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조경계획을 위한 분석과 종합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분석은 관련 자료를 분야별로 나누어 조사하는 것이며, 종합은 이들을 평가하여 대안작성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 것이다.
②
분석은 관련 자료를 부분적으로 나누어 검토하는 것이며, 종합은 이들을 체계화시키고 중요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이다.
③
분석과 종합을 위해서는 창의성 보다는 합리적 접근이 보다 많이 요구된다.
④
분석을 주로 정량적(定量的)특성을 지니며 종합은 주로 정성적(定性的)특징을 지닌다.
정답 : ④ 분석을 주로 정량적(定量的)특성을 지니며 종합은 주로 정성적(定性的)특징을 지닌다.
(2018년2회)
22.
다음 중 도로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교통량이 적은 노선보다 많은 노선에서 설계속도를 빠르게 잡는다.
②
단거리 교통의 지방도로 보다 장거리 교통이 많은 간선 도로에서 설계속도를 빠르게 잡는다.
③
도로의 속도는 지점속도, 주행속도, 구간속도, 운전속도, 임계속도 등으로 세분될 수 있다.
④
일반적으로 설계속도는 평지부보다 산지부가 더 빠르다.
정답 : ④ 일반적으로 설계속도는 평지부보다 산지부가 더 빠르다. (2014년4회)
23.
다음 중 형태분석 모델 중 “지각된 환경의 질에 대한 지표를 의미하며, 환경의 질에 관한 측정 기준을 설정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환경설계를 수행할 수 있는 기반 조성을 위한 모델”은 무엇인가?
①
3차원모델
②
순환모델
③
PEQI
④
역모델
24.
다음 중 단지계획 시 접근로(계획도로)의 고려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가능한 범위 내에서 차도의 폭을 넓히고 회전 반경을 크게 하여 차량의 속도를 일정하게 해 안전한 보행을 도모한다.
②
도로형태를 자연지형에 따르게 하고, 불필요한 수목들은 제거함으로써 시야를 넓혀 준다.
③
오픈 스페이스의 일부부을 도로변에 형성시켜 운전자가 녹화된 주택지라는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④
연속적인 경관을 고려하여 장소에 따라 시야를 제한하거나 넓혀주어 변화를 준다.
정답 : ① 가능한 범위 내에서 차도의 폭을 넓히고 회전 반경을 크게 하여 차량의 속도를 일정하게 해 안전한 보행을 도모한다. (2015년4회)
25.
다음 중 경관분석의 기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기호화 방법
②
군락측도 방법
③
사진에 의한 방법
④
메쉬(mesh)에 의한 방법
26.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고 생태계 기능의 연속성을 위하여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 또는 생태적 기능의 유지가 필요한 지역을 연결하는 생태적 서식공간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생태축
②
생태통로
③
자연유보지역
④
생태경관보전지역
27.
공원 내에 연못을 조성하고자 할 때 계획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연못의 평면 및 단면 형태시 수리, 수량, 수질의 3가지 요소를 충분히 고려한다.
②
못 안에 분수 및 조명시설 등의 시설물을 배치할 경우에는 물을 뺀 다음의 미관을 고려해야 한다.
③
연못 주변의 하천이나 계곡의 물·지표면의 빗물 등 자연 급수와 지하수·상수·정화된 물(중수)등 인공 급수 등을 여건에 맞게 반영한다.
④
연못의 배치는 계획 및 설계대상 공간 배수시설을 겸하도록 지형이 높은 곳에 배치한다.
정답 : ④ 연못의 배치는 계획 및 설계대상 공간 배수시설을 겸하도록 지형이 높은 곳에 배치한다. (2014년2회)
28.
경관의 미적반응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의 유형과 그 예를 잘못 설명한 것은?
①
비례척 - 부피
②
명목척 - 운동선수의 등번호
③
순서척 - 리커트 척도(Likert scale)
④
등간척 - 어의구별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
정답 : ③ 순서척 - 리커트 척도(Likert scale) (2009년1회)
29.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상 공원시설의 설치면적 기준 중 체육공원에 설치되는 운동시설은 공원시설 부지면적의 몇 퍼센트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30.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의 다음 설명 중 ( )안에 맞는 용어는?
