인강)로 서비스 하고 있습니다.
2015년부터 최신2018년 기출문제까지 문항별 상세한 설명으로 조경기사 필기시험을 준비해보세요. 강의경력 20년 이상의 조경분야 국내 최고의 교수님들께서 문제별로 상세한 해설을 통해 이해를 도와드립니다.
웹표준 지원으로 PC, 모바일기기(스마트폰, 태블릿PC등)에서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4K UHD 화질 지원으로 보다 깨끗하고 선명한 화면으로 동영상 강의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제풀이닷컴에 입력되어 있는 기출문제 자료들를 활용하여 조경기사 필기 자격증 기출문제를 랜덤(무작위)하게 뽑아내었습니다.
각 문제 하단에 버튼을 클릭하면 정답 및 해당문제의 출제년도 및 회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타 및 오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알려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채점 및 결과 확인 기능은 블로그에서는 어려우니 홈페이지(https://quz.co.kr/)에서 문제풀이를 이용하시면 확인가능합니다.
조경기사 필기 시험과목은 " 조경사, 조경계획, 조경설계, 조경식재, 조경시공구조학, 조경관리 " 총 6 과목으로 되어 있으며 과목당 40점이상,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아래 링크(문제풀이닷컴홈페이지)에서는 조경기사 기출문제 문제풀이를 회차별 또는 랜덤으로 회원가입등이 없이 문제풀이를 맘껏 풀이 해볼수 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조경기사 필기
조경사
1.
토피어리, 미원(maze), 총림 등이 대규모로 조성되고 비밀분천, 경악분천, 물 풍금 등이 도입된 정원 양식은?
①
로코코 양식
②
고전주의 양식
③
바로크 양식
④
매너리즘 양식
정답 : ③ 바로크 양식 (2017년1회)
2.
다음 중 중세 장원제도(feudal system) 속에서 발달된 조경약식의 특징은?
①
성벽을 의식한 장대한 외부 경관의 조성
②
풍경식의 도입
③
로마시대의 공지 형태를 답습
④
내부공간 지향적 정원 수법
정답 : ④ 내부공간 지향적 정원 수법 (2017년2회)
3.
일본의 전통석조방식 가운데 하나인 7·5·3 석조 방식으로 정원을 꾸민 곳은?
①
용안사
②
계리궁
③
수학원이궁
④
대덕사
정답 : ① 용안사 (2014년4회)
4.
조선의 능(陵)은 자연의 지세와 규모에 따라 봉분의 형태가 다른데 가장 관계가 먼 것은?
①
상왕하비
②
우왕좌비
③
향궐망배
④
국조의례의
정답 : ③ 향궐망배 (2015년2회)
5.
도시공원체계 수립 등 현대 미국 조경의 중흥에 획기적인 공로를 한 조경가는?
①
다우닝
②
하바드
③
팩스턴
④
옴스테드
정답 : ④ 옴스테드 (2014년2회)
6.
다음 중 중국 명시대의 정원 유적은?
①
피서산장(避暑山莊)
②
자금성(紫禁城)
③
졸정원(拙政園)
④
사자림(獅子林)
정답 : ③ 졸정원(拙政園) (2015년1회)
7.
우리나라의 전형적인 주택정원의 전통 양식은?
①
안뜰을 중요시한 노단건축식
②
앞뜰을 중요시한 자연풍경식
③
안 뜰을 중요시한 자연풍경식
④
뒷 뜰을 중요시한 후원식
정답 : ④ 뒷 뜰을 중요시한 후원식 (2014년2회)
8.
다음 중 중국 정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졸정원, 유원, 사자림 등은 소주(蘇州)의 정원이다.
②
송(宋)나라 때는 태호석에 의해 석가산을 축조하는 정원이 조성되었다.
③
후한시대에 포(圃)는 금수를 키우던 곳을 말한다.
④
송덕 피서산장은 청대(淸代)의 이궁(離宮)에 속한다.
정답 : ③ 후한시대에 포(圃)는 금수를 키우던 곳을 말한다. (2014년4회)
9.
르네상스시대 알베르티(Alberti)의 부지선정 요소가 아닌 것은?
①
배수(排水)
②
수원(水源)
③
수림(樹林)
④
풍향(風向)
정답 : ③ 수림(樹林) (2015년4회)
10.
현재 사찰에서 누(樓)를 통한 중심공간으로의 진입방식이 양측면 진입방식이 아닌 곳은?
①
쌍계사 팔영루(八泳樓)
②
부석사 안양루(安養樓)
③
화엄사 보제루(普濟樓)
④
선암사 종고루(鐘鼓樓)
정답 : ② 부석사 안양루(安養樓) (2015년2회)
11.
고대 이집트에서 나일강을 중심으로 장제신전(분묘)과 예배신전은 어디에 위치하였는가?
①
장제신전과 예배신전은 나일강 방향에 나란하게 입지
②
장제신전은 서쪽, 예배신전은 동쪽에 입지
③
장제신전과 예배신전 둘 다 동쪽에 입지
④
장제신전은 동쪽, 예배신전은 서쪽에 입지
정답 : ② 장제신전은 서쪽, 예배신전은 동쪽에 입지 (2017년1회)
12.
중국 고문헌 설문해자에 기술된 “과일나무를 심는 곳” 을 의미하는 용어는?
①
원(圓)
②
포(圃)
③
정(庭)
④
유(囿)
정답 : ① 원(圓) (2017년1회)
13.
다음 중 헤네랄리페 정원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정원을 내려다 볼 수 있게 처리되어 있다.
②
노단으로 된 정원이다.
③
계단, 물계단 등은 르네상스시대 이탈리아의 별장 디자인의 전조가 된다.
④
강력한 주축선에 의해 지배된다.
정답 : ④ 강력한 주축선에 의해 지배된다. (2014년4회)
14.
그라나다의 알함브라 궁전에 설치된 4개의 중정 가운데에서 비쟌틴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으며 파라다이스 가든과 유사한 수로체계를 가지고 있는 중정은?
①
사이프로스 중정
②
린다라야 중정
③
알베르카 중정
④
사자의 중정
정답 : ④ 사자의 중정 (2016년2회)
15.
덕수궁 석조전 앞의 분수와 연못을 중심으로 정원과 가장 가까운 양식은?
①
영국의 절충식
②
이탈리아의 노단건축식
③
프랑스의 정형식
④
독일의풍경식
정답 : ③ 프랑스의 정형식 (2017년2회)
16.
백제시대의 궁남지의 조성연대와 기록된 문헌이 모두 옳은 것은?
①
무왕 31년(서기 630년), 동사강목
②
개로왕 35년(서기 634년), 삼국유사
③
무왕 35년(서기 634년), 삼국사기
④
개로왕 31년(서기 630년), 삼국사기
정답 : ③ 무왕 35년(서기 634년), 삼국사기 (2015년4회)
17.
르네상스 시대 알베르티(Alberti)의 부지선정에 대한 이론이 아닌 것은?
①
계절에 따른 풍향과 부지와의 관계 고려
②
인근 도시와의 연결성 고려
③
태양이 이루는 각도를 고려한 부지 방향
④
배수가 잘 되는 견고한 부지
정답 : ② 인근 도시와의 연결성 고려 (2014년4회)
18.
삼국사기에 나타난 정원수 중 궁중에 쓰였던 수종은?
①
느티나무와 은행나무
②
복숭아나무와 남천
③
향나무와 사시나무
④
복숭아나무와 배나무
정답 : ④ 복숭아나무와 배나무 (2016년2회)
19.
다음 중 지구랏트(ziggurats)의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주축이 직선적으로 강조되며 대칭적 접근로가 그 특징으로 들 수 있다.
②
옛 Sumerian Temple 로서 신들의 거처로 여겼다.
③
신성스런 나무 숲과 맨 꼭대기에는 사원이 있었다.
④
평원에 이집트의 피라미드에 비교 될 만한 인공산과 같은 높이로 단(壇)을 쌓아 올렸다.
정답 : ① 주축이 직선적으로 강조되며 대칭적 접근로가 그 특징으로 들 수 있다. (2015년2회)
20.
일본 조경사에서 곡수연이 시작된 시기는?
①
비조(아스카)시대
②
실정(무로마치)시대
③
평안(헤이안)시대
④
도산(모모야마)시대
정답 : ① 비조(아스카)시대 (2014년2회)
조경계획
21.
시설물의 설치 및 부지면적의 제한과 관련된 다음 설명 중 ( )안에 들어갈 각각의 내용으로 부적합한 것은? (단,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적용)
골프연습장업(실외 골프연습장만 해당)의 골프연습장 부지면적은 타석 면적과 ( )를/을 설치한 토지면적을 합한 면적의 ( )의 면적을 초과할 수 없다. 다만, 골프코스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골프코스 ( )마다 ( )을/를 추가할 수 있고, 피칭 및 퍼팅 연습용 코스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이에 해당하는 면적을 추가할 수 있다.
①
2배
②
13000㎡
③
2홀
④
보호망
정답 : ③ 2홀 (2014년4회)
22.
다음 중 도시지역 내 녹지지역에서의 허용되는 용적률(A)과 건폐율(B)을 차례로 나열한 것은? (단,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적용한다.)
①
A : 100% 이하, B : 20% 이하
②
A : 100% 이하, B : 10% 이하
③
A : 50% 이하, B : 10% 이하
④
A : 50% 이하, B : 20% 이하
정답 : ① A : 100% 이하, B : 20% 이하 (2016년2회)
23.
국토의 용도 구분 중에서 농립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자연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는 지역의 명칭은?
①
농림지역
②
관리지역
③
산림지역
④
도시지역
정답 : ② 관리지역 (2017년2회)
24.
다음 중 경관분석의 방법이 아닌 것은?
①
기호화방법
②
심미적 요소의 계량화방법
③
간격법
④
메쉬 분석방법
정답 : ③ 간격법 (2016년4회)
25.
경관의 변화 요인(variable factors)에 해당하는 것은?
①
색채
②
선
③
시간
④
질감
정답 : ③ 시간 (2015년2회)
26.
주차장으로 사용되는 면적이 800 ㎡, 주차장 외의 용도로 사용되는 면적이 200 ㎡ 인 노외주차장에 관리사무소외 간이매점 및 화장실을 설치하려고 한다. 총 부대시설의 면적은 얼마까지 가능한가? (단, 조례 및 기타 중복 등의 사유는 적용하지 않는다.)
①
60 ㎡
②
200 ㎡
③
160 ㎡
④
300 ㎡
정답 : ② 200 ㎡ (2015년2회)
27.
미국조경가협회(ASLA)에서 정의하는 조경업무의 유형이 아닌 것은?
①
interior landscapes
②
monuments
③
infrastructure
④
urban design
정답 : ③ infrastructure (2015년4회)
28.
환경용량(Environmental Capacity)의 개념을 설명한 것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재생가능한 자연자원이 지탱할 수 있는 유기체의 최대 규모를 말한다.
②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더 넓고 자연자원이 적을수록 더 큰 환경용량을 가진다.
③
비가역적인 손상을 자연시스템에게 가하는 인간 활동의 한계를 의미한다.
④
성장의 한계를 우선적으로 전제한다.
정답 : ②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더 넓고 자연자원이 적을수록 더 큰 환경용량을 가진다. (2016년1회)
29.
관광지 및 관광단지의 개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권역계획(圈域計劃)은 그 지역을 관할하는 시·도지사가 수립하여야 한다.
②
관광개발기본계획에는 관광권역(觀光圈域)의 설정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다.
③
관광지 및 관광단지는 기본계획과 권역계획을 기준으로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이 지정한다.
④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전국을 대상으로 관광개발기본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정답 : ③ 관광지 및 관광단지는 기본계획과 권역계획을 기준으로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이 지정한다. (2016년2회)
30.
다음 중 오픈스페이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공원이나 녹지 등과 같이 도시계획 시설의 하나이다.
②
지붕 없이 하늘을 향해 열려 있는 땅이다.
③
집, 공장, 사무실, 등과 같은 건물이나 시설물이 지어지지 않은 땅을 말한다.
④
주변이 수직적인 요소로 둘러싸인 공지를 말한다.
정답 : ① 공원이나 녹지 등과 같이 도시계획 시설의 하나이다. (2017년1회)
31.
다음 중 『지속가능한 개발』의 개념으로 잘못된 것은?
①
환경보존과 개발은 양립할 수 없다는 사고이다.
②
전 세대로부터 물려받은 규모의 환경자본을 다음 세대에 물려준다.
③
환경의 가치를 화폐가치로 환산하여 계획에 반영한다.
④
개인 간, 집단 간, 세대 간의 형평성을 고려한다.
정답 : ① 환경보존과 개발은 양립할 수 없다는 사고이다. (2016년2회)
32.
조경설계기준상의 휴게공간의 구성(입지·배열, 평면구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공동주택단지의 경우 「도시·군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 배치한다.
②
놀이터에는 놀이시설을 이용하는 유아가 노는 것을 보호자가 가까이에서 볼 수 있도록 휴게시설을 배치한다.
③
휴게공간과 도로·주차장 기타 인접 시설물과의 사이에는 완충공간을 배치한다.
④
건출물이나 휴게시설 설치공간과 보행공간 사이에는 완충공간을 설치한다. 특히 휴게시설물 주변에는 1m 정도의 이용공간을 확보한다.
정답 : ① 공동주택단지의 경우 「도시·군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 배치한다. (2016년4회)
33.
3계절형인 공원에서 연간이용자수를 150,000명으로 추정할 때 「최대일이용자수」는 얼마인가?
①
2,500명
②
3,000명
③
2,140명
④
3,500명
정답 : ① 2,500명 (2016년1회)
34.
오픈 스페이스(open space)의 개방성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①
부지를 개방하는 시간으로 나타낸다.
②
이용자들이 얼마나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가를 의미한다.
③
부지의 경계가 없는 것을 의미한다..
④
부지에 건물이 적게 들어서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정답 : ② 이용자들이 얼마나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가를 의미한다. (2014년4회)
35.
다음 중 I. McHarg가 주로 사용해 정착된 적지 판정법은?
①
DGN method
②
motation method
③
overlay method
④
image map method
정답 : ③ overlay method (2017년2회)
36.
다음 『자연환경보전법』상의 정의 중 ( )안에 알맞은 용어는?
( )이라 함은 기존의 자연환경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거나 보완적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조성하는 것을 말한다.
①
대체자연
②
유사자원
③
생물자원
④
자연유보지역
정답 : ① 대체자연 (2015년4회)
37.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의 다음 설명 중 ( )안에 맞는 용어는?
도시공원의 설치에 관한 도시·군관리계획 결정은 그 고시일로부터 10년이 되는 날까지 ( )가/이 없는 경우에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도 불구하고 그 10년이 되는 날의 다음 날에 그 효력을 상실한다.
①
공원의 조성완료
②
공원관리계획의 수립
③
공원부지의 매입
④
공원조성계획의 고시
정답 : ④ 공원조성계획의 고시 (2017년1회)
38.
레크리에이션 적정수와 산정을 위한 중력모델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①
여러 변수에 의한 장기적 수요 예측
②
외부발생 변수를 고려한 수요 예측
③
인구와 거리에 따른 단기적 수요 예측
④
현재와 장래의 수요 예측
정답 : ③ 인구와 거리에 따른 단기적 수요 예측 (2014년2회)
39.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 오후 시간대에 태양복사열을 가장 많이 받는 장소는?
①
남~동향사이의 40% 경사면
②
남~서향 사이의 40% 경사면
③
남~서향 사이의 20% 경사면
④
남~동향 사이의 20% 경사면
정답 : ② 남~서향 사이의 40% 경사면 (2017년2회)
40.
환경영향평가법 시행규칙상 전략환경영향평가서의 계획의 승인 등이 된 후 보존 기간은?
①
3년
②
10년
③
5년
④
20년
정답 : ② 10년 (2014년2회)
조경설계
41.
시각적 선호에 관련된 변수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①
개인적 변수 : 개인의 나이, 학력, 성격
②
지역적 변수 : 위치, 거리, 규무
③
물리적 변수 : 식생, 물, 지형
④
추상적 변수 : 복잡성, 조화성, 새로움
정답 : ② 지역적 변수 : 위치, 거리, 규무 (2017년2회)
42.
통행의 안전성과 쾌적성을 확보하며, 시각상 불쾌감이나 소음공해를 차단하기 위해 고속도로 연변의 일정지역에 식재하는 고속도로 시설녹지 조경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사람과 동물의 침입방지를 위하여 펜스와 병용해서 식재하는 방법을 방재식재라 한다.
②
경관상 열학한 환경과 근접도로의 신호등 차폐를 위하여 상록 교목을 식재하는 방법을 경관조화식재라 한다.
③
터널 내외의 명암변화 완화를 위하여 출입구 중앙분리대나 노견에 상록 교목을 식재하는 방법을 강조식재라 한다.
④
평탄지나 절·성토 지역에 일정폭의 관목을 밀식하여 일탈한 차량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방법을 완충식재라 한다.
정답 : ④ 평탄지나 절·성토 지역에 일정폭의 관목을 밀식하여 일탈한 차량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방법을 완충식재라 한다. (2016년4회)
43.
제3각법으로 그린 보기와 같은 투상도의 입체도로 가장 옳은 것은?
①
②
③
④
정답 : ① (2015년1회)
44.
다음 중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완만한 지형은 부드럽고 감각적이며, 경직된 지형은 공간 내에 진취적이고 고조된 느낌을 부여 한다.
②
구릉성 산지 내에서의 계곡과 능선의 크기 및 폭은 경관의 지각적 리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③
지형은 여하한 규모이든 경관의 미적특성과 리듬에 대해 직접 연관을 맺고 있다.
④
능선 간의 간격이 빠르고 완만한 리듬을 나타낸다.
정답 : ② 구릉성 산지 내에서의 계곡과 능선의 크기 및 폭은 경관의 지각적 리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2015년4회)
45.
건축제도용지 중 A2 용지의 규격으로 맞는 것은?
①
841 mm × 1189 mm
②
297 mm × 420 mm
③
594 mm × 841 mm
④
420 mm × 594 mm
정답 : ④ 420 mm × 594 mm (2016년4회)
46.
다음 중 전통조경공간에 우리나라 민간신앙의 상징물로 활용하기에 가장 부적합한 것은?
①
돌탑
②
장승
③
서낭당
④
도리
정답 : ④ 도리 (2016년4회)
47.
다음 중 선 긋는 방법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선 긋는 방향은 소평선은 우에서 좌로 그리고, 수직선은 위에서 아래로 그린다.
②
선은 처음부터 끝나는 부분까지 일정한 힘으로 긋는다.
③
선을 연결과 교차부분이 정확하게 되도록 긋는다.
④
선 긋기를 할 때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키면서 진행한다.
정답 : ① 선 긋는 방향은 소평선은 우에서 좌로 그리고, 수직선은 위에서 아래로 그린다. (2016년4회)
48.
다음 중 교차점광장의 결정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도시·군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과한 규칙을 적용)
①
주간선도로의 교차지점인 경우에는 접속도로의 기능에 따라 입체교차방식 등에 의한 평면교차방식으로 할 것
②
주민의 사교, 오락, 휴식 및 공동체 활성화 등을 위하여 근린주거구역별로 설치할 것
③
혼잡한 주요도로의 교차점에서 각종 차량과 보행자를 원활히 소통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곳에 설치할 것
④
자동차전용도로의 교차지점인 경우에는 입체교차방식으로 할 것
정답 : ② 주민의 사교, 오락, 휴식 및 공동체 활성화 등을 위하여 근린주거구역별로 설치할 것 (2014년4회)
49.
조경설계기준 관련 『앉음벽』과 『야외탁자』의 설계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야외탁자의 너비는 30 ~ 40 ㎝를 기준으로 한다.
②
앉음벽은 지형의 높이차 극복을 위한 흙막이 구조물을 겸할 경우에는 녹지보다 5 ㎝ 높게 마감하도록 설계하며, 녹지의 심토층 배수를 고려한다.
③
앉음벽은 짧은 휴식에 적합한 재질과 마감 방법으로 설계하며, 높이는 34 ~ 46 ㎝를 원칙으로 한다.
④
야외탁자를 보행로에 배치할 경우에는 보행동선과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완충공간을 확보한다.
정답 : ① 야외탁자의 너비는 30 ~ 40 ㎝를 기준으로 한다. (2016년1회)
50.
조경설계기준상 각종 포장재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포장용 콘크리트의 재령 28일 압축강도 15.4 MPa 이상, 굵은 골재 최대치수는 30 ㎜이하로 한다.
②
포장용 석재는 압축강도 49 MPa 이상, 흡수율 5% 이내의 것으로 한다.