도시공원의 설치에 관한 도시·군관리계획 결정은 그 고시일로부터 10년이 되는 날까지 ( )가/이 없는 경우에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도 불구하고 그 10년이 되는 날의 다음 날에 그 효력을 상실한다. |
①
공원관리계획의 수립
②
공원부지의 매입
③
공원조성계획의 고시
④
공원의 조성완료
정답 : ③ 공원조성계획의 고시
(2017년1회)
31.
야생생물 보호 및관리에 관한 법률에 대한 사항으로 맞는 것은?
①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중장기 보전대축은 우리나라 야생생물에 대한 보전대책이기 때문에 국제협력에 관한 사항은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②
학술연구, 관람·전시, 유해야생동물의 포획 등 어떠한 경우에도 덫이나 창애, 올무의 제작을 금지한다.
③
환경부장관은 야생생물 보호와 그 서식환경보전을 위하여 5년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등에 대한 야생생물 보호 기본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④
야생생물을 그 서식지에서 보전하기 어렵거나 종의 보존 등을 위하여 서식지외에서 보전할 필요가 있는 경우 환경부장관이 단독으로 서식지 외 보전기관을 지정한다.
정답 : ③ 환경부장관은 야생생물 보호와 그 서식환경보전을 위하여 5년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등에 대한 야생생물 보호 기본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2017년2회)
32.
관광지에 내방할 가능성을 지닌 사람들이 거주하는 범위로서 1차 시장이라고도 하는 관광권은?
33.
건축법 시행령에 따른 대지의 조경이 필요한 건축물은?
①
면적 3,000㎡인 대지에 건축하는 공장
②
상업지역의 연면적 합계가 2,000㎡인 물류시설
③
녹지지역안에 건축하는 건축물
④
축사
정답 : ② 상업지역의 연면적 합계가 2,000㎡인 물류시설
(2018년1회)
34.
다음 [보기]의 설명은 무엇인가?
[보기] - 생태계에서는 일반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서 안정된 상태로 옮겨가는 자연적인 경향이 있다. - 종(species)이 다양해지고 유기물질이 증가하고 구조적으로 복잡해지는 경향이 있다. |
①
Stable ecosystem
②
Ecological structure
③
Ecological climax
④
Ecological succession
정답 : ④ Ecological succession (2011년2회)
35.
공원녹지 관련법 체계가 상위법에서 하위법으로의 흐름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①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국토기본법
②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국토기본법→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③
국토기본법→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④
국토기본법→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정답 : ③ 국토기본법→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2018년2회)
36.
비교적 큰 규모의 프로젝트(예 : 유원지, 국립공원)를 수행할 때 기본구상의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은?
①
토지이용 및 동선
②
토지이용 및 식재
③
시설물 배치 및 식재
④
동선 및 하부구조
정답 : ① 토지이용 및 동선 (2010년1회)
37.
다음 중 하천(수변)공간을 공원으로 계획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수변공간에는 식생부도(浮島), 녹화용 포대 등 물 환경 조건을 고려하여 수생식물 서식기반의 도입을 계획한다.
②
수변공간과 육상공간과의 연계성 확보는 수변생태계의 교란을 최소화하도록 고려한다.
③
하천생태계 기능평가를 통해 표준적인 생태 기능과 가치를 지니는 표준 하천을 계획모형으로 선정한다.
④
수변은 다양한 야생동물이 서식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많은 양분을 공급해 줄 계획을 수립한다.
정답 : ④ 수변은 다양한 야생동물이 서식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많은 양분을 공급해 줄 계획을 수립한다. (2015년2회)
38.
휴양림 지역 내 진입(進入)도로의 종점(終點)에 설치된 주차장으로 부터 휴양림의 주요시설 입구를 순환, 연결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도로를 가리키는 용어는?
39.
사람들에게 내재해 있는 수요로 적당한 시설, 접근수단, 정보가 제공되면 참여가 기대되는 수요는?
①
유효수요
②
잠재수요
③
유도수요
④
표출수요
40.
어느 일단의 대지에 있어서 미기후(micro climat)에 관한 사항 중 틀린 것은?
①
수목, 건물 등의 존재 여부에 영향을 받는다.
②
지상에서 가까운 공기층에 국지적으로 일어나는 기후 상태를 말한다.
③
그 지방의 지역기후(regional climate)와 비슷하다.
④
지형, 지표면의 재료 등에 영향을 받는다.
정답 : ③ 그 지방의 지역기후(regional climate)와 비슷하다. (2015년1회)
댓글을 달아 주세요