③
콘크리트 블록 포장재의 포설용 모래는 투수계수는 기준 이상으로 No.200체 통과량이 6% 이하이어야 한다.
④
투수성 아스팔트 혼합물은 공극률 9 ~ 12%를 기준으로 한다.
정답 : ① 포장용 콘크리트의 재령 28일 압축강도 15.4 MPa 이상, 굵은 골재 최대치수는 30 ㎜이하로 한다. (2015년2회)
51.
그늘시렁(파고라)을 배치하고자 할 때 고려 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휴게공간과 건물·보행로·운동장·놀이터 등에 배치하며, 보행 동선과의 마찰을 피한다.
②
화장실, 급한 비탈면, 연약지반, 고압철탑이나 전선 밑의 위험지역, 외진 곳 및 불결한 곳을 피하여 배치한다.
③
비교적 긴 휴식에 이용되므로 휴지통, 공중전화부스, 음수대 등 관리시설과 이격 배치한다.
④
여름에는 그늘을 제공하고 겨울에는 햇빛이 잘 들도록 대지의 조건, 방위, 태양의 고도를 고려하여 배치한다.
정답 : ③ 비교적 긴 휴식에 이용되므로 휴지통, 공중전화부스, 음수대 등 관리시설과 이격 배치한다. (2016년2회)
52.
조경설계기준의 『계단』과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옥외에 설치하는 계단의 단수는 최소 2단 이상으로 하며 계단바닥은 미끄러움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한다.
②
계단의 폭은 연결도로의 폭과 같거나 그 이상의 폭으로 단높이는 18 ㎝ 이하, 단너비는 26 ㎝ 이상으로 한다.
③
높이 2 m 를 넘는 계단에는 2 m 이내마다 당해 계단의 유효폭 이상의 폭으로 너비 120 ㎝ 이상인 참을 둔다.
④
계단의 단높이가 15 ㎝ 이하이고 단비가 30 ㎝ 이상일 경우 높이 1 m 를 초과하는 계단에 양측에 벽이 없는 경우 의무적으로 난간을 두며, 계단의 폭이 3 m 를 초과하면 매 3 m 이내마다 난간을 설치한다.
정답 : ④ 계단의 단높이가 15 ㎝ 이하이고 단비가 30 ㎝ 이상일 경우 높이 1 m 를 초과하는 계단에 양측에 벽이 없는 경우 의무적으로 난간을 두며, 계단의 폭이 3 m 를 초과하면 매 3 m 이내마다 난간을 설치한다. (2014년2회)
53.
다음 중 두 색을 대비 시켰을시 두 색이 각각 색상환에서 서로 멀어지려는 현상은?
①
보색대비
②
명도대비
③
채도대비
④
색상대비
정답 : ④ 색상대비 (2014년2회)
54.
멀고 가까운 거리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나의 시점과 물체의 각 점을 방사선으로 이어서 그리는 도법은?
①
축측 투상도법
②
부등각 투상법
③
투시도법
④
구조 투상도법
정답 : ③ 투시도법 (2014년4회)
55.
그림과 같은 제3각 정투상도의 입체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②
③
④
정답 : ③ (2016년1회)
56.
조경설계기준상의 운동시설 중 족구장 관련 내용으로 틀린 것은?
①
경기장의 규격은 사이드라인 15 m이며, 서브제한구역은 3 m, 경기장 폭은 6.5 m 이다.
②
안테나 높이는 1.5 m 이며, 안테나 이격거리는 사이드라인에서 21 ㎝(공 지름간격)이다.
③
경기장은 장애물이 없는 평면으로서 각 라인으로부터 5 m 이내에는 어떠한 장애물도 없어야 하며, 가능한 한 사이드 쪽은 6 ~ 7 m, 엔드라인 쪽은 8 m 이상을 이격한다.
④
조명시설의 경우 일정한 조도보다 조금 높게 유지하고, 직접조명 방식을 사용한다.
정답 : ④ 조명시설의 경우 일정한 조도보다 조금 높게 유지하고, 직접조명 방식을 사용한다. (2016년2회)
57.
다음 중 차폐미(遮蔽美)가 적용될 수 있는 적당한 장소가 아닌 것은?
①
수변의 경관이 불량한 연못
②
차경(借景) 대상물이 보이는 곳
③
좁은 토지의 절토면(切土面)
④
도로에서 보이는 공동묘지
정답 : ② 차경(借景) 대상물이 보이는 곳 (2015년2회)
58.
다음 중 일시적 경관 또는 순간적 경관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①
저녁 노을이 붉게 물든 호숫가
②
잔디밭에 놓여 진 거대한 수석
③
노루와 사슴이 물을 마시는 호숫가의 풍경
④
잔잔한 호수면에 비추어진 구름
정답 : ② 잔디밭에 놓여 진 거대한 수석 (2015년4회)
59.
시각적 복잡성과 시각적 선호도의 관계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시각적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시각적 선호도도 증가한다.
②
시각적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시각적 선호도가 감소한다.
③
시각적 복잡성과 시각적 선호도는 아무 관계가 없다.
④
시각적 복잡성이 적절할 때 가장 높은 시각적 선호도를 나타낸다.
정답 : ④ 시각적 복잡성이 적절할 때 가장 높은 시각적 선호도를 나타낸다. (2017년2회)
60.
다음 중 비스타(vista)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종점 혹은 지배적인 요소로 향하여 모아지는 전망을 말한다.
②
교목의 수관 아래에 형성되는 경관을 말한다.
③
수목 또는 경사면 등의 주위 경관요소들로 둘러싸여 있는 경관을 말한다.
④
틀(frame)이 형성된 경관을 말한다.
정답 : ① 종점 혹은 지배적인 요소로 향하여 모아지는 전망을 말한다. (2015년1회)
조경식재
61.
거친 질감을 주는 식재경관을 완화시켜주기 위한 조치로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산만한 수형을 갖는 수목을 배식한다.
②
더 거친 질감을 갖는 수목을 배식한다.
③
작은 잎 크기를 갖는 수목을 배식한다.
④
굵고 큰 가지를 갖는 수목을 배식한다.
정답 : ③ 작은 잎 크기를 갖는 수목을 배식한다. (2015년1회)
62.
Prunus padus L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원산지는 한국으로 내공해성이 강하다.
②
수피는 흑갈색이다.
③
5월에 백색의 꽃이 핀다.
④
생육속도가 매우 느리다.
정답 : ④ 생육속도가 매우 느리다. (2014년1회)
63.
자동차 배기가스에 가장 약한 침엽수는?
①
Nerium indicum
②
Cercis chinensis
③
Magnolia liliiflora
④
Chamaecyparis obtusa
정답 : ④ Chamaecyparis obtusa (2016년2회)
64.
식재시방서의 식재구덩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식재 구덩이를 팔 때에는 표토와 심토는 따로 갈라놓아 표토를 활용할 수 있도록 조치한다.
②
대형목 등 특수목 식재를 위한 구덩이의 굴착방법은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③
식재구덩이는 식재 당일에 굴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④
지정된 장소가 식재 불가능할 경우 도급업자가 임의로 옮겨 심는다.
정답 : ④ 지정된 장소가 식재 불가능할 경우 도급업자가 임의로 옮겨 심는다. (2017년2회)
65.
다음 양버들(Populus nigra var. italica Koehne) 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수형은 원주형으로 빗자루처럼 좁은 형태이다.
②
버드나무과 수종이다.
③
성상은 낙엽활엽교목이고 뿌리는 천근성이다.
④
가을에 붉은 단풍이 아름다운 우리나라 자생수종이다.
정답 : ④ 가을에 붉은 단풍이 아름다운 우리나라 자생수종이다. (2017년2회)
66.
바닷가 마을에 식재하는 수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Euonymus japonica Thunb.
②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Hara
③
Pinus thunbergii Parl.
④
Koelreuteria paniculata Laxmann
정답 : ②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Hara (2016년2회)
67.
다음 중 일반적으로 생장속도가 가장 빠른 수종은?
①
Populus tomentiglandulosa T.B.Le
②
Quercus dentata Thunb.
③
Acer palmatum Thunb.
④
Diospyros kaki Thunb.
정답 : ① Populus tomentiglandulosa T.B.Le (2014년4회)
68.
다음 중 북아메리카 원산의 수목은?
①
쉬나무
②
노각나무
③
정향나무
④
아까시나무
정답 : ④ 아까시나무 (2014년4회)
69.
다음 중 자동차 배기가스에 가장 강한 수종은?
①
Diospyros kaki
②
Platanus occidentalis
③
Prunus mume
④
Philadelphus schrenkii
정답 : ② Platanus occidentalis (2015년2회)
70.
나자식물에 속하는 것이 아닌 것은?
①
은행나무
②
비자나무
③
가문비나무
④
단풍나무
정답 : ④ 단풍나무 (2015년1회)
71.
옥상정원과 같은 인공지반 위에 식재할 경우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①
광선 및 습도
②
방수와 배수
③
미기후 조건
④
지반의 구조 및 강도
정답 : ① 광선 및 습도 (2016년4회)
72.
조경수목의 삽목 번식에 있어 발근과 관계되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캘러스가 형성되고 근원체가 움직일 무렵에는 상토를 약간 말려 주는 것이 좋은 결과를 가져다준다.
②
녹지삽에 있어서는 상토의 적습유지와 함계 삽목상의 감도는 공기를 포화상태에 가까운 높은 습도로 유지하는 것이 뿌리내림에 대한 중요한 조건이 된다.
③
온대식물의 상토 내 적온이 15 ~ 25℃이며, 항온조건보다 변온조건이 더 좋다.
④
삽수의 뿌리내림을 좋게 하기 위해서 정오에 햇빛에 일정시간 노출시킨다.
정답 : ④ 삽수의 뿌리내림을 좋게 하기 위해서 정오에 햇빛에 일정시간 노출시킨다. (2017년1회)
73.
도시 생태계의 일반적 특징이 아닌 것은?
①
귀화식물 등 불건전한 특유의 종 출현
②
원예종 위주의 증가로 생물종 다양성 증가
③
생태계 구조의 단순화
④
잡식성 동물종의 우점도 증가
정답 : ② 원예종 위주의 증가로 생물종 다양성 증가 (2015년4회)
74.
다음 지피식물 중 해안가 생육에는 가장 부적합 하지만 건조지의 생육에는 가장 적합한 것은?
①
모람
②
흰대극
③
바위솔
④
털머위
정답 : ③ 바위솔 (2014년4회)
75.
조경수목의 대기오염 저항력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같은 수목이라 하더라도 겨울보다는 봄부터 여름의 생장 최성기에 각종 해의 영향을 받기 쉽다.
②
바로 이식한 것은 저항력이 약하다.
③
상록수가 낙엽수에 비해 저항력이 강한 것이 많으나 침엽수 중에는 오염에 약한 것도 있다.
④
실생묘는 삽목묘 보다 저항력이 약하다.
정답 : ④ 실생묘는 삽목묘 보다 저항력이 약하다. (2015년1회)
76.
다음 중 참나무과 (科) 가 아닌 것은?
①
구실잣밤나무
②
홍가시나무
③
가시나무
④
밤나무
정답 : ② 홍가시나무 (2014년1회)
77.
식생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식생에 대한 분포를 시각적으로 알 수 있게한다.
②
식생도는 분포의 입지 관련 해석의 실마리를 제공해 준다.
③
세밀한 식생조사를 위해서 대축척의 식생도를 만든다.
④
대상(代償)식생이란 원래의 자연환경 조건에서 존재하였던 식생을 말한다.
정답 : ④ 대상(代償)식생이란 원래의 자연환경 조건에서 존재하였던 식생을 말한다. (2016년1회)
78.
자동차 배기가스에 약한 수목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①
향나무, 은행나무, 녹나무
②
측백나무, 태산목, 벽오동
③
소나무, 단풍나무, 튤립나무
④
석류나무, 양버즘나무, 무궁화
정답 : ③ 소나무, 단풍나무, 튤립나무 (2015년4회)
79.
인동과(科)가 아닌 것은?
①
댕강나무
②
분꽃나무
③
말발도리
④
병꽃나무
정답 : ③ 말발도리 (2015년1회)
80.
다음 설명에 적합한 수종은?
- 전체의 개화기간이 비교적 짧다. - 줄기에 피소(皮燒)현상이 발생한다. - 낙엽활엽교목으로 잎보다 꽃이 먼저 핀다.
①
Magnolia denudata
②
Campsis grandifolia
③
Cercis chinensis
④
Hibiscus syriacus
정답 : ① Magnolia denudata (2015년2회)
조경시공구조학
81.
콘크리트의 신축이음과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신축이음에는 필요에 따라 이음재, 지수판 등을 배치하여야 한다.
②
신축이음은 양쪽의 구조물 혹은 부재가 구속된 구조이어야 한다.
③
신축이음의 단차를 피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장부나 홈을 두는 것이 좋다.
④
신축이음의 단차를 피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전단연결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정답 : ② 신축이음은 양쪽의 구조물 혹은 부재가 구속된 구조이어야 한다. (2014년4회)
82.
배수방법에는 합류식과 분류식이 있다. 다음 중 합류식 배수방법의 장점에 해당하는 것은?
①
시공이 용이하다.
②
유속이 일정하고 빨라 침전물이 생기지 않는다.
③
전 오수를 하류처리장으로 도달시킬 수 있다.
④
수질오염을 방지하는 데 유리하다.
정답 : ① 시공이 용이하다. (2016년4회)
83.
다음 네트워크 공정표에서 상호관계만을 표현하는 파선 화살표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소요기간(duration)
②
더미(dummy)
③
결합(event)
④
작업(activity)
정답 : ② 더미(dummy) (2015년4회)
84.
도로의 편경사 설치 목적과 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편경사와 곡선반경은 비례한다.
②
도로의 곡선부에서 차량의 횡활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한다.
③
가장 빈도가 많은 속도에 대해서 자중(自重)과 원심력의 합력이 노면에 수직이 되도록 한다.
④
도로 곡선부에서 원심력에 의하여 한쪽으로 쏠려 승차감이 좋지 않은 것을 보정하여 준다.
정답 : ① 편경사와 곡선반경은 비례한다. (2015년4회)
85.
목재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비중이 작은 반면 압축강도가 크다.
②
건조변형이 적다.
③
생산 사이클이 짧아 친환경성이 높다.
④
열전도율이 낮다.
정답 : ② 건조변형이 적다. (2017년2회)
86.
수준측량에서 우연오차로 판단되는 것은?
①
지구 곡률에 의한 오차
②
빛의 굴절에 의한 오차
③
십자선의 굵기로 인해 발생하는 읽음 오차
④
표척의 눈금이 표준척에 비해 약간 크게 표시되어 발생하는 오차
정답 : ③ 십자선의 굵기로 인해 발생하는 읽음 오차 (2014년1회)
87.
도로설계 시 곡선반경을 결정하는 데 영향을 주는 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곡선부의 편경사 i (tanα)가 클수록 곡선반경이 커진다.
②
횡활동 미끄럼 마찰계수가 크면 곡선반경이 작아진다.
③
차량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④
설계속도가 커지면 곡선반경이 커진다.
정답 : ① 곡선부의 편경사 i (tanα)가 클수록 곡선반경이 커진다. (2015년1회)
88.
수평거리 측량에서 줄자의 신축으로 생기는 오차는?
①
우연오차
②
부정오차
③
착오
④
정오차
정답 : ④ 정오차 (2016년4회)
89.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구조물의 균열 및 변형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혼화재료는?
①
팽창재(Expansive producing admixtures)
②
지연제(Retarder)
③
실리카흄(Silica fume)
④
플라이애시(Fly ash)
정답 : ① 팽창재(Expansive producing admixtures) (2016년1회)
90.
건조할 경우 흙의 안식각 크기 비교를 틀리게 나타낸 것은?
①
자갈>점토
②
자갈>모래
③
점토>모래
④
모래>점토
정답 : ③ 점토>모래 (2014년2회)
91.
다음 그림의 옹벽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B의 각은 안식각 또는 휴식각이라 한다.)
①
4 m 이하의 높이에 유리한 구조다.
②
캔틸레버 옹벽으로 중력식 옹벽보다 구조상 유리한 단면이다.
③
무근 콘크리트 구조이다.
④
하중은 옹벽 높이 지점인 1.2 m 지점에 수평방향으로 작용한다.
정답 : ② 캔틸레버 옹벽으로 중력식 옹벽보다 구조상 유리한 단면이다. (2016년2회)
92.
각종 금속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알루미늄은 비중이 철의 1/3 정도로 경량이며 열·전기 전도성이 크다.
②
납은 비중이 비교적 작고 융점이 높아 가공이 어렵다.
③
동은 건조한 공기 중에서는 산화하지 않으나, 습기가 있거나 탄산가스가 있으면 녹이 발생한다.
④
청동은 구리와 주석을 주체로 한 합금으로 건축장식 부품 또는 미술공예 재료로 사용된다.
정답 : ② 납은 비중이 비교적 작고 융점이 높아 가공이 어렵다. (2014년1회)
93.
다음 중 구조물을 역학적으로 해석하고 설계하는 데 있어, 우선적으로 산정해야 하는 것은?
①
구조물 단면에 발생하는 내응력 산정
②
구조물에 작용하는 외응력 산정
③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 산정
④
구조물에 발생하는 반력 산정
정답 : ③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 산정 (2016년2회)
94.
평판측량의 방사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한 지점에 평판을 세우고 방향과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시준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없고 비교적 좁은 지역에 대축척으로 세부측량을 할 경우 효율적이다.
②
기기를 통한 관측으로 구하고자 하는 미지점의 좌표를 직접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지형의 모습을 도해적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③
기준점을 두 점 이상 취하여 기준점으로부터 미지점을 시준하여 방향선을 교차시켜 도면상에서 미지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④
어느 한 점에서 출발하여 측점의 방향과 거리를 측정하고 다음 측점으로 평판을 옮겨 차례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측량 지역이 좁고 긴 경우에 적당하다.
정답 : ① 한 지점에 평판을 세우고 방향과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시준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없고 비교적 좁은 지역에 대축척으로 세부측량을 할 경우 효율적이다. (2016년1회)
95.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검토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전도(overturning)
②
활동(sliding)
③
침하(settlement)
④
우력(couple forces)
정답 : ④ 우력(couple forces) (2017년1회)
96.
조경공사 중 잔디붙임 줄떼 작업 시 표준간격(cm)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15
②
10
③
30
④
50
정답 : ④ 50 (2016년4회)
97.
표준품셈을 적용하여 기계화 시공으로 식재공사를 할 경우 지주목을 세우지 않을 때는 인력품의 몇 %를 감하는가?
①
20%
②
5%
③
10%
④
3%
정답 : ① 20% (2016년2회)
98.
다음 품셈의 수량환산기준 중 틀린 것은?
①
수량은 지정 소수의 이하 2위까지 구한다.
②
소운반은 20 m 이내의 수평거리를 운반하는 경우를 말한다.
③
절토(切土)량은 자연상태의 설계도의 량으로 한다.
④
구적기(planimeter)로 계산할 경우는 3회 이상 측정하여 그 중 정확하다고 생각되는 평균값으로 한다.
정답 : ① 수량은 지정 소수의 이하 2위까지 구한다. (2015년2회)
99.
표토모으기 및 활용에 관한 표준시방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보관을 위한 가적치의 최적두께는 2.5m를 기준으로 하며 최대 5.0m를 초과하지 않는다.
②
식물생장에 적합한 표토의 구분은 유기물, 무기물, 유해한 물질의 존재여부 및 총량 등로 결정한다.
③
하층토와 복원표토와의 조화를 위하여 최소한 깊이 0.2m 이상의 지반을 경운한 후 그 위에 표토를 포설한다.
④
채집대상 표토의 토양산도(pH)가 5.6 ~ 7.4가 되도록 하여 사용한다.
정답 : ① 보관을 위한 가적치의 최적두께는 2.5m를 기준으로 하며 최대 5.0m를 초과하지 않는다. (2016년4회)
100.
평균 뒷길이가 0.6 m, 단위중량이 2.65 ton/㎥, 공극율이 35%, 실적율이 65% 일 때, 자연석을 20 ㎡ 면적에 쌓을 때 자연석 쌓기 중량은?
①
11.13 ton
②
20.67 ton
③
34.85 ton
④
1.03 ton
정답 : ② 20.67 ton (2014년2회)
조경관리
101.
불리한 환경에 따른 곤충의 활동정지(quiescence)와 휴면(diapaus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문제풀이닷컴에 입력되어 있는 기출문제 자료들를 활용하여 조경기사 필기 자격증 기출문제를 랜덤(무작위)하게 뽑아내었습니다.
각 문제 하단에 버튼을 클릭하면 정답 및 해당문제의 출제년도 및 회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타 및 오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알려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채점 및 결과 확인 기능은 블로그에서는 어려우니 홈페이지(https://quz.co.kr/)에서 문제풀이를 이용하시면 확인가능합니다.
조경기사 시험과목은 " 조경사, 조경계획, 조경설계, 조경식재, 조경시공구조학, 조경관리 " 총 6 과목으로 되어 있으며 과목당 40점이상,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아래 링크(문제풀이닷컴홈페이지)에서는 조경기사 기출문제 문제풀이를 회차별 또는 랜덤으로 회원가입등이 없이 문제풀이를 맘껏 풀이 해볼수 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조경기사 필기
조경사
1.
다음은 한국 전통조경 시설물, 혹은 전통수목과 관련 있는 단어들이다. 이 중 다른 3단어와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 사우단 ■ 송죽매국 ■ 절우사 ■ 죽림칠현
①
송죽매국
②
죽림칠현
③
절우사
④
사우단
정답 : ② 죽림칠현 (2017년2회)
2.
고대 메소포타미아인들의 정원에 대한 개념 중 틀린 것은?
①
방형(方形)의 공간에 천국의 4대강을 뜻하는 Paradise 개념의 수로를 배치하였다.
②
산악경관을 동경하여 이상화하였다.
③
높은 담으로 둘러싼 뜰 안을 기하학적으로 배치하였다.
④
관개용 수로를 기본적으로 배치하였다.
정답 : ② 산악경관을 동경하여 이상화하였다. (2017년2회)
3.
16세기에 조성된 “중국 - 한국 - 일본”의 정원으로 모두 옳은 것은?
①
유원 - 옥호정 - 선동어소
②
원명원 - 주합루 - 육의원
③
졸정원 - 소쇄원 - 대덕사 대선원
④
창춘원 - 서석지 - 수학원이궁
정답 : ② 원명원 - 주합루 - 육의원 (2017년2회)
4.
덕수궁 석조전 앞의 분수와 연못을 중심으로 정원과 가장 가까운 양식은?
①
독일의풍경식
②
이탈리아의 노단건축식
③
프랑스의 정형식
④
영국의 절충식
정답 : ③ 프랑스의 정형식 (2017년2회)
5.
다음 중 중세 장원제도(feudal system) 속에서 발달된 조경약식의 특징은?
①
내부공간 지향적 정원 수법
②
풍경식의 도입
③
로마시대의 공지 형태를 답습
④
성벽을 의식한 장대한 외부 경관의 조성
정답 : ① 내부공간 지향적 정원 수법 (2017년2회)
6.
이탈리아 르네상스 정원의 평면구성에서 제시된 도면 순서와 일치하는 것은? (단, ■ 표시는 카지노를 의미한다.)
①
메디치장(피에졸) - 이솔라벨라 - 파르네제장
②
파르네제장 - 란테장 - 에스테장
③
에스테장 - 란테장 - 메디치장(피에졸)
④
란테장 - 알도브란디니장 - 에스테장
정답 : ③ 에스테장 - 란테장 - 메디치장(피에졸) (2017년2회)
7.
다음 중 누정의 경관 처리 기법과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①
취경과 다경
②
허(虛)
③
축경
④
팔경
정답 : ③ 축경 (2017년1회)
8.
동양의 조경 관련 옛 문헌과 저자의 연결이 틀린 것은?
①
문진형 - 장물지
②
귤준망 - 작정기
③
소굴원주 - 축산정조전
④
서유구 - 임원경제지
정답 : ③ 소굴원주 - 축산정조전 (2017년1회)
9.
창덕궁의 명당수 어구에 설치한 금쳔고(1411) 북쪽에 세워진 동물 조각상은?
①
호랑이
②
기린
③
거북
④
용
정답 : ③ 거북 (2017년1회)
10.
다음 동양의 정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자연과 인간을 대립관계가 아닌 유기적 일원체로 이해했다.
②
고대에는 임천형의 정원이 공통적으로 출현 하고 있다.
③
유교, 불교사상은 정원발달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④
간접적인 자연의 관찰과 정형적인 인공미 원칙에 기반을 두고 있다.
정답 : ④ 간접적인 자연의 관찰과 정형적인 인공미 원칙에 기반을 두고 있다. (2017년1회)
11.
전통정원 연못에 도입된 섬의 형태가 3도형(三島型)이 아닌 곳은?
①
경주 동궁과 월지
②
경복궁 경회루 원지
③
창경궁 춘당지
④
남원 광한루 원지
정답 : ③ 창경궁 춘당지 (2017년2회)
12.
다음 중 동쪽은 청화원, 서쪽은 근춘원으로 나뉘어 있는 중국의 정원은?
①
어화원
②
기춘원
③
이화원
④
회춘원
정답 : ④ 회춘원 (2017년2회)
13.
중국 송의 유학자 주돈이의 애련설과 관련된 보길도 윤선도 원림에 있는 시설은?
①
녹우당(綠雨當)
②
동천석실(洞天石室)
③
익청헌(益淸軒)
④
낙서재(樂書齋)
정답 : ③ 익청헌(益淸軒) (2017년1회)
14.
1500년대 초에 만들어진 별서 정원으로 담 아래 구멍을 통해 흘러 들어온 물이 나무 흠대를 거쳐 못을 채우고 다시 넘친 물이 자연스럽게 떨어지도록 꾸며진 곳은?
①
양산보의 소쇄원
②
이퇴계의 도산원림
③
윤선도의 부용동 정원
④
노수진의 십청정
정답 : ① 양산보의 소쇄원 (2017년2회)
15.
창덕궁 내 천정(泉井)이 아닌 것은?
①
파리(玻璃)
②
몽천(蒙泉)
③
옥정(玉井)
④
마니(摩尼)
정답 : ② 몽천(蒙泉) (2017년2회)
16.
미국의 조경발달에 획기적인 영향을 미친 시카고 박람회의 영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도시미화운동의 부흥
②
도시계획 발달의 전기
③
건축, 토목 등과 공동작업의 계기
④
신도시계획 계기 마련
정답 : ④ 신도시계획 계기 마련 (2017년2회)
17.
일본 전통 수경요소 가운데 견수(遣水: 야리미즈)와 가장 가까운 형태는?
①
인공적 계류
②
샘
③
소폭포
④
연지
정답 : ① 인공적 계류 (2017년1회)
18.
T.V.A(Tenessee Valley Authority)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계획·설계 과정에 조경가들이 대거 참여
②
미국 최초의 광역지역계획
③
최초의 광역공원계통
④
수자원개발의 효시이자 지역개발의 효시
정답 : ③ 최초의 광역공원계통 (2017년1회)
19.
리젠트 파크의 영향을 받아 왕실 수렵원을 시민의 힘으로 공공공원으로 조성한 곳은?
①
뉴욕 센트럴 파크
②
영국 버큰헤드 파크
③
로마의 포름
④
뉴욕 프로스팩트 파크
정답 : ② 영국 버큰헤드 파크 (2017년2회)
20.
영국 풍경식 정원의 탄생에 기여한 작가가 아닌 사람은?
①
Earl Shaftesbury
②
Alexander pope
③
Joseph Addison
④
Inigo Thomas
정답 : ④ Inigo Thomas (2017년1회)
조경계획
21.
세계 최초로 지정된 국립공원과 한국 최초로 지정된 국립공원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①
옐로우스톤(yellow stone) - 설악산
②
요세미티(yosemite) - 오대산
③
옐로우스톤(yellow stone) - 지리산
④
요세미티(yosemite) - 속리산
정답 : ③ 옐로우스톤(yellow stone) - 지리산 (2017년2회)
22.
둘 이상의 행정구역에 걸치는 군립공원의 지정·관리시협의가 이루어지지 아니한 경우 관계자는 누구에게 재정 신청을 할 수가 있는가?
①
환경부장관
②
국토교통부장관
③
시·도지사
④
공원관리청장
정답 : ③ 시·도지사 (2017년2회)
23.
고속도로 조경계획 시 가능노선 선정을 고려사항을 도로 이용도와 경제적 측면, 기술적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다음 중 기술적 측면의 조건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운수속도(運輸速度)가 가장 빠른 노선을 선정한다.
②
토량 이동(절·성토)이 균형을 이루는 노선을 선정한다.
③
직선도로를 유지 하다록 노선을 선정한다.
④
오르막 구배가 너무 급하게 되면 우회노선을 선정한다.
정답 : ① 운수속도(運輸速度)가 가장 빠른 노선을 선정한다. (2017년2회)
24.
휴양림 지역 내 진입(進入)도로의 종점(終點)에 설치된 주차장으로 부터 휴양림의 주요시설 입구를 순환, 연결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도로를 가리키는 용어는?
①
녹도
②
벌도
③
목도
④
임도
정답 : ④ 임도 (2017년2회)
25.
다음 중 아파트 단지내 가로망 유형별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격자형은 토지 이용상 효율적이나 단조로운 경관을 만들기 쉽다.
②
격자형은 지형의 변화가 심한 곳에서 적용하기 유리하다.
③
막다른 골목형은 통과교통을 최대한 줄일 수 있으며 각 건물에 접근하는데 불편하다.
④
우회형은 통과교통이 상대적으로 적어 주거환경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용이하다.
정답 : ② 격자형은 지형의 변화가 심한 곳에서 적용하기 유리하다. (2017년1회)
26.
다음 [보기]는 「도시계획 관련 규정」중 어느 법에 대한 설명인가?
[보기] 도시지역의 시급한 주택난을 해소하기 위하여 주택 건설에 필요한 택지의 취득·개발·공급 및 관리 등에 관하여 특례를 규정함으로써 국민주거 생활의 안정과 복지 향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제정 되었다.
①
주택건설촉진법
②
도시개발법
③
주택법
④
택지개발촉진법
정답 : ④ 택지개발촉진법 (2017년1회)
27.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상 등록체육시설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스키장업
②
승마장업
③
골프장업
④
자동차 경주장업
정답 : ② 승마장업 (2017년2회)
28.
다음 [보기]에 제시하는 정의는 어떤 학문분야에 대한 설명인가?
[보기] - 인간 형태와 물리적 환경의 관계성에 관련되는 학문이다. - 물리적 환경과 인간 형태 및 경험과의 상호관계성에 초점을 맞추는 분야이다. - 물리적 환경에 내재된 인간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①
인체공학
②
환경생태학
③
환경심리학
④
인간생태학
정답 : ③ 환경심리학 (2017년1회)
29.
계획 및 설계에서 피드백(feed back) 과정을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①
피드백 과정 시에는 조겨가만이 참여하며 의뢰인은 참여하지 않는다.
②
계획에서는 피드백 과정이 필요하나 설계에서는 필요하지 않다.
③
피드백은 계획수행 과정상 전단계로 되돌아가 작성된 안을 다시 한번 검토해보는 것을 말한다.
④
피드백은 자료의 분석 후 이들을 종합하는 과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기법이다.
정답 : ③ 피드백은 계획수행 과정상 전단계로 되돌아가 작성된 안을 다시 한번 검토해보는 것을 말한다. (2017년2회)
30.
토양 단면의 구분에 있어서 연결이 잘못된 것은?
①
C층 : 기반암(무기물층)
②
A층 : 용탈층(표토)
③
B층 : 집적층(심토)
④
O층 : 유기물층
정답 : ① C층 : 기반암(무기물층) (2017년1회)
31.
린치(K. Lynch)가 제시한 도시 이미지 형성에 기여하는 물리적 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통로(paths)
②
지역(districts)
③
장소성(sense of place)
④
모서리(edges)
정답 : ③ 장소성(sense of place) (2017년1회)
32.
1875년 영국에서 불결한 도시주거환경을 제거하기 위해 새로이 건설되는 주택의 상하수도 시설과 정원 크기 및 주변 도로의 폭등 주거환경기준을 규제하는 목적으로 제정된 법은?
①
공중위생법(public health act)
②
건축법(building code)
③
단지조성법(site planning act)
④
미관지구에 관한 법(law of neautification district)
정답 : ① 공중위생법(public health act) (2017년2회)
33.
공원녹지 체계를 설명한 것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호수, 운동장, 광장 등은 공원을 보완하는 점적·면적요소이다.
②
체계를 구성하는 요소는 하나의 큰 공원이다.
③
가로수나 하천을 공원의 연계요소로 이용한다.
④
다수의 공원을 연계하여 상호간의 관계를 만든다.
정답 : ② 체계를 구성하는 요소는 하나의 큰 공원이다. (2017년2회)
34.
다음 중 GIS의 기능적 요소가 아닌 것은?
①
자료 처리
②
자료 복원
③
자료 출력
④
자료 관리
정답 : ② 자료 복원 (2017년1회)
35.
다음 중 I. McHarg가 주로 사용해 정착된 적지 판정법은?
①
image map method
②
DGN method
③
overlay method
④
motation method
정답 : ③ overlay method (2017년2회)
36.
도시민이 이용할 수 있는 공원녹지를 확충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도시지역의 식생 또는 임상(林床)이 양호한 토지의 소유자의 그 토지를 일반 도시민에게 제공하는 것을 조건으로 해당 토지의 식생 또는 임상의 유지·보존 및 이용에 필요한 지원을 하는 것을 내용으로 시장이 하는 계약은?
①
녹화계약
②
녹지활용계약
③
토지거래계약
④
생물다양성관리계약
정답 : ② 녹지활용계약 (2017년2회)
37.
다음 중 오픈스페이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지붕 없이 하늘을 향해 열려 있는 땅이다.
②
주변이 수직적인 요소로 둘러싸인 공지를 말한다.
③
공원이나 녹지 등과 같이 도시계획 시설의 하나이다.
④
집, 공장, 사무실, 등과 같은 건물이나 시설물이 지어지지 않은 땅을 말한다.
정답 : ③ 공원이나 녹지 등과 같이 도시계획 시설의 하나이다. (2017년1회)
38.
단지 내 보행자 공간의 역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경제적 역할로 쾌적한 보행자 공간의 조성을 통해 연도상가의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다.
②
생활공간 제공 역할로 산책, 놀이, 대화 등의 생활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③
환경보호적 역할로 보행의 안전과 보안 및 방범효과를 높여준다.
④
교통관리 역할로 안락하고 편리한 보행자 공간을 이용하여 보행자들이 목적지까지 편리하게 도달할 수 있게 한다.
정답 : ③ 환경보호적 역할로 보행의 안전과 보안 및 방범효과를 높여준다. (2017년2회)
39.
국토의 용도 구분 중에서 농립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자연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는 지역의 명칭은?
①
농림지역
②
관리지역
③
산림지역
④
도시지역
정답 : ② 관리지역 (2017년2회)
40.
조경기본계획 작성 과정에서 자료 분석 종합 후 대안 설정기준으로서 일반적으로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①
식재 및 공급처리시설
②
동선 및 식재
③
토지이용 및 동선
④
공급처리 및 구조물
정답 : ③ 토지이용 및 동선 (2017년1회)
조경설계
41.
“가까이 있는 두가지 이상의 색을 동시에 볼 때 색의 삼속성 차이로 서로 영향을 받아 색이 다르게 보이는 대비 현상” 에 적용되는 것은?
①
동시대비
②
연속대비
③
면적대비
④
계시대비
정답 : ① 동시대비 (2017년1회)
42.
조경설계기준상 토지이용 상충지역 완충녹지의 설계로 옳지 않는 것은?
①
완충녹지의 폭원은 최소 20m를 확보한다.
②
재해 발생시의 피난지로서 설치하는 녹지는 교목 식재를 하고, 전체 녹화 면적률이 50% 정도가 되도록 한다.
③
보안, 접근 억제, 상충되는 토지이용의 조절 등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녹지는 교목, 관목 또는 잔디, 기타 지피식물을 재식하고 녹화면적률이 80% 이상이 되도록 한다.
④
임해매립지의 방풍·방조녹지대의 폭원은 200 ~ 300m를 확보한다.
정답 : ② 재해 발생시의 피난지로서 설치하는 녹지는 교목 식재를 하고, 전체 녹화 면적률이 50% 정도가 되도록 한다. (2017년2회)
43.
도면에 사용하는 인출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가는 실선을 사용한다.
②
식재설계시 수목명, 수량, 규격을 기입하기 위해 사용한다.
③
치수선의 보조선이다.
④
도면 내용물의 대상 자체에 기입할 수 없을 때 사용한다.
정답 : ③ 치수선의 보조선이다. (2017년1회)
44.
경관을 구성하는 지배적인 요소가 아닌 것은?
①
선(line)
②
연속성(sequence)
③
질감(text)
④
색채(color)
정답 : ② 연속성(sequence) (2017년1회)
45.
도시경관과 자연경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자연경관은 도시경관에 비해 부드러운 질감을 가진다.
②
자연경관이 도시경관에 비해 색채대비가 낮다.
③
일반적으로 자연경관이 도시경관에 비해 선호도가 높다.
④
도시경관의 복잡성은 자연경관의 복잡성보다 상대적으로 낮다.
정답 : ④ 도시경관의 복잡성은 자연경관의 복잡성보다 상대적으로 낮다. (2017년1회)
46.
친환경적 도시시설 중에는 자전거전용도로가 가장 효율적인 시설 중의 하나이다. 다음 중에서 자전거 전용도로 설계 시 양측의 여유를 고려한 1차선 폭은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단, 지역상황 등에 따라 부득이하다고 인정되는 경우는 고려하지 않음.
①
180cm
②
100cm
③
150cm
④
120cm
정답 : ③ 150cm (2017년2회)
47.
공원의 휴식공간에 설치하고자 하는 음수대(飮水臺)의 디자인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관리유무
②
배수시설
③
사용목적
④
사용대상
정답 : ② 배수시설 (2017년1회)
48.
조경 제도에서 대상물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표시하는데 사용하는 선의 종류는?
①
2점 쇄선
②
파선
③
1점 쇄선
④
가는 실선
정답 : ② 파선 (2017년1회)
49.
다음 중 일반적인 조경설계 과정에 포함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
①
프로그램 개발
②
조사와 분석
③
모니터링 설계
④
개념적인 설계
정답 : ③ 모니터링 설계 (2017년2회)
50.
다음 재료 구조 표시 시호(단면용)에 해당되는 것은?
①
인조석
②
석재
③
잡석다짐
④
지반
정답 : ② 석재 (2017년2회)
51.
경계석 설치시 그 기능이 가장 낮은 것은?
①
자연석 디딤돌의 경계부
②
차도와 보도 사이
③
차도와 식재지 사이
④
유동성 포장재의 경계부
정답 : ① 자연석 디딤돌의 경계부 (2017년2회)
52.
다음에서 대칭 균형 원리의 예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①
독립문
②
낙선재
③
파르테논신전
④
불국사 대웅전
정답 : ② 낙선재 (2017년2회)
53.
산림지역에서 지도상에 표시한 몇 개의 지점을 지도와 나침반만을 사용하여 가능한 한 짧은 시간 내에 발견, 통과, 골인하는 스포츠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오리엔트 파크(Orient Park)
②
오리엔트 링크(Orient Link)
③
자연 탐방로(Nature Trail)
④
오리엔테이션(Orientation)
정답 : ② 오리엔트 링크(Orient Link) (2017년1회)
54.
다음 중 균형과 관계있는 용어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비대칭
②
대칭
③
주도와 종속
④
점증
정답 : ④ 점증 (2017년2회)
55.
다음 중 운율미(韻律美)의 표현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①
일정한 간격을 두고 들려오는 소리
②
변화되는 색채
③
편평한 벽에 생긴 갈라진 틈
④
수관의 율동적인 선(線)
정답 : ③ 편평한 벽에 생긴 갈라진 틈 (2017년2회)
56.
다음의 두 도형에 있어서 동일 면적인 작은 원 a, b 중 a 가 b 보다 크게 보이는 착시 현상은 무엇 때문인가?
①
분할의 착시
②
면적에 대한 착시
③
대비의 착시
④
수평수직에 의한 착시
정답 : ③ 대비의 착시 (2017년1회)
57.
노약자, 신체장애인을 고려한 시설 설계기준으로 틀린 것은?
①
보도 면은 바퀴가 빠지지 않도록 틈이 없어야 한다.
②
보도의 경사도는 10% 이내가 적당하다.
③
휠체어 사용자가 통행할 수 있는 경사로의 유효폭은 120cm 이상으로 한다.
④
안내시설은 어린이와 장애인을 고려하여 보행동선에서 1m 이내가 되도록 계획한다.
정답 : ② 보도의 경사도는 10% 이내가 적당하다. (2017년1회)
58.
도면 제조 시 치수선에 수치를 쓸 때 방향이 틀린 것은?
①
좌측은 아래에서 위쪽으로
②
우측은 위에서 아래쪽으로
③
상단부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④
하단부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정답 : ② 우측은 위에서 아래쪽으로 (2017년2회)
59.
다음 그림과 같이 2개의 자연요소를 맥하그(HcHarg)의 도면결합법(overlay method)로 분석하였을 때 최적지는 몇 점인가? (단, 점수가 높을수록 최적지임)
①
5
②
6
③
4
④
7
정답 : ① 5 (2017년1회)
60.
다음 환경지각 이론 중에서 지원성(affordance)의 지각을 내용으로 하는 이론은?
①
장(場)의 이론
②
생태적 이론
③
확률적 이론
④
형태심리 이론
정답 : ② 생태적 이론 (2017년2회)
조경식재
61.
추이대(推移帶, ecotone)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추이대에서만 살고 있는 고유종이 존재할 수 있다.
②
숲과 초원 등 군집 사이의 이행부이다.
③
종수나 일부 종의 밀도가 인접한 군집보다 높다.
④
양 군집의 인접부위로서 그 폭이 인접군집보다 훨씬 넓다.
정답 : ④ 양 군집의 인접부위로서 그 폭이 인접군집보다 훨씬 넓다. (2017년1회)
62.
수목의 명명법에 관련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학명은 라틴어로 표기한다.
②
학명(學名)의 속명(屬名)은 소문자로 시작한다.
③
학명은 속(屬)명과 종(種)명이 연결된 이명식(二名式)이다.
④
학명은 전 세계적으로 동일하게 통용되는 장점이 있다.
정답 : ② 학명(學名)의 속명(屬名)은 소문자로 시작한다. (2017년1회)
63.
다음 설명하는 식물은?
- 꽃고비과이다. - 잎은 상록성 다년초로 경질이며 군생한다. - 잎은 엽병이 없이 마주나기하며, 길이 8 ~ 20mm로서 대개 피침형이지만 그 외에도 여러가지 형태의 것이 있다.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껄끄럽다. - 광선을 요하며, 노지에서 월동가능하다.
①
프리뮬러
②
지면패랭이꽃
③
삼지구엽초
④
바위취
정답 : ② 지면패랭이꽃 (2017년2회)
64.
중부지방의 석유화학공업단지 식재에 가장 적합한 수종은?
①
가죽나무, 가시나무
②
일본잎갈나무, 산수국
③
은행나무, 무궁화
④
산수국, 튤립나무
정답 : ③ 은행나무, 무궁화 (2017년1회)
65.
식재시방서의 식재구덩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대형목 등 특수목 식재를 위한 구덩이의 굴착방법은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②
식재 구덩이를 팔 때에는 표토와 심토는 따로 갈라놓아 표토를 활용할 수 있도록 조치한다.
③
식재구덩이는 식재 당일에 굴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④
지정된 장소가 식재 불가능할 경우 도급업자가 임의로 옮겨 심는다.
정답 : ④ 지정된 장소가 식재 불가능할 경우 도급업자가 임의로 옮겨 심는다. (2017년2회)
66.
학교조경 설계 시 식물재료의 선정조건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①
그 학교를 상징할 수 있는 수종
②
교과서에 취급된 수종
③
주변환경에 내성이 강한 수종
④
잎이나 꽃이 아름다운 외국 수종
정답 : ④ 잎이나 꽃이 아름다운 외국 수종 (2017년2회)
67.
광 보상점(light compensation point)이 가장 낮은 식물은?
①
버드나무
②
자작나무
③
소나무
④
주목
정답 : ④ 주목 (2017년2회)
68.
수분 요구도별 식물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침수식물은 뿌리가 물 밑 땅속에 고착하고 식물체의 전부가 수면 하에 있으며, 이삭물수세미가 해당된다.
②
습생식물은 주로 토양이 축축한 습지에서 생활하며, 바위솔이 해당된다.
③
건생식물은 증산작용을 억제하기 위해 잎의 표피조직이 두껍게 발달되며, 세덤(Seduum)속이 해당된다.
④
부엽식물은 뿌리가 물 밑 땅속에 고착하고 잎은 수면에 띄우며, 연꽃이 해당된다.
정답 : ② 습생식물은 주로 토양이 축축한 습지에서 생활하며, 바위솔이 해당된다. (2017년2회)
69.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 많이 식재되는 상록활엽 수종이 아닌 것은?
①
Daphne odora
②
Gardenia jasminoides
③
Viburnum Carlesii
④
Osmanthus fragrans
정답 : ③ Viburnum Carlesii (2017년1회)
70.
학교조경 설계 시 식물재료의 선정조건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①
교과서에 취급된 수종
②
그 학교를 상징할 수 있는 수종
③
잎이나 꽃이 아름다운 외국 수종
④
주변환경에 내성이 강한 수종
정답 : ③ 잎이나 꽃이 아름다운 외국 수종 (2017년2회)
71.
수목류를 활용한 식재의 방법 중 틀린 것은?
①
식생상심기는 암석을 채굴하고 깎아낸 대규모 암반비탈의 소단위에 객토와 시비를 한 후, 녹화용 묘목을 식재하여 수평선상으로 녹화하고자 설계한다.
②
차례수벽공법은 수벽을 3열로 조성할 때는 중앙에 교목을 2열로 열식하고 앞이나 혹은 뒤에 관목을 배식한다.
③
소단상객토식수공법의 소단은 나무를 심고 자랄 수 있는 충분한 너비를 가져야 하며, 소단상 객토는 깊이 0.3m 이상, 너비 1.0m 이상을 표준으로 한다.
④
차폐수벽공법은 수벽을 3열로 조성할 때는 중앙에 활엽교목을 1열로 식재하고, 그 앞뒤에 침엽수 또는 관목으로 배식한다.
정답 : ① 식생상심기는 암석을 채굴하고 깎아낸 대규모 암반비탈의 소단위에 객토와 시비를 한 후, 녹화용 묘목을 식재하여 수평선상으로 녹화하고자 설계한다. (2017년1회)
72.
수목검사 시 다음 설명 중 ( ) 안에 적합한 수목 규격의 허용범위는?
수목규격의 허용차는 수종별로 ( ) 사이에서 여건에 따라 발주자가 정하는 바에 따른다. 단, 허용치를 벗어나는 규격의 것이라도 수형과 지엽 등이 지극히 우량하거나 식재지 및 주변 여건에 조화될 수 있다고 판단되어 감독자가 승인한 경우에는 사용할 수 있다.
①
-25 ~ -15%
②
-5 ~ 0%
③
-15 ~ -10%
④
-10 ~ -5%
정답 : ④ -10 ~ -5% (2017년2회)
73.
느릅나무과(科)의 수종이 아닌 것은?
①
Celtis sinensis
②
Ficus carica
③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④
Zelkova serrata
정답 : ② Ficus carica (2017년1회)
74.
열매의 형태가 시과(翅果, samara)가 아닌 수종은?
①
당단풍나무
②
비목나무
③
참느릅나무
④
물푸레나무
정답 : ② 비목나무 (2017년1회)
75.
홍만선의 산림경제(山林經濟)에 의한 수목 식재 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크기나 수종이 같은 것은 대칭으로 심거나 열식하지 않는다.
②
한 공간 내에서 질감의 강한 대조는 주지 않는다.
③
서북쪽에는 큰 나무를 심지 않고 동남쪽에는 큰 나무를 심는다.
④
마당 한가운데를 피하고 마당가의 담장 쪽에 심는다.
정답 : ③ 서북쪽에는 큰 나무를 심지 않고 동남쪽에는 큰 나무를 심는다. (2017년1회)
76.
생태적 복원 중 “대체(replacemen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완벽한 복원보다는 못하지만 원래의 자연상태와 유사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
②
현재의 상태를 개선하기 위하여 다른 생태계로 원래의 생태계를 대체하는 것
③
유사한 기능을 지니면서도 다양한 구조의 생태계를 창출하는 것
④
구조에 있어서는 간단할 수 있지만, 보다 생산적일 수 있는 것
정답 : ① 완벽한 복원보다는 못하지만 원래의 자연상태와 유사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 (2017년1회)
77.
다음 중 미선나무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①
이른 봄에 흰색 또는 분홍색 꽃이 잎보다 먼저 핀다.
②
두릅나무과(科)의 수종이다.
③
학명은 Abeliophyllum distichum 이다.
④
성상은 낙엽활엽관목이며, 열매는 부채꼴형이다.
정답 : ② 두릅나무과(科)의 수종이다. (2017년1회)
78.
수목의 수형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인간의 영향(접촉)
②
관수량
③
태양광의 입사각
④
바람
정답 : ② 관수량 (2017년2회)
79.
수목식재 공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수목 앉히기가 끝나면 물을 식재구덩이에 충분히 붓고 각목 등으로 저어 흙이 뿌리분에 완전히 밀착되게 한다.
②
식재구덩이 내 불순물을 제거한 양질토사를 넣고 바닥을 고른다.
③
가로수 식재의 마감면은 보도 연서면 보다 3cm 이하로 끝마무리 한다.
④
수목의 운반거리, 운반로 상태 등을 고려하여 뿌리분의 크기를 가능한 한 작게 하여 운반을 용이하도록 한다.
정답 : ④ 수목의 운반거리, 운반로 상태 등을 고려하여 뿌리분의 크기를 가능한 한 작게 하여 운반을 용이하도록 한다. (2017년1회)
80.
식생과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어떤 군락을 특징할 수 있는 종군을 표징종(character species)이라 한다.
②
인간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은 식생을 대상식생(substitute vegetation)이라 한다.
③
변화해 버린 입지 조건하에서 인간에 의한 영향이 제거되었다고 할 때 성립이 예상되는 자연식생을 현재의 잠재자연식생(potential natural vegetation)이라 한다.
④
군집 속에서 아군집을 구분하기 위해 양적으로 우점하고 있는 종을 식별종(differences species)으로 삼는다.
정답 : ② 인간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은 식생을 대상식생(substitute vegetation)이라 한다. (2017년2회)
조경시공구조학
81.
어떤 A부지는 잔디지역의 면적 0.4ha(유출계수 0.25), 아스팔트 포장지역의 면적 0.2ha(유출개수 0.9)로 구성되어 있다. 강우강도는 20mm/h 일 때, A지역의 총 우수유출량(㎥/sec)은?
①
5.6000
②
0.0156
③
0.0100
④
0.0056
정답 : ② 0.0156 (2017년1회)
82.
등고선의 성질 중 틀린 것은?
①
도상간격이 넓으면 완경사면이다.
②
등고선은 급경사면에는 서로 겹친다.
③
등고선의 도상간격은 동일한 경사면에서 등거리이다.
④
등고선은 도면 안 또는 밖에서 반드시 폐합한다.
정답 : ② 등고선은 급경사면에는 서로 겹친다. (2017년2회)
83.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검토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활동(sliding)
②
전도(overturning)
③
우력(couple forces)
④
침하(settlement)
정답 : ③ 우력(couple forces) (2017년1회)
84.
에폭시수지 도료에 관한 일반사항 중 틀린 것은?
①
내수성(耐水性)과 내약품성(耐藥品性)이 나쁘다.
②
열에 강하다.
③
여러가지 충전재와는 혼합사용 할 수 있다.
④
금속고무 등에도 접착이 잘 된다.
정답 : ① 내수성(耐水性)과 내약품성(耐藥品性)이 나쁘다. (2017년2회)
85.
다음 보의 종류 중 캔틸레버보에 해당하는 것은?
①
②
③
④
정답 : ④ (2017년1회)
86.
수준측량에서 부정(우연)오차로 판단되는 것은?
①
지반 연약으로 인한 오차
②
광선 굴절에 의한 오차
③
시치로 인한 오차
④
표척의 눈금이 표준척에 비해 약간 크게 표시되어 발생하는 오차
정답 : ③ 시치로 인한 오차 (2017년1회)
87.
시방서의 작성요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설계도면의 내용이 불충분한 부분은 보충 설명한다.
②
설계도면과 시방서의 내용이 상이하지 않도록 한다.
③
재료의 품목을 명확하게 규정한다.
④
표준시방서는 공사시방서를 기본으로 작성한다.
정답 : ④ 표준시방서는 공사시방서를 기본으로 작성한다. (2017년2회)
88.
그림과 같은 보에서 지점 A지점 반력의 크기는 몇 kN인가?
①
13
②
11
③
15
④
9
정답 : ② 11 (2017년2회)
89.
수중콘크리트에 대한 다음 설명 중 A와 B에 알맞은 것은?
현장 타설 콘크리트말둑 및 지하역속변 콘크리트는 수중에서 시공할 때 강도가 대기중에서 시공할 때 강도의 ( A )배, 안정액중에서 시공할 때 강도가 대기 중에서 시공할 때 강도의 ( B )배로 하여 배합강도를 설정하여야 한다.
①
A: 0.7 , B: 0.8
②
A: 0.8 , B: 0.7
③
A: 0.7 , B: 0.7
④
A: 1.2 , B: 1.4
정답 : ② A: 0.8 , B: 0.7 (2017년1회)
90.
철근콘크리트 구조로서 단면적의 형태를 취하여 구조체의 부피가 상대적으로 적어 자중이 줄어든만큼 옹벽 배면의 기초 저판위의 흙의 무게를 보강하여 안정성을 높인 옹벽의 형태는?
①
캔틸레버식
②
부축벽식
③
조립식
④
중력식
정답 : ① 캔틸레버식 (2017년2회)
91.
축척 1/300 도면을 구적기(Planimeter)의 축척 1/600로 맞추고 측정 하였더니 1246㎡가 되었다면 실제적인 면적은 얼마인가?
①
623㎡
②
2492㎡
③
4984㎡
④
311.5㎡
정답 : ④ 311.5㎡ (2017년2회)
92.
아스팔트로 포장된 폭(幅)이 5m 되는 차도에서 횡단구배를 4% 유지해야 한다면, 도로의 노정(路頂)과 노단(路端)의 수직적인 높이 차이는?
①
2.50 m
②
0.10 m
③
0.05 m
④
1.25 m
정답 : ② 0.10 m (2017년2회)
93.
그림과 같은 보에서 점 B에서의 굽힘 모멘트의 크기는 몇 kNm인가?
①
16.0
②
9.6
③
8.0
④
17.6
정답 : ④ 17.6 (2017년1회)
94.
2m의 터파기 공사에서 적용하는 일반적인 흙의 휴식각(안식각)은 얼마인가?
①
20˚
②
30˚
③
0˚
④
10˚
정답 : ② 30˚ (2017년2회)
95.
배수계획에서 유출량과 강우량과의 비율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강우계속시간
②
유출계수
③
수문통계
④
강우강도
정답 : ② 유출계수(2017년2회)
96.
목재 방부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약제 도포법
②
습식법
③
약제 주입법
④
표면탄화법
정답 : ② 습식법 (2017년2회)
97.
옥상녹화 시스템의 식재기반 구성요소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①
집적층
②
방수층
③
식재기반층
④
배수층
정답 : ① 집적층 (2017년1회)
98.
중용열 포틀랜드시멘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방사선 차단용 콘크리트에 적합하다.
②
단기강도는 조강 포틀랜드시멘트보다 작다.
③
내구성이 크며 장기강도가 크다.
④
수화열량이 적어 한중공사에 적합하다.
정답 : ④ 수화열량이 적어 한중공사에 적합하다. (2017년1회)
99.
식물생장에 적합한 표토모으기와 관련된 설명 중 거리가 먼 것은?
①
표토의 토양산도(pH)는 6.0 ~ 7.0 범위를 채집 대상으로 한다.
②
표토보관과 관련하여 가적치의 최적두께는 1.5m를 기준으로 한다.
③
표토가 습윤상태이고, 지하수위가 높은 평탄지를 대상으로 채취한다.
④
표토의 운반거리는 최소로 하고, 운반양은 최대로 한다.
정답 : ③ 표토가 습윤상태이고, 지하수위가 높은 평탄지를 대상으로 채취한다. (2017년1회)
100.
하수도시설 기준에서 오수관거 계획시 고려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관거배치는 지형, 지질, 도로폭 및 지하매설물 등을 고려하여 정한다.
②
분류식과 합류식이 공존하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양 지역의 관거는 분리하여 계획한다.
③
관거는 원칙적으로 개거로 하며, 수밀한 구조로 하여야 한다.
④
오수관거와 우수관거가 교차하여 역사이펀을 피할 수 없는 경우에는 오수관거를 역사이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 : ③ 관거는 원칙적으로 개거로 하며, 수밀한 구조로 하여야 한다. (2017년2회)
조경관리
101.
다음중 비결정형(부정형) 광물은?
①
카올리나이트(kaolinite)
②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nite)
③
알로펜(allophane)
④
일라이트(illite)
정답 : ③ 알로펜(allophane) (2017년1회)
102.
식물병은 예방이 주축을 이루고, 치료는 아직까지 그 일부에 지나지 않는데 그 이유로 합당하지 않는 것은?
①
방제에 사용되는 약제의 대부분이 치료 효과가 확실하지 않다.
②
식물병의 치료는 원인 규명이 중요한다.
③
식물은 체내에 순환계를 지니지 않고 있다.
④
경제적으로 방제 경비가 제한된다.
정답 : ② 식물병의 치료는 원인 규명이 중요한다. (2017년1회)
103.
안전사고 발생시 사고처리 요령 중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①
관계자에게 통보
②
사고자의 구호
③
사고 상황의 파악·기록
④
사고책임의 명확화
정답 : ② 사고자의 구호 (2017년2회)
104.
공원의 이용자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대상지의 보전이란 차원에서 이용자의 행위를 규제할 수 있다.
②
다양한 계층의 이용자 필요에 대응하여 유연하게 운영해야 한다.
③
이용자 관리의 대상은 현재 공원을 이용하는 사람과 이용경험이 있는 사람에 한한다.
④
적정한 이용이 되도록 지도감독 하는 것도 이용자관리 업무이다.
정답 : ③ 이용자 관리의 대상은 현재 공원을 이용하는 사람과 이용경험이 있는 사람에 한한다. (2017년2회)
105.
침투성 살충제의 작용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주로 섭식성 해충의 피부에 접촉, 흡수되어 살충력을 나타낸다.
②
살포 즉시 강력한 살충력을 나타내며 잔효성이 매우 짧은 편이다.
③
우수한 살충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작물체표면에 균일하게 살포되어야 한다.
④
즙액을 빨아먹는 흡즙해충에 특히 우수한 살충력을 나타낸다.
정답 : ④ 즙액을 빨아먹는 흡즙해충에 특히 우수한 살충력을 나타낸다. (2017년2회)
106.
수분 공급을 위한 관수방법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①
도랑식 관수는 경사도나 유속과 상관없이 균일한 관수가 가능하다.
②
스프링클러는 대면적 관수작업 시 효율적이다.
③
하루 중 관수 시기는 정오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가장 좋다.
④
식물이 위조현상을 보인 후에 관수해도 상관없다.
정답 : ② 스프링클러는 대면적 관수작업 시 효율적이다. (2017년1회)
107.
다음 중 쥐똥밀깍지벌레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수컷은 나뭇가지에 모여 살며 백색의 밀랍을 분비하기 때문에 피해를 발견하기 쉽다.
②
연 2회 발생하며 알로 월동한다.
③
가해수종으로는 쥐똥나무, 물푸레나무, 이팝나무 등이 있다.
④
가해수종의 가지에 기생하여 흡즙 가해하므로 수세가 약화된다.
정답 : ② 연 2회 발생하며 알로 월동한다. (2017년2회)
108.
농약의 약자와 농약 제형이 잘못 표기된 것은?
①
(수) : 수화제
②
(훈) : 훈연제
③
(입) : 입제
④
(유) : 유제
정답 : ② (훈) : 훈연제 (2017년1회)
109.
비료의 화학적 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식물이 양분을 흡수하는 데 매우 중요
②
비료 자체의 소용액 고유의 반응
③
비료의 화학적 반응과 생리적 반응은 일치
④
화학적 반응은 산성과 염기성 반응으로 구분
정답 : ② 비료 자체의 소용액 고유의 반응 (2017년1회)
110.
다음 중 파이토플라스마(phytoplasma)에 의해 발생되는 수목병이 아닌 것은?
①
오동나무 빗자루병
②
뽕나무 오갈병
③
철쭉류 떡병
④
대추나무 빗자루병
정답 : ③ 철쭉류 떡병 (2017년1회)
111.
유지관리를 위해 공원 내 태풍으로 쓰러진 키가 큰 나무를 기계톱으로 절단할 때 유의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